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산책/도덕경

도덕경 제56장

돈호인 2020. 10. 14. 21:23

 

56. 知者章

     지자장

 

知者 不言 言者 不知

지자 불언 언자 부지

塞其兌 閉其門

색기태 폐기문 

挫其銳 解其紛

좌기예 해기분 

和其光 同其塵

화기광 동기진 

是謂玄同

시위현동 

故 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疏

고 불가득이친 불가득이소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불가득이리 불가득이해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불가득이귀 불가득이천

故 爲天下貴

고 위천하귀 

 

塞 : 막을 색  閉 : 닫을 폐  挫 : 꺾을 좌  銳 : 날카로울 예  解 : 풀 해

紛 : 어지러울 분  塵 : 티끌 진  玄 : 검을 현  疏 : 트일 소·멀리할 소·드물 소

賤 : 천할 천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하네.

그 구멍을 막고, 그 문을 닫으며,

그 날카로움을 꺾고, 그 어지러움을 풀며,

그 빛을 화하고, 그 티끌을 같이하면,

이를 ‘현묘하게 함께 한다’(玄同)고 일컫네.

그러므로 친하게 할 수 없고 멀리 할 수도 없으며,

이롭게 할 수 없고 해롭게 할 수도 없으며,

귀하게 할 수 없고 천하게 할 수도 없으니,

그러므로 천하가 귀하게 여기네.

 

 

  도를 안다는 것은 어떠한 것이고, 도를 얻는 상태는 어떠한 것인가? 또한 자유자재(自由自在)하다는 것은 어떠한 것인가? 세상의 그 무엇에도 걸림이 없는 상태는 어떠한 것인가?

  진정 도를 아는 자는 말이 없다. 왜냐하면 도의 경지라는 것은 말로 표현할 수 없고 형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도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터득하지 못한 사람들이 도를 운운(云云)한다. 그래서 말하는 자는 진정 도를 모르는 사람이다.

  도를 안다는 것은 어떠한 상태인가? 52장에서 그 구멍을 막고, 그 문을 닫으면 몸이 다하도록 힘들지 않다고 하였다. 이는 오욕칠정(五慾七情)의 입구가 되는 구멍(七竅)을 막고 온갖 욕심이 일어나는 마음의 문을 닫으면, 몸 안에 있는 도의 근원이 자연히 발하여 도를 터득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도를 터득하게 되면, 외계의 사물과 대립하여 발생하는 날카로움을 꺾을 수 있으며, 세상의 혼란함과 그로 인한 마음의 어지러움을 풀 수 있으며, 그 몸에서는 도에서 자연히 발하는 빛으로 화하며, 천하의 티끌 먼지에서도 자연의 도를 터득하여 함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를 터득하면 아무 걸림이 없이 현묘하게 천하를 함께할 수 있기 때문에 현동’(玄同)이라 하였다.

  그렇다면 도를 얻은 자는 어떠한가? 도를 얻었다는 것은 자연과 합일하여 아무 걸림이 없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를 얻은 자는 특별한 정을 가지고 친할 수 없고, 그렇다고 미워하는 마음이 들어 멀어질 수도 없다. 또한 사사로운 마음으로 이롭게 할 수 없으며, 그렇다고 해롭게 할 수도 없다. 그리고 귀하게 할 수 없으며, 그렇다고 천하게 할 수도 없다. 이렇게 도를 얻은 자는 천하의 그 무엇에도 분별하거나 차별하거나 사사로운 정을 품지 않기 때문에, 바로 귀한 존재가 되어 천하 모두가 귀하게 여기는 것이다.

 

知者는 不言이오 言者는 不知라

塞其兌하고 閉其門하며

挫其銳하고 解其紛하며

和其光하고 同其塵이면

是謂玄同이라

故로 不可得而親하고 不可得而疏하며

不可得而利하고 不可得而害하며

不可得而貴하고 不可得而賤하니

故로 爲天下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대학서림, 2005, 212213.

'동양고전산책 >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제58장  (0) 2020.10.14
도덕경 제57장  (0) 2020.10.14
도덕경 제55장  (0) 2020.10.14
도덕경 제54장  (0) 2020.10.13
도덕경 제53장  (0) 20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