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兵者章
병자장
夫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부병자 불상지기 물혹오지
故 有道者 不處
고 유도자 불처
君子 居則貴左 用兵則貴右
군자 거즉귀좌 용병즉귀우
兵者 不祥之器 非君子之器
병자 불상지기 비군자지기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 勝而不美
부득이이용지 염담위상 승이불미
而美之者 是樂殺人
이미지자 시락살인
夫樂殺人者 則不可得志於天下矣
부락살인자 즉불가득지어천하의
吉事 尙左 凶事 尙右
길사 상좌 흉사 상우
偏將軍 居左 上將軍 居右
편장군 거좌 상장군 거우
言以喪禮 處之
언이상례처지
殺人之衆 以悲哀 泣之
살인지중 이비애 읍지
戰勝 以喪禮 處之
전승 이상례 처지
夫 : 무릇 부 祥 : 상서로울 상 惡 : 싫어할 오 恬 : 편안할 념
淡 : 담박할 담 殺 : 죽일 살 尙 : 숭상할 상 偏 : 치우칠 편
悲 : 슬플 비 哀 : 슬플 애 泣 : 울 읍
무릇 병기(兵器)이라는 것은 상서롭지 못한 그릇이기 때문에 만물이 언제나 싫어하니,
그러므로 도가 있는 자는 처하지 않는다.
군자는 평상시에는 왼쪽을 귀하게 여기고, 병기를 쓸 때에는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병기라는 것은 상서롭지 못한 그릇이고 군자의 그릇이 아니기 때문에,
마지못해서(부득이) 사용하게 되면, 초연하고 담담함을 으뜸으로 삼고 이겨도 아름답게 여기지 않으니,
아름답게 여기는 것은 곧 사람 죽임을 즐거워하는 것이다.
무릇 사람 죽임을 즐거워하는 자는 곧 가히 천하에 뜻을 얻지 못할 것이다.
길한 일은 왼쪽을 숭상하고 흉한 일은 오른쪽을 숭상하며,
편장군(부장군)은 왼쪽에 거하고 상장군(대장군)은 오른쪽에 거하니,
상례로써 처함을 말한 것이다.
사람 죽임이 많으면 슬픔으로써 울고,
싸워 이기더라도 상례로써 처한다.
앞의 제30장에서는 도로써 군주를 보필하는 자는 군대를 동원하여 천하를 강점하려 하지 않고, 부득이 무력을 쓰는 경우에도 난을 평정하는 결과를 이룰 뿐 다시 천하를 무력으로 취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 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무력을 사용할 경우에 취해야 할 도리를 밝히고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을 죽이고 천지를 황폐하게 하는 전쟁은 천하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것이다. 그러니 사람 죽이는 것에 능하여 전투를 잘 하는 병사나 그 병사가 사용하는 무기들은 상서로운 것이 못된다. 이러한 것들은 하늘과 천하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기에 도를 따르는 군자는 이러한 상서롭지 못한 상황에 처하지 않는다.
자연의 이치를 보면 왼쪽은 양(陽)으로 하늘을 의미하고, 오른쪽은 음(陰)으로 땅을 의미한다. 하늘은 높고 땅은 낮기 때문에(天尊地卑), 왼쪽은 상서로운 기운에 응하고 오른쪽은 상서롭지 않은 기운에 응한다. 이러한 이치에 따라 공수(拱手)하는 법을 예로 들면, 길한 예에서는 모두 왼 손을 오른 손 위로 올리고, 흉한 일에서는 오른 손을 왼 손 위로 올리게 된다. 또한 상례(喪禮)에서 축문(祝文)을 읽을 때에도 일단 상을 당하면 흉한 일이기에 초상(初喪)에서 삼우제(三虞祭)를 지낼 때까지는 축문을 오른 쪽에서 읽지만, 그 이후에는 조상을 기리는 제사의 예가 되어 길한 일이기 때문에 왼 쪽에서 축문을 읽게 된다.
