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道者章
도자장
道者 萬物之奧
도자 만물지오
善人之寶 不善人之所保
선인지보 불선인지소보
美言 可以市
미언 가이시
尊行 可以加人
존행 가이가인
人之不善 何棄之有
인지불선 하기지유
故 立天子 置三公 雖有拱璧以先駟馬
고 입천자 치삼공 수유공벽이선사마
不如坐進此道
불여좌진차도
古之所以貴此道者 何
고지소이귀차도자 하
不曰求以得 有罪以免邪
불왈구이득 유죄이면야
故 爲天下貴
고 위천하귀
奧 : 아랫목 오·그윽할 오·쌓을 오 寶 : 보배 보 保 : 지킬 보 市 : 저자 시
尊 : 높을 존 棄 : 버릴 기 置 : 둘 치 拱 : 두손마주잡을 공·껴안을 공·큰옥 공
璧 : 둥근 옥 벽 駟 : 사마 사(네 필의 말) 坐 : 앉을 좌 免 : 면할 면 邪 : 그런가 야
도라는 것은 만물의 그윽함이니,
착한 사람의 보배요, 착하지 못한 사람을 보전하는 바이네.
아름다운 말은 가히 값진 것이 되고,
존엄한 행실은 가히 남에게 보탬이 되니,
사람이 착하지 않다 해서 어찌 버림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천자를 세우고 삼공을 두어서 비록 큰 옥으로 네 필의 말을 앞세움이 있더라도,
앉아서 이 도에 나아가는 것만 같지 못하네.
옛적부터 이 도를 귀하게 여긴 바는 무슨 까닭인가?
“구하면 얻게 되며 죄가 있으면 면하게 된다”고 말하지 않았는가?
그러므로 천하의 귀함이 되네.
이 장에서는 도를 추구해야 할 이유와 그 효험을 말하였는데, 다른 장과는 달리 도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여 유독 종교적(宗敎的)인 색채가 강하다.
도라는 것은 만물에 내재되어 있는 그윽한 것이다. 원래 만물은 도에서 나왔기 때문에 모든 만물에는 그윽한 도가 내재되어 있다. 그래서 불교(佛敎)에서는 “모든 중생은 다 불성이 있다”(一切衆生 悉有佛性)고 하고, 『중용』제1장에서는 “하늘의 명하심을 성(性)이라 일컫는다”(天命之謂性)고 하였다.
도라는 것은 아무 사심이 없어 어느 누구에게나 다 내재되어 있는데, 다만 도를 추구하는 자와 추구하지 않는 자의 행함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도를 추구하는 자와 도를 추구하지 않는 자의 행함에 차이가 있더라도, 본연의 도 자체는 아무 차별심이 없이 그저 넓고 깊은 덕으로 만물을 감싼다. 그래서 도를 추구하는 착한 사람에게 도 자체는 보배가 되고, 도를 추구하지 않는 착하지 않은 사람일지라도 도는 그들을 지켜준다. 덕 없는 덕을 무한히 베풀고 있는 것이다. 도에서 천하 만물이 나왔는데, 천하의 자식을 어느 누구라도 버릴 수가 있겠는가?
도를 추구하는 데서 나오는 유익함을 말하자면, 마치 아름다운 말은 가치를 높이고, 존엄한 행실은 다른 사람에게도 그 영향을 미치는 것과도 같다. ‘가이시(可以市)’라는 말은 시장에서 매매 가치를 높여준다는 뜻으로 볼 수 있고, 또한 세상을 가치있게 만든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그만큼 아름다운 말의 실질적인 효험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존엄한 행실이 가히 사람에게 더한다’는 말은 아름다운 행실로 사람을 감복하게 하여 착하지 못한 사람까지도 감화시킨다는 뜻이다. 이렇게 도를 추구하여 나오는 아름다운 말이 세상의 가치를 높이고 존엄한 행실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니, 설사 착하지 못한 사람일지라도 어찌 버림이 있겠는가? 도를 추구하면 그 효험으로 착하지 못한 사람까지도 감화시켜 도로 회복하게 만든다는 뜻이다.
