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道沖章
도충장
道沖 而用之 或不盈
도충 이용지 혹불영
淵兮 似萬物之宗
연혜 사만물지종
挫其銳 解其紛
좌기예 해기분
和其光 同其塵
화기광 동기진
湛兮 似或存
담혜 사혹존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오부지수지자 상제지선
沖 : 빌 충 盈 : 찰 영 淵 : 깊을 연 似 : 같을 사 宗 : 마루 종(근원) 挫 : 꺾을 좌
銳 : 날카로울 예 解 : 풀 해 紛 : 어지러울 분 和 : 화할 화 塵 : 티끌 진
湛 : 맑을 담 誰 : 누구 수 象 : 형상 상
도는 텅 비어있어 그것을 쓰더라도 혹 차지 않으니,
깊음이여! 만물의 귀의처인 듯 하다.
그 날카로움을 꺾고 그 어지러움을 풀며
그 광명을 화하고 그 티끌을 함께 하니,
맑음이여! 혹 있는 듯 하다.
내가 누구의 아들인지 알지 못하나, 형상과 상제보다 앞서는 듯하도다.
도의 근본은 텅 비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끝없이 사용하더라도 차지 않은 듯하니, 마치 고요한 연못처럼 깊고 적막하지만 실제로는 만물을 낳고 만물을 돌아가게 하는 귀의처가 된다. 「법성게」(法性偈)에 “모든 법은 움직이지 않아 본래부터 고요하다”(諸法不動本來寂)고 하였다.
이러한 도는 아무리 강렬하고 날카로운 것도 꺾을 수 있고, 아무리 어지러운 것도 자연히 풀 수 있으며, 아무리 밖으로 드러나는 광명함도 잘 조화시키고, 아무리 하찮은 티끌도 함께 한다. 이렇게 날카로운 것과 어지러운 것과 드러나는 것과 하찮은 것도 모두 품고 조화시키니 도의 작용은 깊고 맑다. 도의 작용이 깊고 맑으니 없는 듯하면서도 있는 듯 하다. 그 오묘함에 그 연원을 알지 못하니 누구의 아들인지도 모르겠고 오히려 하늘에 드리운 상보다 앞선듯하고 상제보다도 앞선 듯하다고 하였다.
『주역』「계사상전」제11장에 “나타난 것은 이에 상이라 이르고 형체를 이에 그릇이라 이른다”(見 乃謂之象 形 乃謂之器)고 하였고 “하늘은 상을 드리운다”(天垂象)고 하였다. 따라서 오묘한 도의 근원을 알지 못하니 하늘에 드리운 상보다 앞선듯하고 상제보다 앞선듯하다고 하였다. 「법성게」에 “참다운 성품은 깊고 깊어 지극히 미묘하다”(眞性甚深極微妙)고 하였다. 또한 다음의 구절이 있다.
一中一切多中一 하나 가운데 일체이고 많은 가운데 하나이니
一卽一切多卽一 하나가 곧 일체이고 많음이 곧 하나이다
一微塵中含十方 한 티끌 가운데에 대우주가 포함되고
一切塵中亦如是 모든 티끌 가운데 또한 이와 같다
혹(或)자나 사(似)자와 같은 어조사를 쓰는 이유는 글자나 언어에 집착하지 말라는 무위(無爲)의 사상을 표현하는 것이다.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의 네 구절은 문맥이 통하지 않으며, 담헌(譚獻)의 「복당일기」(復堂日記)나 마서륜(馬叙倫)의 「노자교고」(老子校詁)와 같은 책에는 없어야 할 글자가 잘못 들어간 연문(衍文)이라 하였으나, 위와 같이 본문에 있는 그대로 풀이해도 의미는 통한다.
道는 沖하야 而用之라도 或不盈하니
淵兮여 似萬物之宗이라
挫其銳하고 解其紛하며
和其光하고 同其塵하니
湛兮여 似或存이라
吾不知誰之子나 象帝之先이로다.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35∼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