그래서 군자는 평상시에는 항상 상서로움을 생각하기 때문에 왼쪽을 귀하게 여긴다. 그런데 군대를 동원하여 사람을 살육하는 병사를 쓰는 것은 상서롭지 않은 것이기에, 병사를 쓰는 경우에는 상서롭지 않은 기운을 나타내는 오른쪽을 귀하게 여긴다. 상서롭지 않은 상황에 처할 경우의 군자의 도를 말하는 것이다.
사람을 살육하는 일을 맡은 병사나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그릇이고, 이는 천하 백성의 편안한 삶을 도모해야 하는 군자의 그릇이 아니다. 그렇지만 인간 세상에서는 부득이하게 병사를 동원해서 무력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마지못해서 병사를 사용할 경우에도 군자는 살기등등(殺氣騰騰)하거나 혈기(血氣)로 임하지 않고, 초연하고 담담한 마음으로 병기를 사용하며, 그러한 전쟁에서 이기더라도 이를 아름답게 여기지 않는다. 왜냐하면 전쟁에 이김을 아름답게 여긴다는 것은 사람 죽이는 일을 즐거워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사람 죽이는 일을 즐거워하는 자는 결코 천하의 뜻을 얻지 못한다. 『맹자』「양혜왕장구상」(梁惠王章句上)에서 맹자는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는 자가 능히 천하를 통일할 수 있다”(不嗜殺人者能一之)고 하였다. 『주역』「계사상전」제11장에서 공자(孔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무릇 역은 어찌해서 만든 것인가. 무릇 역은 사물을 열고 천하의 도를 덮나니 이와 같을 따름이다. 이런 까닭으로 성인이 이로써 천하의 뜻을 통하며, 천하의 업을 정하며, 천하의 의심을 판단한다. 이런 까닭에 시초의 덕은 둥글며 신비스럽고, 괘의 덕은 방정함으로써 알고, 육효의 뜻은 바뀜으로써 고하니, 성인이 이로써 마음을 닦아서 물러가 주밀한데 감추며, 길흉에 백성과 더불어 한가지로 근심해서, 신으로써 오는 것을 알고 지혜로써 지나간 일을 간직하니, 그 누가 능히 이에 참여하겠는가. 옛적에 총명하고 착하고 지혜롭고 신비스러운 무력을 가지고도 사람을 죽이지 않는 자이다.”(子曰夫易 何爲者也. 夫易 開物成務 冒天下之道 如斯而已者也. 是故 聖人 以通天下之志 以定天下之業 以斷天下之疑. 是故 蓍之德 圓而神, 卦之德 方以知, 六爻之義 易以貢, 聖人 以此 洗心 退藏於密, 吉凶 與民同患, 神以知來 知以藏往, 其孰能與於此哉! 古之聰明叡知神武而不殺者夫.)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자연의 이치나 인간사의 이치가 모두 길한 일은 왼쪽을 숭상하고 흉한 일은 오른쪽을 숭상하게 된다. 그래서 전쟁에 임하여 직접 전투를 하지 않는 편장군(부장군)은 왼쪽에 거하고, 선봉장이 되어 직접 병사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상장군(대장군)은 오른쪽에 거하는데, 바로 길한 일에는 왼쪽을 숭상하고 흉한 일에는 오른 쪽을 숭상하는 상례에 따르는 것이다. 부득이하여 행하는 전쟁이라 할지라도, 전쟁에는 많은 사람의 죽음이 뒤따르게 된다. 그러니 마치 상(喪)을 당한 것처럼 애도하는 마음을 지녀야 하며, 이기더라도 승전(勝戰)의 예를 상례에 따른다.
夫兵者는 不祥之器일새 物或惡之하나니
故로 有道者는 不處니라
君子는 居則貴左하고 用兵則貴右라
兵者는 不祥之器오 非君子之器일새
不得已而用之인댄 恬淡爲上하고 勝而不美하나니
而美之者는 是樂殺人이라
夫樂殺人者는 則不可得志於天下矣리라
吉事는 尙左하고 凶事는 尙右하며
偏將軍은 居左하고 上將軍은 居右하나니
言以喪禮로 處之니라
殺人之衆이면 以悲哀로 泣之하고
戰勝이라도 以喪禮로 處之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128∼13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