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非以章
비이장
古之善爲道者
고지선위도자
非以明民 將以愚之
비이명민 장이우지
民之難治 以其智多
민지난치 이기지다
故 以智治國 國之賊
고 이지치국 국지적
不以智治國 國之福
불이지치국 국지복
知此兩者 亦稽式
지차량자 역계식
常知稽式 是謂玄德
상지계식 시위현덕
玄德 深矣遠矣
현덕 심의원의
與物反矣 然後 乃至大順
여물반의 연후 내지대순
愚 : 어리석을 우 難 : 어려울 난 智 : 지혜 지 賊 : 도둑 적
稽 : 상고할 계·헤아릴 계·머무를 계 式 : 법 식 稽式 : 둘도 없는 법식(표준)
反 : 돌이킬 반·뒤집을 반·거스를 반
옛적에 도를 잘 닦은 사람은
백성을 밝음으로써 다스리지 않고 장차 어리석음으로써 다스리니,
백성을 다스림이 어려운 것은 그 지혜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나라의 도적이요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지 않는 것은 나라의 복이다.
이 두 가지를 알면 또한 둘도 없는 법식(稽式)이요,
항상 둘도 없는 법식을 아는 것을 이를 ‘현묘한 덕’(玄德)이라 일컬으니,
현묘한 덕은 깊고 멀다.
만물과 더불어 (道로) 되돌아가니, 그런 뒤에야 이에 크게 순함에 이른다.
이 장에서는 천하를 경륜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자에게 간교한 지혜로 다스리지 말고 순박한 도로 다스려야 함을 다시 강조하였다. 『도덕경』은 정치하는 자들에 대한 경계를 위주로 하고 있다.
옛적에 도를 잘 닦은 사람은 백성을 다스리는데 밝은체하면서 다스리지 않고 장차 어리석음으로써 다스렸다. ‘非以明民’은 “백성을 밝음으로써 하지 않는다”, 즉 백성을 밝음으로써 다스리지 않는다는 뜻이지, 백성을 밝지 못하게 한다는 뜻이 아니다. 또한 ‘將以愚之’는 “장차 어리석음으로써 다스린다”, 즉 장차 백성을 어리석음으로써 다스린다는 뜻이지, 백성을 어리석게 한다는 뜻이 아니다.
세상사를 보건대, 백성을 다스림이 어려운 것은 다스리는 자가 밝음으로써, 즉 간교한 지혜로써 다스리다 보니, 그 간교한 지혜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다스리는 자가 간교한 지혜로 다스리니, 백성들도 이에 응하여 간교한 지혜로 대응한다. 그러니 천하가 간교한 지혜로만 가득 차게 되었다는 뜻이다. 천하가 간교한 지혜로 가득하게 되니, 천하가 어지럽게 되고 나라를 해치는 결과만 초래하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자는 나라의 도적이 되는 것이고, 지혜로써 다스리지 않고 어리석게 다스리는 자는 나라의 복이 되는 것이다.
바로 이 두 가지, 즉 '지혜로써 다스리는 자는 나라의 도적이 된다는 것과 지혜로써 다스리지 않는 자는 나라의 복이 된다는 것'을 아는 것은 천하에 둘도 없는 법도(稽式)이다. 바로 이러한 법도를 아는 것을 ‘현묘한 덕’이라고 한다. 성인은 도에서 나오는 이 현묘한 덕으로 어리석은 체하며 다스리지, 간교한 지혜를 가지고 천하를 다스리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 ‘현묘한 덕’은 도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도와 더불어 깊이를 알 수 없고 끝을 알 수 없어, 심원하기만 하다. 그래서 간교한 지혜가 아닌 현묘한 덕으로 천하를 다스리면 만물과 더불어 근원인 도(道)로 되돌아가게 되니, 그렇게 된 뒤에야 천하가 크게 순한 경지에 이르게 된다. 이것이 도를 잘 닦은 자가 천하를 다스리는 법도이다.
古之善爲道者는
非以明民이오 將以愚之니
民之難治는 以其智多라
故로 以智治國은 國之賊이오
不以智治國은 國之福이니라
知此兩者면 亦稽式이오
常知稽式을 是謂玄德이니
玄德은 深矣遠矣라
與物反矣니 然後에야 乃至大順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48∼25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