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산책/도덕경

도덕경 제5장

돈호인 2020. 9. 30. 02:01

 

5. 天地章

   천지장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성인불인 이백성위추구

天地之間 其猶橐籥乎

천지지간 기유탁약호 

虛而不屈 動而愈出

허이불굴 동이유출

多言數窮 不如守中

다문삭궁 불여수중

 

仁 : 어질 인  芻 : 꼴 추․짚 추  狗 : 개 구  猶 : 오히려 유  橐 : 전대 탁․풀무 탁

籥 : 피리 약  屈 : 굽을 굴  愈 : 나을 유․더욱 유  出 : 나올 출  數 : 자주 삭

窮 : 다할 궁  守 : 지킬 수

 

천지는 어질지 않아 만물을 풀강아지로 삼고

성인은 어질지 않아 백성을 풀강아지로 삼으니,

하늘과 땅 사이는 풀무와 피리 같구나.

비었으되 굽히지 않고 움직이면 더욱 나오네.

듣는 것이 많으면 자주 궁해지니 중(中)을 지키는 것만 못하네.

 

  추구(芻狗)라는 것은 옛날 중국에서 제사지낼 때 잡귀를 쫒아내기 위해 풀로 강아지를 만들어 제상 옆에 놓는 것을 말한다(芻狗者 束芻爲狗 以爲祭具). 제사를 지내고 나면 추구는 아무 쓸모가 없으니 버려진다. 바로 이렇게 천지로부터 나온 만물을 정작 천지는 추구와 같이 여기니 어질지 못하다는 말이다. 마찬가지로 성인도 어질지 않아서 백성을 풀강아지 취급을 한다는 말이다. 이 말은 천지가 만물을 낳고 성인이 백성을 기르면서도 정작 천지와 성인의 도는 공변되어 무심(無心)하기 때문에 어질다라는 마음과 언어를 떠나있다는 뜻이다.

  ()라는 것은 말린 풀을 말하는데(所謂芻者 茅也), 큰 변화가 있고 큰 것이 지나간다는 주역택풍대과괘(澤風大過卦) 초육효에 초육은 자리를 까는데 희 띠풀을 쓰니 허물이 없다”(初六 藉用白茅 无咎)고 하였다. 이에 대해 주역』「계사상전8장에서 공자께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초육은 (제사를 올리기 위해) 자리를 까는데 희 띠를 쓰니 허물이 없다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진실로 저 땅에 두더라도 괜찮거늘 까는데 흰 띠를 쓰니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삼감의 지극함이다. 무릇 띠의 물건됨이 박하나 쓰임은 가히 소중한 것이니, 이 방법을 삼가서 써 나가면 그 잃는 바가 없을 것이다.”(初六藉用白茅 无咎 子曰 苟錯諸地 而可矣 藉之用茅 何咎之有 愼之至也. 夫茅之爲物 薄而用 可重也 愼斯術也 以往 其无所失矣.)

 

  물과 공기 등 천지가 베풀어주는 자연의 기운으로 만물이 살아가고 있지만 정작 천지는 무심하니 어질다라는 마음이 없고, 성인이 도를 베풀어 백성이 살아가고 있지만 성인의 마음도 무심하니 어질어야 한다는 아무 마음이 없다. 황제음부경(黃帝陰符經)에 다음의 문장이 있다.

 

하늘이 은혜가 없으면서도 큰 은혜가 생기니, 빠른 우뢰와 매서운 바람에 꿈틀거리지 않음이 없다.

(天之无恩而大恩 迅雷烈風 莫不蠢然)

하늘의 지극한 사사로움을 지극히 공변되게 쓴다.

(天之至私 用之至公)

살아나는 것은 죽음의 뿌리이고 죽는 것은 삶의 뿌리이니, 은혜는 해로움에서 생겨나고 해로움은 은혜에서 나온다.

(生者 死之根 死者 生之根 恩生於害 害生於恩)

하늘이 내고 하늘이 죽임은 도의 이치이다.

(天生天殺 道之理也)

 

  이렇게 천지와 성인은 은혜롭지 않고 어질지 않아서 만물과 백성을 필요할 때만 쓰고 필요 없을 때에 버리는 추구와 같이 여기는 것 같지만, 그러한 무심한 도에서 만물과 백성이 생장하는 큰 은혜를 입고 있다. 이것은 마치 하늘이 지극히 사사롭지만 그 작용은 지극히 공변된 것이고, 따라서 하늘이 만물을 낳고 또한 만물을 죽이는 것은 바로 도의 이치인 것이다.

  천지의 사이가 풀무와 피리 같다고 하였는데, 쇠를 주물할 때 바람을 일으키는 도구인 풀무와 입으로 부는 악기인 피리는 모두 그 몸속이 비어 있다. 풀무와 피리의 속이 비어 있기 때문에 풀무질 하면 바람이 나오고 입으로 불면 소리가 나오는 쓰임이 있는 것이다. 그러니 하늘과 땅의 사이에도 풀무나 피리와 같이 비어 있기 때문에 천기기운이 소통되어 만물을 낳아 기르게 된다. 이렇게 천지의 도는 비어 있지만 만물을 낳아 기르는 작용은 조금도 굽힘이 없고, 천지기운이 움직이면 오히려 더욱 더 많은 기운이 나온다. 이것이 천지의 도요 성인의 도이다.

  주역의 이치로 말하면 천지의 근원인 태극(太極)은 하나의 기운으로 텅 비어 있지만, 고요하면 음기운이 나오고 움직이면 양기운이 나와 천지만물을 기르는 것과 같다. 만물이 나오는 근원인 태극(太極)은 무심하여 어질다고 할 수 없다. 그저 공변된 도를 자연의 이치대로 드러낼 뿐이다.

  백서본(帛書本)에는 多聞數窮으로 되어 있으나, 多言數窮으로 보아 풀이하든 多聞數窮으로 보아 풀이하든 그 의미는 같다. 말이 많으면 자주 궁색해진다는 것과 많이 들으면 자주 궁색해진다는 것은 그 뜻이 같다. 천지자연의 도에 대해 말이 많으면 오히려 궁색해지고, 역시 많은 이야기를 들으면 들을수록 오히려 궁색해진다. 왜냐하면 무심하여 어질지 못한 천지의 도와 성인의 도는 정작 말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운데()를 지키는 것만 같지 못하다고 하였다. 중을 지킨다는 말은 입을 닫아(緘口) 도에 나아가는 수행을 하는 것을 말하고, 또한 천지자연의 중()을 터득함을 말한다.

중용(中庸) 1장에 다음의 글이 있다.

 

기쁨성냄슬픔즐거움이 아직 발하지 않은 것을 중()이라 이르고, 발해서 모두 절도에 맞는 것을 화()라 이르니, ()이라 하는 것은 천하의 큰 근본이요, ()라는 것은 천하의 통달한 도이다. 중화를 지극히 하면 천지가 자리하며(편안하며) 만물이 잘 길러진다.(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 發而皆中節 謂之和.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和也者 天下之達道也. 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

 

天地는 不仁하야 以萬物로 爲芻狗하고

聖人은 不仁하야 以百姓으로 爲芻狗하나니

天地之間은 其猶橐籥乎인저

虛而不屈하고 動而愈出이로다

多言數窮하니 不如守中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대학서림, 2005, 37∼40.

'동양고전산책 >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제7장  (0) 2020.09.30
도덕경 제6장  (0) 2020.09.30
도덕경 제4장  (0) 2020.09.29
도덕경 제3장  (0) 2020.09.28
도덕경 제2장  (0) 2020.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