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尙賢章
상현장
不尙賢 使民不爭
불상현 사민부쟁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불귀난득지화 사민불위도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불견가욕 사민심불란
是以 聖人之治
시이 성인지치
虛其心 實其腹
허기심 실기복
弱其志 强其骨
약기지 강기골
常使民 無知無欲
상사민 무지무욕
使夫智者 不敢爲也
사부지자 불감위야
爲無爲 則無不治
위무위 즉무불치
尙 : 숭상할 상 賢 : 어질 현․능할 현 使 : 하여금 사 爭 : 다툴 쟁 貴 : 귀할 귀
得 : 얻을 득 貨 : 재물 화 盜 : 도적 도 欲 : 하고자 할 욕 亂 : 어지러울 난
治 : 다스릴 치 虛 : 빌 허 實 : 채울 실 腹 : 배 복 弱 : 약할 약 志 : 뜻 지
强 : 굳셀 강 骨 : 뼈 골 常 : 항상 상 智 : 지혜로울지 敢 : 감히 감
현능한 자를 숭상하지 않아서 백성이 다투지 않게 하고,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아서 백성이 도적이 되지 않게 하며,
욕심낼만한 것을 보이지 않아서 백성의 마음이 어지럽지 않게 하네.
이로써 성인의 다스림은
그 마음을 비우게 하나 그 배를 채워주며,
그 뜻을 약하게 하나 그 뼈를 강하게 하여,
항상 백성이 앎이 없고 욕심이 없게 하여
무릇 지혜로운 자가 감히 함이 없게 하니,
무위(無爲)로 행하면 곧 다스리지 못함이 없네.
‘不尙賢’에서 현(賢)자는 ‘어질 현’자로 풀이하면 안 되고 지혜가 있고 재능이 있다는 ‘능할 현’자로 보아야 한다. 즉 여러 재능이 있어 명예욕에 차있는 사람을 지칭한다. 재능과 명예에 능한 자를 숭상해 주면 명예욕과 권력욕에 빠져 권세를 부리니 백성들도 그러한 자리에 나가려고 서로 다투게 된다. 그래서 이런 재능에 능한 사람을 높여주지 않으면 백성도 그러한 자리에 나가려고 다투지 않게 된다.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면 백성은 더욱 더 그러한 재화를 얻기 위해 도둑질까지 하게 되지만, 그러한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은 도둑질을 하지 않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다.
욕심낼만한 것을 보이지 않으면 백성들이 그것을 쟁취하려고 하지 않고 자기 직분에 충실히 하기 때문에 백성의 마음이 어지럽지 않게 된다. 『대학』(大學) 제가치국장(齊家治國章)에 다음의 글이 있다.
한 집이 어질면 한 나라가 어진 데 일어나고, 한 집이 사양하면 한 나라가 사양하는 데 일어나고, 한 사람이 탐하고 거스르면 한 나라가 혼란을 일으키니, 그 기틀이 이와 같으니 이를 일러 “한 마디 말이 일을 엎어놓으며 한 사람이 나라를 안정시킨다”고 하는 것이다(一家仁 一國興仁 一家讓 一國興讓 一人貪戾 一國作亂 其機如此 此謂一言僨事 一人定國.)
그래서 성인이 정치하는 방법은 백성의 마음을 비우게 하면서도 그 배를 채우게 하고, 백성의 뜻을 약하게 하면서도 그 뼈를 강하게 해서 항상 백성이 지혜를 내세움이 없게 하고 욕심을 냄이 없게 한다.
백성의 마음을 비우게 한다는 것은 헛된 명예욕이나 권력욕을 없애는 것인데, 이러한 온갖 욕심을 비우면 백성 스스로가 각자의 직분을 충실하게 하여 살아가는데 근본이 되는 음식문제가 저절로 해결된다. 또한 백성의 뜻을 약하게 한다는 것은 헛된 명예욕이나 권력욕을 없게 하여 남보다 더 많이 얻고자 다투고 남보다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다투려는 뜻을 누그러뜨린다는 말이다. 『맹자』(孟子)「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맹자께서 말씀하시길, “마음을 수양함이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으니, 그 사람됨이 욕심이 적으면 비록 보존되지 못함이 있더라도 (보존되지 못한 것이) 적을 것이요, 그 사람됨이 욕심이 많으면 비록 보존됨이 있더라도 (보존된 것이) 적을 것이다.”(孟子曰 養心 莫善於寡欲 其爲人也寡欲 雖有不存焉者 寡矣 其爲人也多欲 雖有存焉者 寡矣.)
이렇게 헛된 욕심을 누그러뜨리면 스스로가 해야 할 바를 알아 그 일에 충실하게 되고 또한 인생의 본질을 깨달아가려고 노력하게 되니 이를 “백성의 뼈를 강하게 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되면 백성은 모두가 자기가 잘났다는 지혜를 내세우지 않게 되고 헛된 욕심을 내지 않게 된다.
모든 백성이 남보다 잘났다는 지혜를 내세움이 없게 되고 욕심이 없게 되면 자연히 지혜롭고 교활한 자가 감히 백성을 교란시키고 나라를 어지럽히는 일을 도모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성인의 다스림이 무위(無爲)로 행하면서도 다스리지 못함이 없는 것이다. 제2장에 나온 “성인은 무위(無爲)의 일에 처하고 말없는 가르침에 행한다”(聖人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는 것과 같은 뜻이다.
不尙賢하야 使民不爭하고
不貴難得之貨하야 使民不爲盜하며
不見可欲하야 使民心不亂이라
是以로 聖人之治는
虛其心하나 實其腹하며
弱其志하나 强其骨하야
常使民으로 無知無欲케하야
使夫智者로 不敢爲也케하나니
爲無爲면 則無不治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32∼3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