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爲無章
위무장
爲無爲 事無事 味無味 大小 多少
위무위 사무사 미무미 대소 다소
報怨以德 圖難於其易 爲大於其細
보원이덕 도난어기이 위대어기세
天下難事 必作於易
천하난사 필작어이
天下大事 必作於細
천하대사 필작어세
是以 聖人 終不爲大 故 能成其大
시이 성인 종불위대 고 능성기대
夫輕諾 必寡信 多易 必多難
부경낙 필과신 다이 필다난
是以 聖人 猶難之 故 終無難矣
시이 성인 유난지 고 종무난의
味 : 맛 미 報 : 갚을 보 怨 : 원망할 원 圖 : 꾀할 도 易 : 쉬울 이 細 : 가늘 세
輕 : 가벼울 경 諾 : 승낙할 낙 寡 : 적을 과 猶 : 오히려 유
함이 없이 하고, 일삼음이 없이 일하며, 맛봄이 없이 맛보고, 작음을 크게 하며, 적음을 많게 하고,
원망을 덕으로 갚으며, 어려움을 그 쉬움에서 꾀하고, 큼을 그 미세함에서 한다.
천하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데에서 일어나며,
천하의 큰 일은 반드시 미세한 데에서 일어난다.
이로써 성인은 끝내 크게 하지 않으니, 그러므로 능히 그 큼을 이룬다.
무릇 가벼운 승낙은 반드시 믿음이 적고, 너무 쉽게 여기면 반드시 어려움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로써 성인은 오히려 어렵게 여기니, 그러므로 끝내 어려움이 없다.
이 장에서는 성인이 취하는 무위(無爲)·무욕(無欲)의 도가 결코 아무 하는 일 없이 넋을 놓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세상사의 정황과 사람과의 관계에서 매우 신중하며 한결같은 마음으로 임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래서 이 장은 노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핵심적인 내용이 된다.
무위(無爲)·무사(無事)·무욕(無欲)이란 무엇인가? 이 내용은 앞에서 여러 장에 걸쳐 주장되어 온 것들이다. 도라는 것, 도의 경지라는 것은 하려고 하는 인위적인 작용이 없이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여 하는 것이고, 일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이치에 응하여 일하는 것이고, 인위적인 가공을 하여 세상사를 맛보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이치에 응하여 맛을 보는 것이다. 아무 사심이 없이 주어지는 상황에 즉응하여 행위를 하고 일을 하고 맛을 보는 것이다.
자연의 이치와 세상사의 원리는 원래부터 큼이 있는 것이 아니고, 원래부터 많음이 있는 것이 아니다. 항상 작은 것에서 시작하여 커지고, 적은 것에서 시작하여 많아지게 된다. 인간이란 존재(소우주)도 아주 미세한 난자와 정자의 만남에서 시작되고, 천하국가도 남녀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한 가족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무사(無事)·무위(無爲)·무욕(無欲)의 경지에서는 인간관계나 자연의 작용에서 비롯되는 원망이라는 것은 애초에 없는 것이다. 도의 경지에서는 인간사회에서 빚어지는 원망도 그저 도에서 우러나오는 덕으로 갚을 뿐이다. 이것이 진정한 성인의 덕이요, 사랑이다.
천하의 어려운 일은 그 쉬운 데서부터 도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천하의 큰 일은 그 미세한 데서부터 이루어진다.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 할지라도 그 어려운 일을 풀어가는 것은 단서가 되는 쉬운 데서부터 풀려나가는 것이고, 아무리 큰일이라 하여도 그 큰 일은 아주 사소한 일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세상사를 보면, 천하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데서 시작되고, 천하의 큰 일은 반드시 미세한 데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치를 아는 성인은 애초부터 시종일관(始終一貫) 크게 하려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면서 자연의 도로, 무위(無爲)·무사(無事)의 도로 능히 큰 일을 이룬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처음부터 무슨 일을 하든지간에 크게 하려는 욕심으로 시작하지만, 결국에는 그 큼을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일을 그르치게 되는 것이다. 『주역』「계사상전」제8장에서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호정(戶庭)을 나서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라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지러움이 생하는 바는 말(言語)로써 계제(階梯)가 되는 것이니, 인군이 주밀하지 못하면 신하를 잃으며, 신하가 주밀하지 못하면 몸을 잃으며, 기밀한 일이 주밀하지 못하면 해로움을 이루니, 이로써 군자가 삼가고 주밀해서 나가지 않는 것이다.”(不出戶庭 无咎, 子曰 亂之所生也 則言語 以爲階, 君不密則失臣, 臣不密則失身, 幾事不密則害成, 是以君子 愼密而不出也.)
