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當無章
당무장
三十輻 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삼십복 공일곡 당기무 유거지용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선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착호유이위실 당기무 유실지용
故 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고 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輻: 바퀴살 복 共 : 함께할 공 轂: 바퀴통 곡 當 : 당할 당 車 : 수레 거 埏: 이길 선
埴: 찰흙 식 器 : 그릇 기 鑿: 뚫을 착 戶 : 외짝문 호 牖: 바라지창 유 室 : 집 실
서른 개의 바퀴살이 하나의 바퀴통에 함께 하나
그 없음(빈 공간)에 당하여야 수레의 쓰임이 있으며,
진흙을 이겨그릇을 만드나
그 없음에 당하여야 그릇의 쓰임이 있으며,
문과 창을 뚫어 집을 만드나
그 없음에 당하여야 집의 쓰임이 있네.
그러므로 있음으로 이롭게 되는 것은
없음으로 쓰임을 삼기 때문이네.
이 장에서는 세상 사람들이 무심코 잊고 지내서 마치 없는 것으로 보이는 것들의 실질적인 쓰임을 말하였다. 즉 유(有)는 무(無)로 말미암아 쓰임이 된다는 뜻이다.
수레는 바퀴가 있어야 굴러가면서 그 쓰임을 다한다. 수레바퀴에서 겉으로 보이는 중요한 물건이 바퀴살인데, 사람들은 하나의 수레바퀴를 이루는 30개의 바퀴살만 보고 그 바퀴살이 있기 때문에 수레바퀴가 돌아가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정작 수레바퀴가 돌아가게 되는 것은 바퀴살 30개를 한 곳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바퀴통이 있기 때문이다. 이 바퀴통은 가운데가 비어 있기 때문에 바퀴살을 모으고 무(無)로써 유(有)의 작용이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진흙을 이겨 그릇을 만들지만, 정작 그 그릇의 쓰임은 유형(有形)의 그릇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릇 안에 비어 있는 공간(無)이 있기 때문에 그릇의 쓰임이 있다. 또한 벽을 쌓아 집을 만들어도 그 집 자체를 유용하게 하는 것은 창문과 문이라는 공간(無)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무(無)의 작용이 있기 때문에 유(有)의 이로움이 있다. 세상 이치가 겉으로 보이는 화려한 문명으로 이루어지는 것 같지만 실은 보이지 않는 무형(無形)의 정신(精神)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보이지 않으면서 만물을 이루고 유용하게 하는 근원이 바로 무(無)이다. 마음에 비어 있는 공간(無)이 있어야 육신이 생동하는 쓰임이 나오며, 천하를 다스림에도 천하를 위한다는 욕심이 없이 무(無)의 정치를 해야 여기에서 진정한 유(有)의 이로움이 나온다. 인간의 삶의 터전인 이 사회도 무(無)라는 공간이 있어야 유(有)의 세계가 유용하게 된다. 유(有)의 물질세계만 추종하다가는 그 쓰임의 근원이 되는 무(無)의 정신세계가 무너지게 된다. 이것이 현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철학이다.
인간사회가 대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려면 무(無)의 정신문화를 보존하고 유(有)의 물질문명을 지켜야 하며, 인간이 자아를 완성하려면 무(無)의 정신을 잘 보존하고 유(有)의 육체를 잘 지켜야 온전한 도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三十輻이 共一轂이나 當其無라야 有車之用이며
埏埴以爲器나 當其無라야 有器之用이며
鑿戶牖以爲室이나 當其無라야 有室之用이라
故로 有之以爲利는 無之以爲用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59∼6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