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持而章
지이장
持而盈之 不如其已
지이영지 불여기이
揣而梲之 不可長保
췌이절지 불가장보
金玉滿堂 莫之能守
금옥만당 막지능수
富貴而驕 自遺其咎
부귀이교 자유기구
功遂身退 天之道
공수신퇴 천지도
持 : 가질지 盈 : 찰 영 如 : 같을 여 已 : 그칠 이 揣: 헤아릴 췌
梲 : 동자기둥 절․예리할 절(탈) 保 : 지킬 보 滿 : 찰 만 堂 : 집 당 莫 : 없을 막
驕 : 교만할 교 遺 : 끼칠 유․남길 유 功 : 공로 공 遂 : 이룰 수 退 : 물러날 퇴
가지면서 채우는 것은 그치는 것만 같지 못하고,
헤아리면서 동자기둥처럼 높아지는 것은 가히 오래 보존하지 못하네.
금과 옥이 집안에 가득하더라도 능히 지키고 못하고,
부유하고 귀하면서 교만하면 스스로 그 허물을 남기게 되니,
공을 이루면 스스로 물러나야 하늘의 도이네.
재물을 가지고 있으면서 그것도 부족하여 끊임없는 욕심으로 계속 채워나가는 것은 절제 있게 그치는 것만 못하다. 인간의 욕심이란 끝이 없으니, 끝이 없는 욕심을 따라 재물을 채워나가는 것도 끝이 없다. 채워도 채워도 끝이 없으니, 그저 적절하게 그만두는 것이 현명하다.
온갖 권모술수로 헤아리면서 대들보 위에 세워져 상량을 받치고 있는 기둥처럼 끝없이 높아지려고 하지만, 그러한 부귀는 오래 보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니 금과 옥이 집안에 가득하더라도 영원히 지킬 수 없고, 부귀를 누리면서도 이것도 부족하여 교만하면 결국에는 스스로 허물만 짓게 된다. 그러니 살아가면서 공을 이루면, 그 공을 자랑하며 공에 대한 대가로 부귀와 공명을 차지하려고 하지 않고, 스스로 겸허하게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도요 성인의 도인 것이다.
‘持而盈之 不如其已’는 ‘金玉滿堂 莫之能守’와 대가 되고, ‘揣而梲之 不可長保’는 ‘富貴而驕 自遺其咎’와 대구(對句)가 된다.
『주역』중천건괘(重天乾卦) 상구효사(上九爻辭)에 “상구는 높은 용이니 뉘우침이 있을 것이다”(上九 亢龍 有悔)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중천건괘 「문언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항’의 말은 나아감은 알고 물러남은 알지 못하며, 존함은 알고 망함은 알지 못하며, 얻음은 알고 잃음은 알지 못하는 것을 뜻하니, 그 오직 성인이시여! 나아가고 물러나고 존하고 망함을 알아서 그 바름을 잃지 않는 자는 그 오직 성인이신저!(亢之爲言也 知進而不知退 知存而不知亡 知得而不知喪 其唯聖人乎 知進退存亡而不失其正者 其唯聖人乎)
사람은 욕심만 추구하니 높은 지위에 오르려고 나아갈 줄만 알고 물러날 줄은 모르고, 현상의 모든 것이 있을 것으로만 알고 없어질 것은 모르며, 재물을 얻을 줄만 알고 잃을 줄은 모르니, 오직 성인이라야 나아가고 물러나고 존하고 망하고 얻고 잃는 그 실정을 알아서 어떠한 상황에도 그 바름을 잃지 않는 것이다.
한편 물질문명의 풍대(豊大)함을 비유하고 있는 『주역』뇌화풍괘(雷火豐卦) 단전(彖傳)에는 “…해가 가운데하면 기울어지며 달이 차면 이지러지니, 천지가 차고 빔도 때와 더불어 줄고 부는데, 하물며 사람이며 귀신이랴”(…日中則昃 月盈則食 天地盈虛 與時消息 而況於人乎 況於鬼神乎)고 하였다. 이러한 천지의 이치를 따라 성인도 나아가고 물러나고 존하고 망하고 얻고 잃음을 알아서 그 바름을 잃지 않는다.
그래서 높이 있어야 할 산이 땅 아래에 있어 겸손함을 나타내는 『주역』지산겸괘(地山謙卦)에는 단전(彖傳)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단전에 말하였다. “겸이 형통함(謙亨)은 하늘의 도가 아래로 내려서 광명하고, 땅의 도는 낮은데서 위로 행한다. 하늘의 도는 가득한 것을 이지러지게 하며 겸손한 데에는 더하고, 땅의 도는 가득한 것을 변하게 하며 겸손한 데로 흐르게 하고, 귀신은 가득한 것을 해롭게 하며 겸손함에는 복을 주며, 사람의 도는 가득한 것을 미워하며 겸손한 것을 좋아하니, 겸(謙)은 높아도 빛나고 낮아도 넘지 않으니 군자의 마침이다.”(彖曰 謙亨 天道 下濟而光明 地道 卑而上行. 天道 虧盈而益謙, 地道 變盈而流謙, 鬼神 害盈而福謙, 人道 惡盈而好謙, 謙 尊而光 卑而不可踰 君子之終也.)
하늘은 위에 있지만 그 기운은 아래로 내려서 세상을 광명하게 하고, 땅은 아래에 있지만 그 기운은 위로 올라가 하늘과 합한다. 높으면 높을수록 아래로 내려와야 그 덕이 광명하게 되고, 자신을 낮추면 그 덕은 위로 올라간다. 천도(天道)․지도(地道)․신도(神道)․인도(人道)의 사법계(四法界)가 다 이러한 것이다. 세상사의 모든 일이 겸손함으로 유종(有終)의 미(美)를 이룬다.
持而盈之는 不如其已오
揣而梲之는 不可長保라
金玉滿堂이라도 莫之能守오
富貴而驕면 自遺其咎니
功遂身退가 天之道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3∼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