동양고전산책/도덕경 81

도덕경 제41장

41. 上士章 상사장 上士 聞道 勤而行之 상사 문도 근이행지 中士 聞道 若存若亡 중사 문도 약존약망 下士 聞道 大笑之 不笑 不足以爲道 하사 문도 대소지 불소 부족이위도 故 建言 有之 고 건언 유지 明道 若昧 명도 약매 進道 若退 진도 약퇴 夷道 若類 이도 약뢰 上德 若谷 상덕 약곡 大白 若辱 대백 약욕 廣德 若不足 광덕 약부족 建德 若偸 건덕 약투 質眞 若渝 질진 약유 大方 無隅 대방 무우 大器 免成 대기 면성 大音 希聲 대음 희성 大象 無形 대상 무형 道隱無名 도은무명 夫唯道 善貸且成 부유도 선대차성 聞 : 들을 문 勤 : 부지런할 근 若 : 같을 약 笑 : 웃을 소 建 : 세울 건·지을 건 建言 : 속담 昧 : 새벽 매·어두울 매 退 : 물러날 퇴 夷 : 평평할 이 類 : 무리 류·같을 류·치우칠 뢰..

도덕경 제40장

40. 反者章 반자장 反者 道之動 반자 도지동 弱者 道之用 약자 도지용 天下之物 生於有 천하지물 생어유 有生於無 유생어무 反 : 되돌릴 반 弱 : 약할 약 用 : 쓸 용 되돌아가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요, 약한 것은 도의 쓰임이니, 천하의 물건은 있음(有)에서 나오고, 있음(有)은 없음(無)에서 나온다. 『주역』「계사상전」제4장에 “비롯함을 근원으로 하고 마침을 돌이킨다. 그러므로 죽고 사는 말(이치)을 안다”(原始反終 故 知死生之說)는 내용이 있다. 항상 무위(無爲)와 무욕(無慾)으로 천하를 경영하는 도는 그저 고요할 뿐이다. 그런데 도에서 멀어져 간 만물을 도로 회복시키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 된다. 그래서 되돌아간다는 것, 돌이킨다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 된다. 인간의 욕심으로 얼룩진 세상을 자연함으로 ..

도덕경 제39장

39. 昔之章 석지장 昔之得一者 석지득일자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천득일이청 지득일이녕 神得一以靈 谷得一以盈 신득일이령 곡득일이영 萬物 得一以生 侯王 得一以爲天下正 만물 득일이생 후왕 득일이위천하정 其致之 一也 기치지 일야 天無以淸 將恐裂 천무이청 장공렬 地無以寧 將恐發 지무이녕 장공발 神無以靈 將恐歇 신무이령 장공헐 谷無以盈 將恐竭 곡무이영 장공갈 萬物 無以生 將恐滅 만물 무이생 장공멸 侯王 無以貴高 將恐蹶 후왕 무이귀고 장공궐 故 貴 以賤爲本 高 以下爲基 고 귀 이천위본 고 이하위기 是以 侯王 自謂孤寡不穀 시이 후왕 자위고과불곡 此非以賤爲本邪 非乎 차비이천위본야 비호 故 致數譽無譽 고 치삭예무예 不欲琭琭如玉 硌硌如石 불욕록록여옥 낙락여석 昔 : 예 석 寧 : 편안할 녕 盈 : 찰 영 致 : 이룰 치 恐..

도덕경 제38장

38. 上德章 상덕장 上德 不德 是以有德 상덕 부덕 시이유덕 下德 不失德 是以無德 하덕 불실덕 시이무덕 上德 無爲而無以爲 상덕 무위이무이위 上仁 爲之而無以爲 상인 위지이무이위 上義 爲之而有以爲 상의 위지이유이위 上禮 爲之 而莫之應 則攘臂而扔之 상례 위지 이막지응 즉양비이잉지 故 失道而後 德 失德而後 仁 고 실도이후 덕 실덕이후 인 失仁而後 義 失義而後 禮 실인이후 의 실의이후 예 夫禮者 忠信之薄 而亂之首 부례자 충신지박 이난지수 前識者 道之華 而愚之始 전식자 도지화 이우지시 是以 大丈夫 處其厚 不居其薄 시이 대장부 처기후 불거기박 處其實 不居其華 처기실 불거기화 故 去彼取此 고 거피취차 莫 : 없을 막 應 : 응할 응 攘 : 물리칠 양·걷을 양 臂 : 팔뚝 비 扔 : 당길 잉 忠 : 충성 충·공변될 충 ..

도덕경 제37장

37. 無爲章 무위장 道常無爲 而無不爲 도상무위 이무불위 侯王 若能守之 萬物 將自化 후왕 약능수지 만물 장자화 化而欲作 吾將鎭之以無名之樸 화이욕작 오장진지이무명지박 無名之樸 夫亦將無欲 무명지박 부역장무욕 不欲以靜 天下 將自定 불욕이정 천하 장자정 鎭 : 누를 진·진정할 진 樸 : 통나무 박 靜 : 고요할 정 도는 항상 함이 없되 하지 않음이 없으니, 제후와 왕이 만약 이를 지키면 만물이 장차 스스로 화하거니와, 화하여 욕심이 일어나면 내가 장차 이름이 없는 통나무(樸)로 누를 것이오, 이름이 없는 통나무는 무릇 또한 장차 욕심이 없을 것이니, 욕심을 내지 않고 고요하면 천하가 장차 스스로 안정될 것이다. 대도(大道)는 무위(無爲)로 천하 만물을 생장수장(生長收藏)한다. 항상 함이 없는 것 가운데 해와 달..

