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산책/도덕경

도덕경 제30장

돈호인 2020. 10. 6. 22:06

 

30. 以道章

     이도장

 

以道佐人主者 不以兵强天下

이도좌인주자 불이병강천하

其事 好還

기사 호환 

師之所處 荊棘 生焉

사지소처 형극 생언

大軍之後 必有凶年

대군지후 필유흉년 

善者 果而已 不敢以取强

선자 과이이 불감이취강

果而勿矜

과이물긍

果而勿伐

과이물벌 

果而勿驕

과이물교 

果而不得已

과이부득이

是謂果而勿强

시위과이물강 

物壯則老

물장즉로 

是謂不道

시위부도 

不道 早已

부도 조이

 

佐 : 도울 좌  好 : 좋아할 호  還 : 돌아올 환  師 : 군사 사  荊 : 가시나무 형

棘 : 가시 극  凶 : 흉할 흉  果 : 실과 과  矜 : 자랑할 긍  伐 : 자랑할 벌

驕 : 교만할 교  壯 : 씩씩할 장  老 : 늙을 로  早 : 일찍 조  已 : 따름 이·그칠 이 

 

도로써 인주(군주)를 돕는 자는 병사로써 천하를 강점하지 않으니,

그 일은 되돌아오기 마련이다.

군사가 처한 곳에 가시나무가 나오며,

대군이 지나간 뒤에는 반드시 흉년이 있다.

용병을 잘 하는 자는 결과를 이룰 뿐이요 감히 강함을 취하지 않으니,

결과를 이루어도 자랑하지 말며,

결과를 이루어도 공을 내세우지 말며,

결과를 이루어도 교만하지 말며,

결과를 이루어도 마지못해 하니,

이를 일컬어 결과를 이루어도 강하게 하지 말라는 것이다.

사물이 강장하면 곧 쇠퇴하니, 

이를 일컬어 "도가 아니다"라고 하니,

도가 아닌 것은 일찍 그친다.

 

 

  앞의 제29장에서 천하는 신비스런 그릇이어서 가히 도모하지 못하니, 도모하고자 하는 자는 패하고 잡으려고 하는 자는 잃는다고 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성인은 심함을 버리고 사치스러움을 버리며 교만함을 버린다고 하였다. 이렇게 천하를 취하고자 강하게 하거나 교만하게 하지 않는 이유를 이 장에서 밝히고 있다.

  천지자연의 근원인 도로써 인주(人主 : 군주)를 돕는 사람은 병사를 동원하여 무력으로 천하를 강점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억지로 무력을 사용하여 천하를 얻게 되면, 패한 자는 힘을 길러 다시 무력을 동원하여 천하를 강점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즉 무력을 통하여 천하를 강점하고자 하는 일은 이기고 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 일은 되돌아오기 마련이다고 하였다.

  이러한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세상은 어떠한가? 군대가 머무는 곳에는 약탈과 폭력이 난무하니 평화와 풍요로움이 황폐하게 되어 오로지 가시덩굴만 자라게 된다. 또한 군대를 동원하여 전쟁을 하려면 젊은이들을 차출하여 병사로 만드니, 농사를 짓거나 생업에 종사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대군이 지나간 뒤에는 반드시 흉년이 들게 된다.

  그렇지만 난리가 나고 외적의 침입이 있을 때에는 부득이 병사를 동원하여 무력을 쓰지 않을 수가 없다. 이렇게 부득이한 경우 외에는 무력으로 강함을 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부득이하게 무력을 쓰는 경우에도 용병을 잘 하는 자(도로써 군주를 돕는 자)는 마지못해 난을 평정하는 결과를 이룰 뿐, 무력으로 천하를 취하고자 하지 않는다. 그래서 용병을 잘 하는 자는 결과를 이룰 뿐이요 감히 강함을 취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더 나아가 도로써 군주를 보좌하는 자는 난을 평정하는 결과를 이루었어도 그 공을 자랑하거나 내세우거나 교만하지 않고, 부득이 마지못해 한다. 이를 일컬어 결과를 이루어도 강하게 하지 말라는 것이다.

  자연과 세상의 이치를 보면 강장하게 되면 곧 쇠퇴하게 된다. 그래서 강장함을 쓰는 것은 도가 아니고, 도가 아닌 것은 곧 바로 사라지게 된다. 자연의 이치를 보면, 강력한 태풍이나 지진은 세상에 황폐한 흔적만 남기고 곧 사라진다. 인간사회의 이치를 보면, 강력한 군대로 천하를 강점하면 폭력과 압제의 흔적만 남기고 곧 사라진다.

 

  태평한 세상을 나타내고 있는 주역지천태괘’(地天泰卦) 구삼효사(九三爻辭)에 보면 구삼은 평평하다가 기울어지지 않음이 없으며, 가다가 돌아오지 않음이 없으니, 어렵게 하고 바르게 하면 허물이 없어서, 근심치 말더라도 그 미더운지라. 먹는 데에 복이 있을 것이다”(九三 无平不陂 无往不復, 艱貞 无咎 勿恤 其孚. 于食 有福.)라고 하였다. 세상의 이치라는 것은 평평하다가도 가파른 언덕이 있듯이 태평하다가도 어려운 시대가 오게 된다. 그러니 강함을 쓰면 그 강함이 가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다. 어렵게 하고 바르게 하면 허물이 없다. 그러면 근심하지 않아도 천하 백성이 편안하게 잘 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태평한 세상이 기울어진 상황을 설명한 지천태괘상육효사(上六爻辭)에는 상육은 성이 (무너져) 해자(垓字: )에 돌아온다. 군사를 쓰지 말고 읍으로부터 명을 고할지니, 바르더라도 인색하다”(上六 城復于隍. 勿用師 自邑告命, 吝.)고 하였다. 태평한 세상이 기우니, 성대하고 화려했던 성도 무너져 황폐한 터만 남았다. 그러니 군사를 동원하여 천하를 강점하려고 하지 말고, 스스로의 천명을 돌이켜 반성하라는 뜻이다.

 

以道佐人主者는 不以兵强天下하나니

其事는 好還이니라

師之所處에 荊棘이 生焉하며

大軍之後에 必有凶年이라

善者는 果而已오 不敢以取强이니

果而勿矜하며

果而勿伐하며

果而勿驕하며

果而不得已하니

是謂果而勿强이라

物壯則老하니

是謂不道라하니

不道는 早已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대학서림, 2005, 125∼127.

'동양고전산책 >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제32장  (0) 2020.10.07
도덕경 제31장  (2) 2020.10.07
도덕경 제29장  (0) 2020.10.06
도덕경 제28장  (0) 2020.10.06
도덕경 제27장  (0) 20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