세상사를 보건대, 무릇 어떤 부탁이나 일을 가볍게 승낙하는 사람은 반드시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하여 신뢰를 잃게 된다. 그리고 무슨 일을 하든지 자기에게 쉬운 일만 골라서 하려고 하는데, 그러면 그럴수록 더욱 더 어려운 일만 생기게 된다. 세상사란 일을 함에 신중하면 할수록 그 일은 잘 이루어지고, 시작할 때 어렵게 하면 할수록 그 일은 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성인은 아무리 사소한 약속이라도,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처음부터 그 말과 일을 어렵게 여기고 신중하게 도모해 나간다. 그렇기 때문에 끝내 성인에게는 어려움이란 것은 없게 된다.
이러한 성인의 도를 『중용』에서는 정성(誠)으로 말하고 있다. 『중용』제25장에서 “성(誠)이라는 것은 스스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도(道)라는 것은 스스로 행하는 것이다”(誠者 自成也, 而道 自道也.)고 하였다. 또한 “성(誠)이라는 것은 물건의 마침과 비롯함이니, 성(誠)하지 않으면 물건이 없으니 이런 까닭으로 군자는 성하려 함(誠之)을 귀하게 여긴다”(誠者 物之終始, 不誠 無物, 是故 君子 誠之爲貴.)고 하였다. 이 『중용』에서 말하는 성(誠)이 바로 모든 일을 시작부터 어렵게 여기면서 해나가는 것이다. 성인은 모든 일을 시작부터 어렵게 여기니, 결국에는 어려움이 없다고 했다. 『중용』제24장에 ‘지극한 정성은 신과 같다’는 다음의 글이 있다.
지극한 정성의 도는 가히 앞일을 알 수 있으니, 국가가 장차 흥함에 반드시 상서로움이 있으며, 국가가 장차 망함에 반드시 요망함과 재앙이 있어서, 시초점과 거북점에 나타나며, 사지에 움직인다. 화와 복이 장차 이름에 선함을 반드시 먼저 알며, 선하지 못함을 반드시 먼저 알지니, 그러므로 지극한 정성은 신과 같다.(至誠之道 可以前知, 國家將興 必有禎祥, 國家將亡 必有妖孽, 見乎蓍龜 動乎四體, 禍福將至 善 必先知之 不善 必先知之, 故 至誠如神.)
한편 『주역』「계사하전」제5장에서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위태할까 하는 자는 그 자리를 편안히 하는 것이요, 망할까 하는 자는 그 존함을 보존하는 자요, 어지러울까 하는 자는 그 다스림을 두는 것이니, 이런 까닭에 군자가 편안하되 위태함을 잊지 않으며, 존하되 망함을 잊지 않으며, 다스리되 어지러움을 잊지 않는다. 이로써 몸이 편안하여 국가를 보존할 수 있으니, 역에 이르길 ‘그 망할까 그 망할까 하여 더부룩한 뽕나무에 맨다’고 하였다.”(子曰 危者 安其位者也, 亡者 保其存者也, 亂者 有其治者也, 是故 君子 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身安而國家 可保也, 易曰 其亡其亡 繫于苞桑.)
爲無爲하고 事無事하며 味無味하고 大小하며 多少하고
報怨以德하며 圖難於其易하고 爲大於其細니라
天下難事는 必作於易하며
天下大事는 必作於細니라
是以로 聖人은 終不爲大하니 故로 能成其大니라
夫輕諾은 必寡信이오 多易는 必多難일새
是以로 聖人은 猶難之하나니 故로 終無難矣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37∼24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