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含德章
함덕장
含德之厚 比於赤子
함덕지후 비어적자
蜂蠆虺蛇 不螫
봉채훼사 불석
攫鳥猛獸 不搏
확조맹수 불박
骨弱筋柔 而握固
골약근유 이악고
未知牝牡之合 而脧作 精之至也
미지빈모지합 이최작 정지지야
終日號 而不嗄 和之至也
종일호 이불애 화지지야
和曰常 知和曰明
화왈상 지화왈명
益生曰祥
익생왈상
心使氣曰强
심사기왈강
物壯則老 謂之不道
물장즉로 위지부도
不道 早已
부도 조이
含 : 머금을 함 厚 : 두터울 후 比 : 견줄 비 赤 : 붉을 적 赤子 : 갓난아이
蜂 : 벌 봉 蠆 : 전갈 채 虺 : 살무사 훼 蛇 : 뱀 사 螫 : 쏠 석 猛 : 사나울 맹
獸 : 짐승 수 攫 : 움켜쥘 확 搏 : 잡을 박 骨 : 뼈 골 筋: 힘줄 근
握 : 쥘 악 牝 : 암컷 빈 牡 : 수컷 모 脧 : 갓난아이 생식기 최 號 : 부르짖을 호
嗄 : 목쉴 애(사) 祥 : 상서로울 상·재앙 상 早 : 일찍 조 已 : 그칠 이
덕을 두텁게 머금은 사람은 갓난아이에 견줄 수 있으니,
벌 전갈 살무사 뱀이 쏘지 않고,
움켜쥐는 새나 맹수가 잡지 못한다.
뼈는 약하고 힘줄은 부드러우나 잡는 것이 견고하고,
암컷과 수컷의 합함을 알지 못하나 생식기가 일어나니 정(精)의 지극함이요,
날을 마치도록 부르짖어도 목이 쉬지 않으니 화함의 지극함이니,
화함은 가로되 ‘떳떳함’(常)이요, ‘화함’을 아는 것을 가로되 ‘밝음’(明)이라 한다.
삶을 더하는 것을 가로되 ‘재앙’(祥)이요,
마음이 기를 부리는 것을 가로되 ‘굳셈’(强)이라 하니,
만물이 강장하면 곧 늙어지는 것을 ‘도가 아님’(不道)이라 일컬으니,
도가 아닌 것은 일찍 그친다.
앞의 제54장에서 “몸을 닦으매 그 덕이 이에 참되고, 집을 닦으매 그 덕이 이에 여유로우며, 마을을 닦으매 그 덕이 이에 오래하고, 나라를 닦으매 그 덕이 이에 풍요로우며, 천하를 닦으매 그 덕이 이에 넓다”라고 하여 수신(修身)을 하면 진실한 덕이 생기고 이 덕을 넓혀 나가 천하를 다스린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참다운 덕을 두텁게 간직한다는 것은 어떠한 상태인가? 덕을 두텁게 머금은 사람은 마치 갓난아이와 같다. 갓난아이는 그야말로 하늘이 부여한 성품을 그대로 간직하여, 아무 시비분별이 없고 자기에 대한 집착이 없으며, 따라서 상대에 대한 경계심도 없다. 이렇게 순진한 덕을 갖추고 있으니, 아무리 험한 곳에 가더라도 벌·전갈·살무사·뱀과 같은 독벌레가 쏘지 않고, 사나운 짐승이 달려들지 않으며, 독수리나 매와 같은 사나운 새와 맹수들이 잡지 못한다. 따라서 천진한 덕을 지니고 있는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
또한 갓난아이는 뼈는 약하고 힘줄은 부드럽지만, 갓난아이가 움켜쥐는 것은 견고하기만 하고, 암컷과 수컷의 합함(交合)을 알지 못하면서도 갓난아이의 생식기가 일어나는데, 이것은 바로 도의 근원에서 나오는 정(精)의 지극함이다. 그리고 날을 마치도록 하루 종일 부르짖어도 목이 쉬지 않는데, 이는 화함(조화)의 지극함이다.
그러면 정(精)의 지극함과 화함(和)의 지극함이란 무엇인가? 『심인경』에 “사람에게 모두 정(精)이 있으니, 정(精)은 그 신(神)과 합하고, 신(神)은 그 기(氣)와 합하고, 기(氣)는 체진(體眞)과 합하니, 그 진(眞)을 얻지 못하면, 다 모두 억지로 명명하는 것이다. 신(神)은 능히 돌에 들어가고, 신(神)은 능히 형체를 날며, 물에 들어가도 빠지지 않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는다. 신(神)은 형체에 의존하여 생하고, 정(精)은 기(氣)에 의존하여 가득해진다”(人各有精 精合其神, 神合其氣 氣合體眞, 不得其眞 皆是强名. 神能入石 神能飛形, 入水不溺 入火不焚, 神依形生 精依氣盈.)고 하였다. 이것이 정(精)의 지극함으로 기(氣)와 신(神)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조화의 경지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신(神)·기(氣)·정(精)의 화함을 아는 것을 ‘떳떳함’(常)이라 하고, 조화를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한다. 조화(화함)를 알면 떳떳한 도를 밝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떳떳하고 밝은 자연한 도를 알지 못하고 억지로 삶을 연장하려는 것은 자연의 도를 어기는 것이기 때문에 ‘재앙’(祥)이라 하고, 정(精)·기(氣)·신(神)의 조화를 모르고 마음이 욕심을 내어 기(氣)를 부리는 것을 ‘굳셈’(强)이라 한다. 『맹자』「공손추장구상」(公孫丑章句上)에서 맹자(孟子)께서 고자(告子)의 부동심(不動心)에 대하여 설명하기를 “… 무릇 뜻(意志)은 기(氣)의 장수요 기는 몸에 차있는 것이니, 무릇 뜻이 지극함이요, 기는 그 다음이다. 그러므로 (고자가) 말하기를 ‘그 뜻을 잡고도 그 기를 포악하게 함이 없어야 한다’고 하였다”(… 夫志 氣之帥也 氣 體之充也, 夫志至焉 氣次焉. 故 曰持其志 無暴其氣.)고 말씀하셨다. 이는 기(氣)의 강함보다도 근본인 마음(뜻)이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이렇게 억지로 삶을 연장하려 하고 욕심으로 기(氣)를 부려서 강해지기만 하면, 이는 곧 늙어 죽는 것을 의미하니, ‘도가 아님’(不道)이라 하는 것이다. 도가 아닌 것은 조화를 잃어 억지로 생명을 연장하려 해도 일찍 사멸하게 된다.
含德之厚는 比於赤子하니
蜂蠆虺蛇가 不螫하고
攫鳥猛獸가 不搏하나니라
骨弱筋柔하나 而握固하고
未知牝牡之合이나 而脧作하니 精之至也오
終日號라도 而不嗄하니 和之至也니
和曰常이오 知和曰明이라
益生曰祥이오
心使氣曰强이니
物壯則老를 謂之不道라하니
不道는 早已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08∼2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