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可道章
가도장
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도가도비상도 명가명비상명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故 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徼
고 상무욕이관기묘 상유욕이관기요
此兩者同 出而異名 同謂之玄
차양자동 출이이명 동위지현
玄之又玄 衆妙之門
현지우현 중묘지문
常 : 항상 상 始 : 처음 시 欲 : 하고자할 욕 觀 : 볼 관 妙 : 묘할 묘 徼 : 경계 요
同 : 같을 동 異 : 다를 이 謂 : 이를 위 玄 : 그윽할 현 又 : 또 우 衆 : 무리 중
‘도’(道)는 도라고 할 수 있으나
항상한 도는 아니고,
‘이름’(名)은 이름 지을 수 있으나
항상한 이름은 아니네.
‘없음’(無)은 천지의 처음을 일컫고
‘있음’(有)은 만물의 어머니를 일컫네.
그러므로 항상한 없음(無)으로
그 묘함(본체세계)을 보고자하고,
항상한 있음(有)으로
그 경계(가장자리; 현상세계)를 보고자하니,
이 두 가지는 같으나
나와서 이름이 달라진 것뿐이네.
같음을 현묘하다고 이르니
현묘하고 또 현묘해서 온갖 묘용의 문이네.
제1장은 도(道)의 본체를 설명한 내용으로 『도덕경』 81장을 대표하는 글이다.
대자연의 큰 도를 무어라고 이름을 칭할 수 없지만, 굳이 표현하여 도라고 한다. 대자연의 본체가 되는 그 무엇을 굳이 이름을 붙여 도라고 했으니, 도를 도라고 칭할 수 있지만 그 명칭 자체는 항상한 도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이름을 이름 지을 수 있지만 그 이름은 항상한 이름이 아니다. 대자연의 본체를 굳이 표현하여 도라고 한 것이고, 만물의 실체를 굳이 표현하여 명명한 것이니, 표현된 도는 이미 도가 아니고 명명된 이름은 이미 본체가 아니다. 마치 저 달(본체)을 보라고 손가락으로 가리켰는데, 보라는 달은 안 보고 손가락 끝만 봐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형상도 이름도 없는 본체는 굳이 또 표현하자면 무(無)라고 한다. 반면 보이고 만져지는 현상계는 형상이 있고 이름이 명명되기 때문에 유(有)라고 한다. 그래서 무(無)는 천지가 시작되는 것을 명명한 것이고, 유(有)는 이미 이루어진 만물의 어머니라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본체를 깨달으려면 항상한 무(無)로 대자연의 묘함을 보고자 해야 하고, 현상을 깨달으려면 항상한 유(有)로 현상계에서 펼쳐지는 경계를 보고자 해야 한다. 이 무(無)의 본체와 유(有)의 현상을 같이 보아야 진정한 도(道)를 얻게 된다. 그래서 『고상옥황심인경』(高上玉皇心印經; 이하에서는 『심인경』이라고 한다)에서는 “무(無)를 보존하고 유(有)를 지키면 경각에 이루어진다”(存無守有 頃刻而成)고 하였다.
무(無)를 보존하고 유(有)를 지킴으로써 온전한 도를 이루게 되는 이유는 무(無)와 유(有) 이 두 가지가 사실은 한가지로 같기 때문이다. 본래 한 가지인데 나오면서 그 이름이 무(無)와 유(有)로 달라진 것뿐이다. 그렇다면 무(無)와 유(有)가 같이하는 근원은 무엇인가. 그것을 또 굳이 설명하자면 그윽하고 검다는 현(玄)이라 할 수 밖에 없다. 무와 유의 근원은 그윽하고 또 그윽하기 때문에 온갖 묘함이 나오는 문이 된다.
『도덕경』제1장을 『주역』의 원리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역』은 만물의 근원인 본체를 역동적인 태극(太極)으로 파악하고 있다. 본체와 현상을 아우르는 64괘 384효의 근원은 태극에서 나온다. 때문에 태극은 만물의 어머니라고 할 수 있고, 천지의 시작은 무극(無極)이 된다. 그렇다면 무(無)에 해당하는 무극과 유(有)에 해당하는 태극은 같은 근원에서 나와 그 명칭이 달라진 것이다. 무극과 태극의 같은 근원을 무엇으로 표현할 것인가. 『주역』중지곤괘 「문언전」의 맨 마지막 문장은 본원인 하늘과 현상인 땅을 비유하여 “하늘은 검고 땅은 누렇다”(天玄而地黃)고 표현하고 있다. 즉 본원은 그윽하고 검은 현(玄)인 것이다. 그윽하고 검은 현(玄)에서 온간 만물의 묘함이 나온다. 그래서 묘하다는 묘(妙)자는 원래 현(玄)과 소(少)가 합쳐진 묘(玅)자로 쓰였다.
태극(太極)이요 무극(無極)이라 하지만 그 명칭으로서의 태극과 무극이 대자연 본체의 실상은 아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자연 본체의 실상을 굳이 표현해서 태극이요 무극이라 한 것이다. 그렇지만 무극은 무형의 본원이니 무극으로 본체로 파악하고, 태극은 유형의 본원이니 태극으로 현상계를 파악해야 한다. 현상계의 만물상은 태극에서 비롯되는데, 이 태극에서 양의(음양)가 나오고, 양의에서 사상(태양 소음 소양 태음)이 나오고, 사상에서 팔괘(건☰ 태☱ 이☲ 진☳ 손☴ 감☵ 간☶ 곤☷)가 나오는 음양이진법에 의해 64괘 384효의 현상계가 펼쳐진다. 그러므로 태극과 무극은 64괘 384효의 온갖 묘함의 문(衆妙之門)이 된다.
태극에서 64괘 384효로 펼쳐지는 대자연의 변화는 신비스럽고 묘할 따름이다. 그래서 『주역』「설괘전」(說卦傳) 제6장은 “신이라는 것은 만물을 묘하게 함을 말하는 것”(神也者 妙萬物而爲言者也)이라 하였다.
道는 可道나 非常道요
名은 可名이나 非常名이니
無는 名天地之始요
有는 名萬物之母라
故로 常無로 欲以觀其妙하고
常有로 欲以觀其徼하니
此兩者는 同하나 出而異名이라
同을 謂之玄하니 玄之又玄하야 衆妙之門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 『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3∼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