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善行章
선행장
善行 無轍迹
선행 무철적
善言 無瑕謫
선언 무하적
善數 不用籌策
선수 불용주책
善閉 無關楗而不可開
선폐 무관건이불가개
善結 無繩約而不可解
선결 무승약이불가해
是以 聖人
시이 성인
常善救人 故 無棄人
상선구인 고 무기인
常善救物 故 無棄物
상선구물 고 무기물
是謂襲明
시위습명
故 善人者 不善人之師
고 선인자 불선인지사
不善人者 善人之資
불선인자 선인지자
不貴其師 不愛其資
불귀기사 불애기자
雖智 大迷
수지 대미
是謂要妙
시위요묘
轍 : 바퀴자국 철 迹 : 자취 적 瑕 : 티끌 하 謫 : 꾸직을 적·귀양갈 적
瑕謫 : 잘못·결점 籌 : 산가지 주 策 : 산가지 책 閉 : 닫을 폐 關 : 문빗장 관
楗 : 문빗장 건 結 : 맺을 결 約 : 묶을 약 繩 : 줄 승 解 : 풀 해 救 : 구원할 구
棄 : 버릴 기 襲 : 이을 습 資 : 바탕 자
잘 가는 사람은 바퀴자국을 남기지 않고,
잘 말하는 사람은 흠잡을 것이 없고,
잘 계산하는 사람은 산가지를 쓰지 않고,
잘 닫는 사람은 빗장이 없어도 열지 못하게 하며,
잘 맺는 사람은 줄을 묶음이 없어도 풀지 못하게 하니,
이로써 성인은
항상 사람을 잘 구원하므로 버리는 사람이 없으며,
항상 물건을 잘 구원하므로 버리는 물건이 없으니,
이를 ‘밝음을 잇는다’(襲明)고 일컫는다.
그러므로 잘하는 사람은 잘하지 못하는 사람의 스승이요,
잘하지 못하는 사람은 잘하는 사람의 바탕이다.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기지 않고 그 바탕을 사랑하지 않으면,
비록 지혜롭더라도 크게 미혹하게 되니,
이를 ‘오묘한 진리의 요체’(要妙)라고 일컫는다.
이 장에서는 도를 체득한 성인이 세상을 위해 일하는 모습은 어떠한가를 그리고 있다.
일반 사람들은 무슨 일을 하든지 간에 요란하게 하면서 항상 그 일의 찌꺼기를 남기게 된다. 그러나 도를 체득한 성인은 무슨 일을 하든지 그 일을 완벽하게 하면서도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이를 표현하여 “길을 잘 가는 사람은 마차를 타고 길을 가더라도 그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고 하였다.
세상 사람들은 말을 하면서 자기를 앞세우고 그것도 부족해 남을 꾸짖고 흠을 잡는다. 그래서 세상 사람들이 말을 하게 되면 항상 흠을 남기고, 서로의 잘못을 꾸짖는 고성이 오간다. 그러나 성인과 같이 말을 잘 하는 사람은 아무런 흠을 남기지 않고 남을 꾸짖음이 없이 그대로 감화시킨다. 그래서 “잘 말하는 사람은 흠잡을 것이 없다”고 하였다. 돈독한 마음으로 중도를 지켜 돼지나 물고기까지 믿게 한다는 『주역』‘풍택중부괘’(風澤中孚卦) 구이효(九二爻)에 “구이는 우는 학이 그늘에 있거늘, 그 자식이 화답하도다. 나에게 좋은 벼슬이 있어서 내가 너와 더불어 얽히노라”(九二 鳴鶴 在陰 其子 和之. 我有好爵 吾與爾靡之.)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공자는 「계사상전」제8장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우는 학이 그늘에 있거늘, 그 자식이 화답하도다. 나에게 좋은 벼슬이 있어서 내가 너와 더불어 얽히노라”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가 그 집에 거해서 그 말을 냄에 선하면 천리 밖에서 응하니, 하물며 그 가까운 데 있어서랴! 그 집에 거해서 그 말을 냄에 불선하면 천리 밖에서 어기나니, 하물며 그 가까운 데 있어서랴! 말이 몸에서 나와 백성에게 더하며, 행실이 가까운 데서 발해 먼 곳에서 나타나니, 언행은 군자의 추기(樞機 : 지도리와 기틀)니, 추기의 발함이 영예와 욕됨의 주가 된다.”(鳴鶴在陰 其子和之 我有好爵 吾與爾靡之. 子曰君子 居其室 出其言 善 則千里之外 應之 況其邇者乎! 居其室 出其言 不善 則千里之外 違之 況其邇者乎! 言出乎身 加乎民, 行發乎邇 見乎遠, 言行 君子之樞機, 樞機之發 榮辱之主也. 言行 君子之所以動天地也 可不愼乎!)
