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有始章
유시장
天下有始 以爲天下母
천하유시 이위천하모
旣得其母 以知其子
기득기모 이지기자
旣知其子 復守其母
기지기자 부수기모
沒身不殆
몰신불태
塞其兌 閉其門 終身不勤
색기태 폐기문 종신불근
開其兌 濟其事 終身不救
개기태 제기사 종신불구
見小曰明 守柔曰强
견소왈명 수유왈강
用其光 復歸其明 無遺身殃
용기광 복귀기명 무유신앙
是謂習常
시위습상
始 : 처음 시·근원 시 旣 : 이미 기 守 : 지킬 수 復 : 다시 부·회복할 복·돌아갈 복
沒 : 빠질 몰·다할 몰·망할 몰 殆 : 위태할 태 塞 : 막을 색
兌 : 기뻐할 태·모일 태·구멍 태 閉 : 닫을 폐
勤 : 부지런할 근·힘쓸 근·괴로워할 근 開 : 열 개 濟 : 건널 제·이룰 제·건질 제
救 : 구원할 구 歸 : 돌아갈 귀 遺 : 남을 유·끼칠 유
殃 : 재앙 앙 習 : 익힐 습
천하에 비롯함(근원)이 있어서 천하의 어머니가 되니,
이미 그 어머니를 앎에 그 자식을 알고,
이미 그 자식을 앎에 다시 그 어머니를 지키면,
몸이 다하매 위태롭지 않네.
그 구멍을 막고 그 문을 닫으면 몸이 마치도록 힘들지 않고,
그 구멍을 열고 그 일을 이루면 몸을 마치도록 구원하지 못하네.
작은 것(미미함)을 보는 것을 ‘밝음’이라 이르고, 부드러움을 지키는 것을 ‘강함’이라 이르니,
그 빛을 쓰고 그 밝음을 회복하면, 몸에 재앙을 남김이 없으니,
이를 일컬어 ‘습상’(習常)이라고 하네.
이 장은 도에 합일하는 요체를 말하였다. 제1장에서 “없음(無)은 천지의 처음을 일컫고 있음(有)은 만물의 어머니를 일컫는다”(無 名天地之始, 有 名萬物之母)고 하였다. 천하의 비롯함은 무(無)인데, 이 무(無)에서 유(有)가 나오니 유(有)는 만물의 어머니가 된다. 이를 여기에서는 ‘천하에 비롯함이 있어서 천하의 어머니가 된다’고 표현하였다.
천하 만물을 낳는 근원, 비롯함은 천하의 어머니가 된다. 이 천하의 어머니에서 만물이 나왔으니, 만물은 그 자식이 된다. 그러니 만물의 근원인 어머니를 알고, 만물이 그 어머니로부터 나온 자식이라는 것을 알면, 다시 만물의 어머니가 되는 도의 근원을 잘 지켜야 한다. 도의 근원인 어머니로부터 만물이 나왔기에, 그 근원을 잘 지키면 자식의 몸이 사라질 때까지 위태롭지 않게 된다. 『심인경』(心印經)에 “무(無)를 보존하고 유(有)를 지키면 한 순간에 이루어진다”(存無守有 頃刻而成)고 하였다.
그러면 만물의 어머니를 잘 지키는 방법은 무엇인가? 만물의 어머니인 도는 바로 인간의 몸에 있다. 『심인경』에 “단(丹)은 몸 가운데 있으니 희지도 않고 푸르지도 않다”(丹在身中 非白非靑)고 하였다. 『천부경』에서는 “도의 근본인 하나가 묘하게 퍼져서 만 번 가고 만 번 오는 가운데 현상계의 작용은 변해도 근본은 움직이지 않으며, 근본은 마음이고 태양같이 우러러 밝고 사람 가운데 천지와 더불어 하나인데, 그 하나로 마치되 마친 하나는 없다”(一妙衍 萬往萬來 用變不動本 本心本太陽昻明 人中天地一 一終无終一)고 하였다.
인간의 몸에 내재된 도의 근원, 즉 만물의 어머니를 지키는 방법은 육체의 구멍을 막고 문을 닫는 것이다. 태(兌)는 구멍을 뜻하는데, 사람 몸에서 외계의 사물을 인지하고 호흡하는 도구를 말한다. 즉 두 눈(眼)과 두 귀(耳)·두 콧구멍(鼻)·입(口)의 일곱 구멍(七竅)을 말한다. 바깥세상을 인지하는 통로가 되는 일곱 구멍은 온갖 욕망을 세상으로 치닫게 하는 문(門)이 된다. 그래서 만물의 어머니인 도를 지키려면 그 구멍을 막고 문을 닫으라고 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삼매(三昧)의 상태이다.
이렇게 세상의 현람함과 욕망으로 치닫는 일곱 구멍을 막고 속된 세상으로 통하는 문을 닫으면, 만물의 어머니인 도가 몸 안에 자연하여 몸이 다하도록 힘들거나 괴롭지 않게 된다. 그러나 그 구멍을 열어 욕심이 발동하고 그 문을 열어 부귀공명의 세계로 나가게 되면, 몸이 다하도록 세상을 구원하지도 못하고 정작 그 몸도 구원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몸에 있는 구멍과 문을 닫으면 어떻게 되는가? 바깥세상으로 통하는 구멍을 막고 바깥세상과의 출입문을 닫으면, 몸 안에 있는 자연한 도의 근원이 묘한 작용을 하게 됨을 보게 되는데, 이것을 ‘작는 것을 본다’라고 했고 또한 이를 ‘밝음’이라 하였다. 즉, 바깥세계의 화려함을 닫으면 몸 안에서 밝음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만물의 어머니인 도는 아주 미미하면서도 부드러움을 지니고 있는데, 이 부드러운 기운을 지키면 결국 굳센 것을 이기기 때문에 이를 ‘강함’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몸 안에 내재되어 있는 만물의 어머니로부터 나오는 빛으로 세상을 비추고 그 밝음을 회복하면, 저절로 몸에 있는 재앙이 사라지게 되는데, 이를 일컬어 ‘습상’(習常)이라고 하였다. ‘습상’이란 떳떳한 도를 이어 익혀나가는 것을 말한다.
天下有始하야 以爲天下母하니
旣得其母에 以知其子하고
旣知其子에 復守其母하면
沒身不殆니라
塞其兌하고 閉其門하면 終身不勤이오
開其兌하고 濟其事하면 終身不救니라
見小曰明이오 守柔曰强이니
用其光하고 復歸其明이면 無遺身殃이니
是謂習常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196∼19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