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군자는 의롭지 못한 소인을 결단함에도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정당하게 결단한다. 그러나 그러한 소인이 나오지 않도록 은혜를 베풀고 덕에 거하여 해서는 안될 일을 금기하여야 한다(施祿居德).
괘명과 괘상
외괘가 태택(兌澤)☱, 내괘가 건천(乾天)☰으로 이루어진 괘를 ‘쾌(夬)’라고 한다. 결단한다는 뜻이다. 음양승강(陰陽昇降)의 이치로 보면, 순음(純陰)으로 있던 중지곤(重地坤)괘에서 일양(一陽)이 생하여 자라나니 지뢰복(地雷復), 지택림(地澤臨), 지천태(地天泰), 뇌천대장(雷天大壯)을 거쳐 택천쾌(澤天夬)괘에 이르러 마지막 남은 상육의 음(陰) 소인을 결단하는 것이다. 12월괘로는 음력 3월에 해당한다.
서괘
「서괘전」은 풍뢰익괘 다음에 택천괘를 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益而不已면 必決이라 故로 受之以夬하고
익이불이 필결 고 수지이쾌
더함을 그만두지 않으면 반드시 결단한다. 그러므로 쾌(夬)로써 받고
풍뢰익(風雷益)괘 상구효사를 다시 음미해 보면, 맨 위에 거하여 물욕(物慾)에 어두워져 욕심만 부리면 반드시 해를 받게 되니 흉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더하기만 하고 욕심만 부리면 반드시 결단을 받게 된다. 그래서 결단한다는 쾌괘(夬卦)를 익괘(益卦) 다음에 두었다. 여기서 상경(上經) 지산겸(地山謙)괘 단전(彖傳)의 내용을 다시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彖曰 謙亨은 天道 下濟而光明하고 地道 卑而上行이라. 天道는 虧盈而益謙하고 地道는 變盈而流謙하고 鬼神은 害盈而福謙하고 人道는 惡盈而好謙하나니 謙은 尊而光하고 卑而不可踰니 君子之終也라.
단전에 말하였다. “겸(謙)이 형통함은 하늘의 도가 아래로 내려서 광명하고, 땅의 도가 낮은데서 위로 행한다. 하늘의 도는 가득한 것을 이지러지게 하며 겸손한 데에는 더하고, 땅의 도는 가득한 것을 변하게 하며 겸손한 데로 흐르고, 귀신은 가득한 것을 해롭게 하며 겸손함에는 복을 주고, 사람의 도는 가득한 것을 미워하며 겸손한 것을 좋아하니, 겸(謙)은 높고 빛나고 낮아도 가히 넘지 못하니 군자의 마침인 것이다.”
괘사
夬는 揚于王庭이니 孚號有厲니라. 告自邑이오 不利卽戎이며 利有攸往하니라.
쾌 양우왕정 부호유려 고자읍 불리즉융 이유유왕
쾌(夬)는 왕의 뜰에서 드날리니, 미덥게 부르짖어 위태롭게 한다. 읍으로부터 고함이요, 군사에 나아감은 이롭지 않으며,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夬:터놓을 쾌·결단할 쾌·깎지 결 揚:오를 양·날릴 양 號:부르짖을 호 厲:위태할 려 卽:나아갈 즉 戎:군사 융
민생(民生)을 괴롭히고 부정한 축재를 하는 등 나라에 해가 되는 일을 자행한 자를 결단할 때에는 나라의 모든 백성이 그 사실을 정확히 알도록 왕의 뜰에서 적시(摘示)하고 모두가 신뢰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아울러 위엄이 있게 해야 한다. 위태롭게 한다는 것은 위엄 있게 하라는 뜻이다.
또한 ‘읍으로부터 고한다’는 것은 방방곡곡의 모든 백성이 다 알게 하고 또한 양심(良心)에 비추어 타당하게 해야 한다는 뜻이다. 부정한 소인을 결단하는데 지나치게 강하게 하면, 오히려 백성이 불안을 느끼게 되고 또한 부정함을 결단하는 취지에 어긋나기 때문에, 군사를 쓰지 말라고 하였다. 이제 마지막 남은 상육 소인을 결단하여 나라와 사회가 밝아지게 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단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단사
彖曰 夬는 決也니 剛決柔也니 健而說하고 決而和하니라.
단왈 쾌 결야 강결유야 건이열 결이화
揚于王庭은 柔 乘五剛也오 孚號有厲는 其危 乃光也오
양우왕정 유 승오강야 부호유려 기위 내광야
告自邑不利卽戎은 所尙이 乃窮也오 利有攸往은 剛長이 乃終也리라.