세상 사람들은 이해관계를 따지며 자기에게 있는 것을 계산하기 위해 주판이나 전자계산기 등을 동원해 계산하지만, 진짜 계산을 잘 하는 사람은 그러한 계산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잘 계산하는 사람은 산가지를 쓰지 않는다”고 하였다.
세상 사람들은 재산을 지키기 위해 온갖 자물쇠를 동원하여 이중 삼중으로 굳게 닫지만 오히려 도적의 손길을 막지 못하는데, 성인은 강제적이고 인위적인 자물쇠로 굳게 채우지 않고도 감히 문을 열지 못하게 한다. 그래서 “잘 닫는 사람은 빗장이 없어도 열지 못하게 한다”고 하였다. 마찬가지로 세상 사람들은 자기의 물건을 감추기 위해 포장하고 묶기를 번거롭게 하지만, 진짜 잘 묶는 사람은 묶지 않고도 풀지 못하게 한다. 그래서 “잘 맺는 사람은 줄을 묶음이 없어도 풀지 못하게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성인은 세상 사람처럼 요란하게 자취를 남기거나 흠을 남기거나 계산기를 동원하거나 온갖 자물쇠로 채우거나 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자유자재하게 세상 사람들을 구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버림이 없다. 또한 세상을 위한 일에 모든 물건을 적재적소(適材適所)에 사용하니, 어느 물건도 버림이 없다. 『주역』‘택풍대과괘’(澤風大過卦) 초육효(初六爻)에 “초육은 (제사를 드리기 위해) 자리를 까는데 희 띠를 쓰니 허물이 없다”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공자는 「계사상전」제8장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초육은 (제사를 드리기 위해) 자리를 까는데 희 띠를 쓰니 허물이 없다”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진실로 저 땅에 두더라도 괜찮은데 까는데 희 띠를 쓰니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삼감의 지극함이다. 무릇 띠의 물건됨이 박하지만 쓰는 것은 중히 여기는 것이니, 이 방법을 삼가서 써 가면 그 잃는 바가 없을 것이다.”(初六藉用白茅 无咎, 子曰 苟錯諸地 而可矣, 藉之用茅 何咎之有! 愼之至也. 夫茅之爲物 薄而用 可重也, 愼斯術也 以往 其无所失矣.)
이렇게 어느 누구도 버리지 않고 천하 사람을 구원하고, 어느 물건 하나도 버림이 없이 천하 물건을 잘 구원하는 것을 성인의 ‘거듭된 밝음’이라고 한다. 밝음을 잇고 또한 밝음을 거듭하여 ‘습명’(襲明)이라고 하였다.
『대학』에 “대학의 도는 밝은 덕을 밝힘에 있고, 백성과 친함에 있으며, 지극한 선에 그침에 있다”(大學之道 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고 하였듯이, 밝은 성인이 어두운 백성을 가까이하면서 교화하여 밝게 하고, 이를 통하여 모두가 밝아서 지극히 착한 상태에 이르도록 하지 않으면, 성인의 밝음이 이어지지 않고 세상의 교화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성인은 세상 사람이 가르침을 받고 본받는 스승이 되고, 세상 사람은 성인이 밝은 덕을 베풀어 교화하는 바탕이 된다. 또한 세상 사람들은 성인의 가르침을 본받아 누구나 다 도를 얻을 수 있는 기본 바탕이 있다. 그래서 “잘하는 사람(성인)은 잘하지 못하는 사람의 스승이요, 잘하지 못하는 사람은 잘하는 사람의 바탕이다”라고 하였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이 성인을 존중하여 귀하게 여기지 않고 또한 성인이 세상 사람들을 사랑하지 않으면 습명(襲明)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그래서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기지 않고 그 바탕을 사랑하지 않으면, 비록 지혜롭더라도 크게 미혹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렇게 성인과 세상 사람들이 서로를 존중하고 서로를 사랑하면서 그 밝음을 이어 천하가 모두 착하게 되는 것을 ‘오묘한 진리의 요체’(要妙)라고 일컫는 것이다.
善行은 無轍迹하고
善言은 無瑕謫하며
善數는 不用籌策하고
善閉는 無關楗而不可開하며
善結은 無繩約而不可解하나니
是以로 聖人은
常善救人일새 故로 無棄人하며
常善救物일새 故로 無棄物하니
是謂襲明이라
故로 善人者는 不善人之師오
不善人者는 善人之資라
不貴其師하고 不愛其資하면
雖智라도 大迷니
是謂要妙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112∼11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