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學而(학이) 1]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有朋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人不知而不慍이면 不亦君子乎아
說: 기쁠 열 方: 바야흐로 방 慍: 성낼 온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그것을 때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
동지(同志)가 먼 지방으로부터 찾아온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 하지 않는다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2. 爲政(위정) 15]
子曰 學而不思則罔하고 思而不學則殆니라.
罔: 없을 망 殆: 위태할 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음이 없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2. 爲政(위정) 16]
子曰 攻乎異端이면 斯害也已니라.
攻: 닦을 공 異端(이단): 정통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교의나 교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단(異端)을 전공하면 해(害)가 될 뿐이다."
[2. 爲政(위정) 17]
子曰 由아 誨女知之乎인저 知之爲知之요 不知爲不知 是知也니라.
由(유): 공자의 제자 자로(子路)의 이름 誨: 가르칠 회 女: 너 여(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야! 내 너에게 아는 것을 가르쳐 주겠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이것이 아는 것이다."
[14. 憲問(헌문) 25]
子曰 古之學者는 爲己러니 今之學者는 爲人이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에 배우는 자들은 자신을 위한 학문을 하였는데, 지금에 배우는 자들은 남을 위한 학문을 한다.”
[15. 衛靈公(위령공) 2]
子曰 賜也아 女以予爲多學而識之者與아 對曰 然하이다 非與잇가 曰 非也라 予는 一以貫之니라.
賜: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의 이름 女: 너 여 予: 나 여 識: 기억할 지, 알 식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賜, 자공)야! 너는 내가 많이 배우고 그것을 기억하는 자라고 여기느냐?” 하시자,
자공이 대답하였다. “그렇습니다. 아닙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니다. 나는 하나의 이치가 모든 사물을 꿰뚫은 것이다.”
[15. 衛靈公(위령공) 30]
子曰 吾嘗終日不食하고 終夜不寢하여 以思하니 無益이라 不如學也로라.
吾: 나 오 嘗: 일찍이 상 寢: 잠잘 침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 일찍이 종일토록 밥을 먹지 않으며 밤새도록 잠을 자지 않고서 생각하니, 유익함이 없었다. 배우는 것만 같지 못하였다.”
[15. 衛靈公(위령공) 31]
子曰 君子는 謀道요 不謀食하나니 耕也에 餒在其中矣요 學也에 祿在其中矣니 君子는 憂道요 不憂貧이니라.
謀: 꾀할 모 耕: 밭갈 경 餒: 굶주릴 뇌 祿: 녹봉 록 憂: 근심할 우 貧: 가난할 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도(道)를 도모하고 밥을 도모하지 않는다. 밭을 갊에 굶주림이 그 가운데에 있고, 학문을 함에 녹(祿)이 그 가운데 있는 것이니, 군자는 도(道)를 걱정하고 가난함을 걱정하지 않는다.”
[16. 季氏(계씨) 9]
孔子曰 生而知之者는 上也요 學而知之者는 次也요 困而學之는 又其次也니 困而不學이면 民斯爲下矣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태어나면서 아는 자가 상등(上等)이요, 배워서 아는 자가 다음이요, 곤궁(不通)하여 배우는 자가 또 그 다음이니, 곤궁(불통)한데도 배우지 않으면 백성으로서 하등(下等)이 된다.”
[17. 陽貨(양화) 8]
子曰 由也아 女聞六言六蔽矣乎아 對曰 未也로이다. 居하라 吾語女하리라. 好仁不好學이면 其蔽也愚하고 好知不好學이면 其蔽也蕩하고 好信不好學이면 其蔽也賊하고 好直不好學이면 其蔽也絞하고 好勇不好學이면 其蔽也亂하고 好剛不好學이면 其蔽也狂이니라.
由(유): 공자의 제자 자로(子路)의 이름 聞: 들을 문 蔽: 덮을 폐 愚: 어리석을 우 蕩: 넓을 탕, 방자할 탕
賊: 해칠 적 絞: 엄할 교, 급할 교 亂: 어지러울 란(난) 狂: 미칠 광, 경솔할 광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유(由)야! 너는 육언(六言)과 육폐(六蔽)를 들어보았느냐?” 하시자,
(자로가) 대답하였다. “아직 듣지 못하였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앉아라. 내 너에게 말해 주리라.
인(仁)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어리석게(愚) 되고,
지혜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호탕하게(蕩) 되고,
믿음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해치게(賊) 되고,
정직한 것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급하게(絞) 되고,
용맹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어지럽게(亂) 되고,
강한 것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경솔하게(狂) 된다.”
※ 성백효, 『현토완역 논어집주』, 전통문화연구회, 2003 참조.
'동양고전산책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에서 찾아본 공자(孔子)의 생애(生涯) (0) | 2020.11.17 |
---|---|
『논어』에서의 군자(君子) (0) | 2020.11.16 |
『논어』에서의 정치(政治) (0) | 2020.11.15 |
『논어』에서의 도(道) · 제사(祭祀) · 신(神) · 천(天) (0) | 2020.11.15 |
『논어』에서 찾아보는 인(仁)의 세계 (0) |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