도덕경 제36장

36. 翕之章 흡지장 將欲歙之 必固張之 장욕흡지 필고장지 將欲弱之 必固强之 장욕약지 필고강지 將欲廢之 必固興之 장욕폐지 필고흥지 將欲奪之 必固與之 장욕탈지 필고여지 是謂微明 시위미명 柔弱 勝剛强 유약 승강강 魚不可脫於淵 어불가탈어연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국지이기 불가이시인 將: 장차 장 歙 : 합할 흡·거둘 흡 張 : 베풀 장·펼 장 廢 : 폐할 폐 興 : 흥할 흥 奪 : 빼앗을 탈 取 : 취할 취 與 : 줄 여 微 : 작을 미 脫 : 벗을 탈 淵 : 못 연 장차 거두고자 하려면 반드시 펴고, 장차 약하고자 하려면 반드시 강하며, 장차 폐하고자 하려면 반드시 흥하고, 장차 빼앗고자 하려면 반드시 주니, 이를 ‘미묘한 밝음’(微明)이라 일컬으니, 부드러움과 약함은 굳셈과 강함을 이긴다. 물고기는 가히 못에서..

도덕경 제35장

35. 大象章 대상장 執大象 天下往 집대상 천하왕 往而不害 安平泰 왕이불해 안평태 樂與餌 過客 止 락여이 과객 지 道之出口 淡乎其無味 도지출구 담호기무미 視之不可見 시지불가견 聽之不可聞 청지불가문 用之不可旣 용지불가기 執 : 잡을 집 往 : 갈 왕 害 : 해칠 해 泰 : 편안할 태 餌 : 먹이 이·미끼 이 過 : 지날 과 淡 : 묽을 담 味 : 맛 미 視 : 볼 시 聽 : 들을 청 聞 : 들을 문 旣 : 이미 기·다할 기 큰 형상(象)을 잡으면 천하가 향하여 가고, 가서 해를 입지 않으매 편안하고 평온하며 태평하다. 즐거움과 음식은 지나가던 나그네가 멈추게 하지만, 도가 입에서 나오는 것은 담백하여 그 맛이 없어서, 보아도 족히 보이지 않으며, 들어도 족히 들리지 않으며, 써도 가히 다하지 않는다. 앞 ..

도덕경 제34장

34. 氾兮章 범혜장 大道氾兮 대도범혜 其可左右 기가좌우 萬物 恃之而生 而不辭 만물 시지이생 이불사 功成 而不有 공성 이불유 衣養萬物 而不爲主 의양만물 이불위주 可名於小 萬物 歸 而不爲主 가명어소 만물 귀 이불위주 可名爲大 以其終不自爲大 가명위대 이기종부자위대 故 能成其大 고 능성기대 氾 : 넓을 범·넘칠 범 兮 : 어조사 혜 恃 : 믿을 시 辭 : 말씀 사·사양할 사 衣 : 옷 의·입힐 의·덮을 의·행할 의 큰 도는 넘실거리는구나! 그 가히 왼쪽으로도 가고 오른쪽으로도 가서, 만물이 그것에 의지하여 나오지만 (큰 도가) 사양하지 않으며, (만물을 낳는) 공을 이루나 소유하지 많으며, 만물을 덮어 기르나 주인이 되지 않고, 가히 작다고 이름하더라도 만물이 돌아가서 주인이 되지 않으며, 가히 크다고 이름하..

도덕경 제33장

33. 知人章 지인장 知人者 智 自知者 明 지인자 지 자지자 명 勝人者 有力 自勝者 强 승인자 유력 자승자 강 知足者 富 지족자 부 强行者 有志 강행자 유지 不失其所者 久 불실기소자 구 死而不亡者 壽 사이불망자 수 勝 : 이길 승 志 : 뜻 지 失 : 잃을 실 久 : 오랠 구 壽 : 목숨 수·수할 수 남을 아는 자는 지혜로우나 스스로를 아는 자는 밝으며,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있으나 스스로를 이기는 자는 강하다. 족함을 아는 자는 부유하고, 힘써 행하는 자는 뜻이 있으며, 그 바를 잃지 않는 자는 오래하고, 죽어도 망하지 않는 자는 오래 산다. 남을 안다는 것은 세상을 안다는 것이다. 즉 현상계를 잘 아는 자는 지혜롭다. 그런데 세상을 잘 아는 지혜는 오히려 세상을 어지럽히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

도덕경 제32장

32. 道常章 도상장 道常無名 도상무명 樸雖小 天下莫能臣也 박수소 천하막능신야 侯王 若能守之 萬物 將自賓 후왕 약능수지 만물 장자빈 天地相合 以降甘露 천지상합 이강감로 民莫之令 而自均 민막지령 이자균 始制 有名 시제 유명 名亦旣有 夫亦將知止 명역기유 부역장지지 知止 所以不殆 지지 소이불태 譬道之在天下 猶川谷之與江海 비도지재천하 유천곡지여강해 樸 : 통나무 박 雖 : 비록 수 莫 : 없을 막 侯 : 제후 후 守 : 지킬 수 降: 내릴 강 賓 : 손 빈·대접할 빈·따를 빈 降 : 내릴 강 露 : 이슬 로 均 : 고를 균·평평할 균 制 : 마를 제·만들 제 旣 : 이미 기 殆 : 위태할 태 譬 : 비유할 비 猶 : 같을 유 도는 항상 이름이 없다. 통나무는 비록 작으나 천하가 능히 신하로 삼지 못하니, 후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