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산책/도덕경

도덕경 제13장

돈호인 2020. 10. 2. 13:05

 

 

13. 寵辱章

     총욕장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총욕약경 귀대환약신

何謂寵辱若驚

하위총욕약경 

寵爲下 得之 若驚 失之 若驚

총위하 득지 약경 실지 약경

是謂寵辱若驚

시위총욕약

何謂貴大患若身

하위귀대환약신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오소이유대환자 위오유신 

及吾無身 吾有何患

급오무신 오유하환

故 貴以身 爲天下 若可寄天下

고 귀이신 위천하 약가기천하

愛以身 爲天下 若可託天下

애이신 위천하 약가탁천하

 

寵 : 괼 총  辱 : 욕될 욕  驚 : 놀랄 경  患 : 근심 환  及 : 미칠 급

寄 : 맡길 기·부칠 기  託 : 맡길 탁

 

총애와 욕됨이 놀라는 듯하고 큰 근심을 몸과 같이 귀하게 여기니,

무엇을 총애와 욕됨이 놀라는 듯하다고 일컫는가?

총애는 아래가 되는 것이니, 얻더라도 놀라는 듯하고 잃더라도 놀라는 듯하니,

이것을 총애와 욕됨이 놀라는 듯하다고 일컬으네.

무엇을 큰 근심을 몸과 같이 귀하게 여긴다고 일컫는가?

내가 큰 근심이 있는 것은 나에게 몸이 있기 때문이니,

나에게 몸이 없음에 이르면 나에게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귀함을 몸으로써 하면 천하를 위함이니 가히 천하를 맡길 수 있고,

사랑을 몸으로써 하면 천하를 위함이니 가히 천하를 위탁할 수 있네.

 

 

  총애는 인군의 사랑을 받는 것을 말하고 욕됨이란 사랑을 받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사람은 총애를 받을 때는 좋아서 놀라고 욕됨을 받을 때는 두려워서 놀란다그러니 총애를 받아도 총애를 잃을까 큰 근심이 되고 욕됨을 받아도 두려움에 큰 근심이 된다. 따라서 결국에는 큰 근심을 자기 몸과 같이 귀하게 여기게 된다.

  그런데 사람이 좋아하는 총애라는 것은 언제라도 욕됨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총애는 아래가 되는 것, 즉 미천한 것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니 총애를 얻어도 놀라는 듯하고 잃어도 놀라는 듯하여, 총애를 받거나 욕됨을 당하거나 항상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큰 근심을 몸과 같이 귀하게 여기게 되는 것은 마치 허황된 것에 집착하여 헤어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즉 사람에게 큰 근심이 있는 것은 바로 자기라는 몸이 있기 때문이다. 항상 라는 것을 생각하고 내가 지위가 높아져야 하고 잘 돼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니, 바로 이 몸이 있기 때문에 근심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나에게 몸이 없다면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 자기만을 위하는 소아(小我)에 집착하면 항상 근심만 쌓일 뿐이고, 소아를 버리고 대아(大我)로 나아가면 아무 근심이 없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반대로 생각하여 귀하게 여김을 자기 몸과 같이 하면 이것이 곧 천하를 위하는 것이니, 가히 천하를 맡길 수 있다. 또한 사랑하기를 자기 몸과 같이 하면 이것이 곧 천하를 위하는 것이니, 가히 천하를 위탁할 수 있다.

  하늘 위 하늘 아래에 오직 내가 홀로 존귀한 것이고(天上天下唯我獨尊), 이 몸 밖에 따로 물건이 없는 것이다(身外無物). 자기 몸을 소중히 하고 극진히 하는 것이 곧 남을 위하는 것이고 천하를 위하는 것이다. 높은 자리에 올라 자기 몸을 소중히 여긴다면 어떻게 나라를 망치는 일을 할 수 있겠는가? 나라를 망치고 백성을 괴롭히면 이는 곧 자기 몸을 해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주역풍지관괘(風地觀卦)에서 인군의 자리가 되는 구오효(九五爻)나의 삶을 보되, 군자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九五 觀我生 君子 无咎)라고 하였는데, 이를 풀이한 효상전(爻象傳)에서 나의 삶을 보는 것은 백성을 보는 것이다”(象曰 觀我生 觀民也)라고 하였다. 이는 천하를 다스리는 인군으로서 자기만을 생각하는 소아(小我)를 버리고 천하백성을 생각하는 대아(大我)로 나아가라는 뜻이다.

 

寵辱若驚이오 貴大患若身이니

何謂寵辱若驚고

寵爲下이니 得之라도 若驚하고 失之라도 若驚하나니

是謂寵辱若驚이니라

何謂貴大患若身고

吾所以有大患者는 爲吾有身이니

及吾無身이면 吾有何患이리오

故로 貴以身이면 爲天下니 若可寄天下오

愛以身이면 爲天下니 若可託天下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대학서림, 2005, 63∼65.

'동양고전산책 >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제15장  (0) 2020.10.02
도덕경 제14장  (0) 2020.10.02
도덕경 제12장  (0) 2020.10.02
도덕경 제11장  (0) 2020.10.01
도덕경 제10장  (0) 202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