돈독한 중부(中孚)의 마음을 표상하는 『주역』풍택중부괘(豊澤中孚卦) 구이효(九二爻)에 “우는 학이 그늘에 있거늘 그 자식이 화답하도다. 나에게 좋은 벼슬이 있어, 내가 너와 더불어 함께 얽힌다”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공자는 「계사상전」제8장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셨다.
“우는 학이 그늘에 있거늘 그 자식이 화답하도다. 나에게 좋은 벼슬이 있어서 내가 너와 더불어 얽힌다”라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그 집에 거해서 그 말을 냄에 선하면 천리 밖에서 응하니, 하물며 그 가까운데 있어서랴! 그 집에 거하여 그 말을 냄에 불선하면 천리 밖에서 어기니, 하물며 그 가까운데 있어서랴! 말이 몸에서 나와 백성에게 더하며, 행실이 가까운데서 발하여 먼 곳에서 나타나니, 언행(言行)은 군자의 추기(樞機)니, 추기(樞機)의 발함이 영예와 욕됨의 주가 된다. 언행(言行)은 군자가 이로써 천지를 움직이는 바니, 가히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鳴鶴 在陰 其子 和之. 我有好爵 吾與爾靡之. 子曰君子 居其室 出其言 善, 則千里之外 應之, 況其邇者乎! 居其室 出其言 不善, 則千里之外 違之, 況其邇者乎! 言出乎身 加乎民, 行發乎邇 見乎遠, 言行 君子之樞機 樞機之發 榮辱之主也. 言行 君子之所以動天地也, 可不愼乎!)
한편 『대학』「전지구장」(傳之九章: 齊家治國章)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한 집이 어질면 한 나라가 어진 데 일어나고, 한 집이 사양하면 한 나라가 사양하는 데 일어나고, 한 사람이 탐하고 거스르면 한 나라가 혼란을 일으키니, 그 기틀이 이와 같으니 이를 일러 “한 마디 말이 일을 엎어놓으며, 한 사람이 나라를 안정시킨다”고 하는 것이다.(一家仁 一國興仁, 一家讓 一國興讓, 一人貪戾 一國作亂, 其機如此, 此謂一言僨事 一人定國.)
그만큼 도를 추구하는 자의 효험이 지극한 것이다. 그러니 세상에 천자를 세우고 삼공을 두어서 나라를 다스리게 하고 그들에게 큰 옥을 실은 사륜 마차를 앞세워 진상하는 것보다 가만히 앉아서 도에 나아가는 것이 더 나은 것이다. 이는 세상의 물욕과 명예욕을 앞세우는 것보다 순박한 도에 나아가는 것이 더 낫다는 뜻이다. 삼공(三公)이란 주(周)나라 때의 가장 높은 세 가지 벼슬로 태사(太師)·태부(太傅)·태보(太保)를 말한다.
그렇다면 예로부터 이 도를 귀하게 여긴 까닭을 무엇인가?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말에 “구하면 도를 얻게 되며 도를 얻으면 죄를 범하더라도 면하게 된다”고 말하지 않았는가? 그러므로 도는 천하의 귀함이 되는 것이다. 앞에서도 말하였듯이 도를 추구하는 효험은 착하지 못한 사람에게도 미쳐, 아무리 착하지 못한 사람이라도 도는 버리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 장은 세상 사람들에게 도를 추구하는 효험을 말하여 도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도라는 것은 머나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구하면 얻어지는 것이며, 도를 얻으면 설사 죄를 지었더라도 그 죄를 면하게 된다는 지극히 종교적인 내용이다. 아마도 『도덕경』 전체의 내용 가운데 가장 독특한 문장일 것이다. 어찌 보면, 세상 사람들에게 도(道)로 회복하기를 갈망하는 절실한 표현일지도 모른다.
道者는 萬物之奧니
善人之寶오 不善人之所保라.
美言은 可以市오
尊行은 可以加人이니
人之不善을 何棄之有리오?
故로 立天子하고 置三公하야 雖有拱璧以先駟馬라도
不如坐進此道니라.
古之所以貴此道者는 何오?
不曰求以得하며 有罪以免邪아!
故로 爲天下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32∼2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