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谷神章
곡신장
谷神不死 是謂玄牝
곡신불사 시위현빈
玄牝之門 是謂天地根
현빈지문 시위천지근
綿綿若存 用之不勤
면면약존 용지불근
谷 : 골짜기 곡․막힐 곡․기를 곡․동풍 곡․길 곡 牝 : 암컷 빈 根 : 뿌리 근
綿 : 이어질 면 勤 : 부지런할 근․힘쓸 근․근심할 근․괴로울 근․일 근
골짜기처럼 신비로워 죽지 않음을
현묘한 암컷이라 일컫고,
현묘한 암컷의 문을
천지의 뿌리라고 일컬으니,
면면히 존재하는 듯하여
작용함에 힘쓰지 않네.
제5장에서 “하늘과 땅 사이는 풀무와 피리 같구나. 비었으되 굽히지 않고 움직이면 더욱 나온다”(天地之間 其猶橐籥乎 虛而不屈 動而愈出)라고 하였다. 즉 천지의 사이는 풀무와 피리와 같이 텅 비어있기 때문에 기운이 작용하면 할수록 만물이 더욱 나오게 된다. 이러한 도의 작용을 여기에서는 곡신불사(谷神不死)라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천지의 사이는 텅 비어있는데, 마치 골짜기가 텅 비어있어 그 골짜기에서 신비스러운 자연의 기운이 끊임없이 나와 만물을 키우는 것과 같다. 이를 현빈(玄牝)이라 하는데, 현빈이란 현묘한 하늘과 만물의 어머니인 땅을 말한다.
우리는 제1장에서 도의 본체와 작용에 대해서 살펴본 바 있다. 무(無)는 천지의 시작을 일컫고 유(有)는 만물의 어머니를 일컫는다(無 名天地之始 有 名萬物之母)고 하였다. 도는 형체가 없기 때문에 무(無)라고 하고 그 기운을 현(玄)이라 한다. 만물의 어머니인 천지는 형체가 있기 때문에 유(有)라고 하고 이를 암소(牝)에 비유하였다. 『주역』의 원리로 표현하면 현(玄)은 양(陽)이고 빈(牝)은 음(陰)이다.
하늘과 땅의 기운이 출입하는 현빈(玄牝)의 문은 곧 만물이 나오는 천지의 뿌리가 된다. 제1장에서는 온갖 만물이 묘하게 나오는 문(衆妙之門)이라고 하였다. 『주역』의 원리로 말하면 음양의 기운이 출입하는 태극(太極)이 된다. 천지의 뿌리인 현빈의 문, 즉 태극에서 나오는 기운은 곡신불사(谷神不死)이니 없는듯하면서도 있는듯하게 면면히 끊임없이 이어진다. 이러한 도의 작용은 억지로 힘쓰고 근심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저절로 되는 것이기에 ‘용지불근’(用之不勤)이라 하였다.
한편 호흡을 통하여 수련하는 법으로 이해하는 측면에서는 곡신(谷神)을 코(鼻)라 하고 현빈지문(玄牝之門)을 단전(丹田)으로 보며, 천지지문(天地之門)을 호흡이 드나드는 코로 이해하기도 한다. 수련법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호흡인데, 들이쉬는 기운(吸)은 양기운이고 내쉬는 기운(呼)는 음기운이다. 코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호흡을 통해 음양 천지기운이 드나드는 문이 된다. 그래서 무궁한 천지자연의 기운을 코를 통해 호흡하면서 자연과 같이 하는 것이다. 수련법에서 중요한 것은 그 호흡을 있는 듯 없는 듯 자연스럽게 면면히 하는 것이다. 『심인경』(心印經)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하늘빛을 쫓고 밟아 호흡을 맑게 기르라.
(履踐天光 呼吸育淸)
현(양)에 나오고 빈(음)에 들어감에 없는 듯하며 있는 듯하라.
(出玄入牝 若亡若存)
가늘고 길게 끊어지지 않게 하여 꼭지를 굳게 하고 뿌리를 깊게 하라.
(綿綿不絶 固蒂深根)
谷神不死를 是謂玄牝이오
玄牝之門을 是謂天地根이니
綿綿若存하야 用之不勤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41∼4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