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企者章
기자장
企者 不立
기자 불립
跨者 不行
과자 불행
自見者 不明
자현자 불명
自是者 不彰
자시자 불창
自伐者 無功
자벌자 무공
自矜者 不長
자긍자 부장
其在道也
기재도야
曰餘食贅行 物或惡之
왈여식췌행 물혹오지
故 有道者 不處
고 유도자 불처
企 : 발돋움할 기 跨 : 넘을 과·사타구니 과·걸터앉을 고 見 : 볼 견·나타낼 현
是 : 옳을 시 彰 : 밝을 창 伐 : 자랑할 벌 矜 : 불쌍히 여길 긍·공경할 긍·자랑할 긍
餘 : 남을 여 贅 : 군더더기 췌·혹 췌 惡 : 악할 악·미워할 오
발돋움하는 자는 제대로 서있지 못하고
가랑이 벌리는 자는 제대로 가지 못하니,
스스로 드러내는 자는 밝지 못하고,
스스로 옳은 체 하는 자는 드러나지 못하고,
스스로 자랑하는 자는 공이 없고,
스스로 과시하는 자는 우두머리가 되지 못하니,
그 도에 있어서 가로되
“먹다 남은 음식 찌꺼기와 군더더기 행동"이기 때문에, 만물이 혹 싫어하니,
그러므로 도가 있는 자는 그러함에 처하지 않는다.
기(企)라는 것은 남보다 크게 보이려고 발뒤꿈치를 드는 것을 말하고, 과(跨)라는 것은 남보다 크게 걷는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하여 사타구니를 벌리고 큰 보폭으로 걷는 것을 말한다. 그러니 발뒤꿈치를 들고 서 있는 것은 오래 제대로 서 있을 수가 없고, 사타구니를 벌리고 큰 보폭으로 걷는 것은 멀리 가지 못한다. 이는 본연의 모습을 감추고 남보다 더 잘 보이게 하려고 과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모습을 다시 말하면, 스스로 자기 입장을 드러내는 자는 결국 밝지 못한 것이고, 스스로 옳다고 주장하는 자는 결국 그 옳은 바가 드러나지 못하며, 스스로 잘한다고 자랑하는 자는 결국 공이 없는 것이고, 스스로 과시하는 자는 진정한 우두머리가 될 수 없다. 이와 같은 언행을 도의 입장에서 보면, 마치 “음식을 먹다가 남은 찌꺼기요 군더더기 같은 행동"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모두 싫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가 있는 사람은 그러한 찌꺼기와 같고 군더더기와 같은 언행에 처하지 않는다. 본연의 모습을 가리고 허세와 허영, 과장과 자만에 빠진 행동은 오래가지 못함을 경계하면서, 도 본연의 모습으로 살아야 함을 말하였다.
企者는 不立하고
跨者는 不行하니
自見者는 不明하고
自是者는 不彰하며
自伐者는 無功이오
自矜者는 不長이니
其在道也에
曰餘食贅行일새 物或惡之하나니
故로 有道者는 不處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103∼10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