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治大章
치대장
治大國 若烹小鮮
치대국 약팽소선
以道 莅天下 其鬼不神
이도 이천하 기귀불신
非其鬼不神 其神 不傷人
비기귀불신 기신 불상인
非其神不傷人 聖人 亦不傷人
비기신불상인 성인 역불상인
夫兩不相傷 故 德交歸焉
부량불상상 고 덕교귀언
烹 : 삶을 팽 鮮 : 생선 선 莅 : 임할 리 鬼 : 귀신 귀 傷 : 상할 상 夫 : 무릇 부
兩 : 두 량 交 : 사귈 교 歸 : 돌아갈 귀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작은 생선을 삶는 것같이 하니,
도로 천하에 임하면 귀신도 신령하지 못하다.
귀신도 신령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신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못하며,
신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성인도 또한 사람을 상하게 하지 못한다.
무릇 두 가지(귀신과 성인)가 서로 상하게 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므로 덕이 번갈아 돌아간다.
제59장에서는 사사로운 정과 사사로운 덕을 아낌으로써 도의 근원으로 회복하고 두터운 덕을 쌓으면 저절로 나라를 다스릴 수 있다고 하였다. 이 장에서는 다시 무위(無爲)·무욕(無欲)의 도에서 나오는 덕의 신묘한 효험을 말하고 있다.
무위(無爲)·무욕(無欲)의 도로 행하면 아무리 큰 나라라도 마치 작은 생선을 삶아 요리하는 것과 같이 다스리기가 쉬워진다. 아무리 큰 나나라도 생선을 자유자재로 요리하듯이 잘 다스릴 수 있다는 말이다. 이렇게 도로 천하에 임하면 귀신도 그 신령함을 함부로 드러낼 수 없다. 도의 경지에서는 귀신이 신령함을 드러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람도 마음대로 좌지우지(左之右之)하여 다치게 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신이 사람을 마음대로 부려 상하게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성인도 또한 사람을 상하게 하지 못한다.
그러니 도의 경지에서는 신과 성인이 모두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기 때문에, 그 가운데에 신과 성인의 덕이 어울려 사람에게 베풀어져 돌아가게 된다. 세상 사람들은 귀신의 조화를 영험하게 생각하고 그 신에 의지하여 자신의 도를 잃게 되는데, 귀신의 조화라는 것과 성인의 경지라는 것도 본연의 도에서는 함부로 드러나지 못하고, 오로지 본연의 도에서 나오는 덕만 나타나게 된다는 말이다.
하늘의 도를 나타내는 『주역』중천건괘의 천하를 다스리는 조화옹(造化翁) 자리가 되는 구오효(九五爻)에서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九五 飛龍在天 利見大人)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문언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무릇 대인은 천지와 더불어 그 덕을 합하며, 일월과 더불어 그 밝음을 합하며, 사시와 더불어 그 차례를 합하며, 귀신과 더불어 그 길흉을 합하여, 하늘보다 먼저 해도 하늘이 어기지 않으며, 하늘보다 뒤에 해도 하늘의 때를 받드니, 하늘도 또한 어기지 아니하는데, 하물며 사람이며 하물며 귀신이랴!(夫大人者 與天地合其德, 與日月合其明, 與四時合其序, 與鬼神合其吉凶, 先天而天弗違, 後天而奉天時, 天且弗違, 而況於人乎 況於鬼神乎!)
도를 터득한 진정한 대인은 천지(天地)·일월(日月)·사시(四時)·귀신(鬼神)과 더불어 덕(德)·명(明)·서(序)·길흉(吉凶)을 합하니 하늘도 이러한 대인이 하는 일에 어기지 않는데, 귀신과 사람이 이에 어길 수 있겠는가 하는 말이다. 이것이 진정 도를 터득한 대인의 경지이다.
治大國을 若烹小鮮이니
以道로 莅天下면 其鬼不神이라
非其鬼不神이오 其神이 不傷人이며
非其神不傷人이오 聖人도 亦不傷人이라
夫兩不相傷일새 故로 德交歸焉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23∼22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