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 爲學章
위학장
爲學 日益 爲道 日損
위학 일익 위도 일손
損之又損 以至於無爲
손지우손 이지어무위
無爲而無不爲
무위이무불위
取天下 常以無事 及其有事
취천하 상이무사 급기유사
不足以取天下矣
부족이취천하의
益 : 더할 익 損 : 덜 손 及 : 미칠 급
학문을 하매 날로 더하고, 도를 닦으매 날로 덜어내니,
덜어내고 또 덜어서 함이 없음(無爲)에 이르면,
함이 없어도 하지 않음이 없으니,
천하를 취하매 항상 일삼는 바가 없음(無事)으로 하다가 그 일삼는 바가 있음(有事)에 미치면,
족히 천하를 취하지 못할 것이다.
이 장에서는 무사(無事)·무위(無爲)의 도를 말하고 있다.
세상의 일을 지식으로 삼아 배우면 나날이 그 지식이 보태져 간다. 그런데 이러한 지식은 세상을 어지럽게 하는 교만한 지혜로 변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도를 닦으면 이와는 반대로 나날이 덜어낸다. 무사(無事)·무위(無爲)의 도를 따르는 것은 모든 욕심을 덜어내는 것이다. 손해를 본다, 덜어낸다는 『주역』‘산택손괘’(山澤損卦) 괘상전에 “상에 가로되 산 아래에 연못이 있는 것이 손(損)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성냄을 경계하고 욕심을 막는다”(象曰 山下有澤 損 君子 以 懲忿窒欲)고 하였다. 그래서 덜어내고 또 덜어내서 인위적으로 함이 없는 무위(無爲)의 경지에 이르면, 무위(無爲)에서 나오는 자연한 원리로 모든 일을 하지 않음이 없게 된다.
그런데 천하를 취하려는 자가 이러한 도를 따라 무위(無爲)로 하다가도 세상사의 번잡함을 막고 천하를 통일하려는 욕심으로 유위(有爲)의 일을 하게 되면, 결국에는 천하를 취하지 못한다.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를 이룬다는 것은 그만큼 어려운 것이다. 『중용』제11장에서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군자가 도를 좇아 행하다가 중도에서 그만두니 나는 능히 그만두지 못하노라.
(君子遵道而行 半途而廢, 吾弗能已矣.)
爲學에 日益하고 爲道에 日損하나니
損之又損하야 以至於無爲면
無爲而無不爲니
取天下에 常以無事로 及其有事면
不足以取天下矣리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185∼18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