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出生章
출생장
出生入死
출생입사
生之徒 十有三
생지도 십유삼
死之徒 十有三
사지도 십유삼
人之生 動之死地 亦十有三
인지생 동지사지 역십유삼
夫何故 以其生生之厚
부하고 이기생생지후
蓋聞善攝生者
개문선섭생자
陸行 不遇兕虎
육행 불우시호
入軍 不被甲兵
입군 불피갑병
兕無所投其角
시무소투기각
虎無所措其爪
호무소조기조
兵無所容其刃
병무소용기인
何故 以其無死地
하고 이기무사지
徒 : 무리 도 夫 : 무릇 부 厚 : 두터울 후 蓋 : 대개 개 聞 : 들을 문
攝 : 당길 섭·가질 섭·도울 섭·다스릴 섭 陸 : 뭍 륙 遇 : 만날 우 兕 : 외뿔소 시
虎 : 범 호 被 : 입을 피 甲 : 갑옷 갑 投 : 던질 투 措 : 둘 조 爪 : 손톱 조
刃 : 칼날 인
삶에 나와서 죽음에 들어가는데,
살려는 무리가 열에 셋이 있으며,
죽으려는 무리가 열에 셋이 있으며,
사람이 살면서 죽음의 땅에 움직여 가는 자도 또한 열에 셋이 있으니,
무릇 어찌된 까닭인가? 살고 살려는 두터움 때문이네.
대개 듣건대 “삶을 잘 다스리는 자는
뭍으로 가매 외뿔소나 호랑이를 만나지 않으며,
군대에 들어가매 갑옷과 병기를 입지 않으니,
외뿔소가 그 뿔을 던지는 바가 없고,
호랑이가 그 발톱을 드는 바가 없고,
병사가 그 칼날을 받아들이는 바가 없다”고 하니,
어찌된 까닭인가? 그 죽음의 땅이 없기 때문이네.
과연 무심(無心)․무위(無爲)의 도를 체득한 경지는 어떠한 경지인가? 성인도 보통 사람과 마찬가지로 육신을 지니고 살아간다. 그렇다면 살아가는 법에 있어 세상 사람과 성인의 차이는 어디에 있는가? 여기에서는 도를 터득한 성인의 심법을 보여준다.
사람이 태어나서 죽는 것은 무슨 이치인가? 태어남과 동시에 죽음의 문을 향하여 나아가는 것이 세상살이이다. 그렇다면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음은 또 하나의 삶을 맞이하는 문이 된다.
이렇게 삶으로 나와서 죽음에 들어가는 세상살이에서 그저 자기 명대로 순하게 살려고 하는 무리가 열 가운데 셋이고, 삶의 본질을 깨닫지 못하여 죽으려고 하는 자가 열 가운데 셋이며, 또한 그렇지 않아도 죽음을 향하여 가고 있음에도 그 죽음의 땅을 향하여 돌진하는 무리가 열 가운데 셋이다. 이렇게 그저 살려고 하고, 죽으려고 하고, 죽음으로 돌진하는 무리가 있는 까닭은 삶과 죽음의 이치를 모르고 자기만 살려고 하거나 남보다 더 잘 살려는 욕심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삶의 본질을 터득하여 이 인생을 잘 다스려가는 자는 결국 열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그러면 삶의 본질을 터득하여 인생을 잘 다스려가는 자의 인생은 어떠한가? 삶에 대한 집착과 애착이 없으니, 삶과 죽음을 초월하여 아무 걸림이 없는 삶을 살아가는 자가 바로 인생을 잘 다스려가는 자이다. 어떤 이가 말하기를 “삶을 잘 다스리는 자는 뭍으로 가매 외뿔소나 호랑이를 만나지 않으며, 군대에 들어가매 갑옷과 병기를 입지 않으니, 외뿔소가 그 뿔을 던지는 바가 없고, 호랑이가 그 발톱을 드는 바가 없고, 병사가 그 칼날을 받아들이는 바가 없다”고 하였다.
삶과 죽음의 이치를 깨달아 아무 걸림이 없는 자는 육지의 험한 곳으로 가도 무서운 외뿔소나 호랑이를 만나지 않고, 설사 군사로 전쟁터에 나가더라도 살육(殺戮)의 도구인 갑옷과 병기를 입지 않게 된다. 즉, 삶에 초연한 자에게는 외뿔소가 그 뿔을 들이대는 바가 없고, 호랑이가 그 발톱을 들지 않으며, 적군이 그 칼날을 들이대지 않는 것이다. 이는 무슨 까닭인가? 삶의 본질을 터득하여 인생을 잘 다스려가는 자에게는 정작 그 죽음의 땅이 없기 때문이다.
『장자』(莊子)에는 죽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내편 제물론」(內篇 齊物論)에서 “죽음을 싫어하는 것은 어려서 집을 뛰쳐나와 돌아갈 곳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惡死之 弱喪而不知歸)라고 하였다. 「내편 덕충부」(內篇 德充符)에서는 “삶과 죽음을 하나로 여기고, 옳음과 옳지 않음을 하나로 여긴다”(以死生爲一條 以可不可爲一貫)고 하였다. 「내편 대종사」(內篇 大宗師)에서는 “옛날 진인은 삶을 기뻐할 줄 몰랐고, 죽음을 싫어할 줄도 몰랐다”(古之眞人 不知說生 不知惡死)고 하였고, 또한 “무(無)로 머리를 삼고, 삶으로 등을 삼으며, 죽음으로 엉덩이를 삼는다”(以無爲首 以生爲脊 以死爲尻)고 하였다.
出生入死에
生之徒가 十有三이오
死之徒가 十有三이며
人之生에 動之死地도 亦十有三이니
夫何故오 以其生生之厚일새니라
蓋聞善攝生者는
陸行에 不遇兕虎하며
入軍에 不被甲兵하나니
兕無所投其角이오
虎無所措其爪오
兵無所容其刃이라하니
何故오 以其無死地일새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191∼1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