고자읍불리즉융 소상 내궁야 이유유왕 강장 내종야
단전에 말하였다. “쾌(夬)는 결단함이니, 강이 유를 결단하니, 굳세며 기뻐하고, 결단하고 화합한다. ‘왕의 뜰에서 드날림’은 유(柔)가 다섯 강(剛)을 탄 것이고, ‘미덥게 부르짖어 위태롭게 함’은 그 위태함이 이에 빛나고, ‘읍으로부터 고하고 군사에 나아감이 이롭지 않음’은 숭상하는 바가 이에 궁하고, ‘가는 바를 둠이 이로움’은 강한 것이 자라서 이에 마치는 것이다.”
決:터질 결·결정할 결·반드시 결·깎지 결 說:기쁠 열 和:화할 화 乘:탈 승 危:위태할 위 尙:숭상할 상 終:마칠 종
쾌는 결단하는 것이다. 다섯 양(陽) 군자가 마지막 남은 소인 음(陰)을 결단하는 것이다. 괘덕(卦德)이 내괘 건천(乾天)☰으로 굳세고 외괘 태택(兌澤)☱으로 기뻐하니, 과감하게 결단하되 나라의 화합을 도모하여야 한다. 왕의 뜰에서 드날린다는 것은 음유(陰柔)한 소인이 강한 다섯 군자를 타고 능멸하기 때문이다. ‘미덥게 부르짖어 위엄 있게 한다’는 것은 그 위엄 있게 함이 빛나고 밝은 것이다.
‘읍으로부터 고하고 군사에 나아감은 이롭지 않다’는 것은 만일 나라의 모든 사람이 이 사실을 모르고, 또한 소인을 결단하는데 군사를 동원하는 등 지나친 행동을 하면 결국 명분이 궁색하게 된다.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는 것은 강한 군자의 기세가 계속 자라나서 이에 양강(陽剛)한 군자들의 세상이 되기 때문이다.
괘상사
象曰 澤上於天이 夬니 君子 以하야 施祿及下하며 居德하야 則忌하나니라.
상왈 택상어천 쾌 군자 이 시록급하 거덕 칙기
상전에 말하였다. “연못이 하늘에 오르는 것이 쾌(夬)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국록(國祿)을 베풀음이 아래에 미치게 하며, 덕에 거하여 금기해야 할 것을 법으로 정한다.”
上:오를 상 施:베풀 시 祿:복 록 及:미칠 급 則:법칙 칙 忌:꺼릴 기
택천괘(澤天夬)괘는 외괘 태택(兌澤)☱의 연못이 내괘 건천(乾天)☰의 위에 있어, 마치 연못이 하늘 위로 오르는 상이다. 연못이 하늘에 올라 그 윤택한 기운을 아래로 내리듯이, 군자는 이러한 기운의 양상을 보고 은혜를 베푸는 녹(덕택, 국록)을 아래 백성에게 미치게 하며, 항상 덕을 간직하되 금기(禁忌)해야 할 것, 해서는 안 될 것을 법칙으로 정하여 바른 길로 나아간다.
효사 및 효상사
初九는 壯于前趾니 往하야 不勝이면 爲咎리라.
초구 장우전지 왕 불승 위구
초구는 앞발에 씩씩하니, 가서 이기지 못하면 허물이 될 것이다.
壯:씩씩할 장 前:앞 전 趾:발지 勝:이길 승 咎:허물 구
양강(陽剛)한 기운이 굳세게 나아가 맨 위의 음(陰) 소인을 척결하려는 쾌괘(夬卦)에서, 초구는 맨 아래에 처해 있다. 몸으로 보면 발에 해당한다. 강한 괘체(卦體)에 있어 스스로 강하게 생각하고 앞서지만, 이기지 못하면 허물이 된다. 초구가 변하면 손풍(巽風)☴이 되니, 아직은 스스로 앞서나갈 만큼 힘이 있지 못한 상태이다. 위에 있는 양(陽)들이 굳세게 나간다고 하여, 초구도 함부로 나서면 안 된다는 뜻이다.
象曰 不勝而往이 咎也라.
상왈 불승이왕 구야
상전에 말하였다. “이기지 못하면서 가는 것이 허물이다.”
九二는 惕號니 莫夜애 有戎이라도 勿恤이로다.
구이 척호 모야 유융 물휼
구이는 두려워서 부르짖으니, 저문 밤에 군사가 있더라도 근심하지 말라.
惕:두려워할 척 號:부르짖을 호 莫:저물 모·없을 막 夜:밤 야 戎:군사 융·오랑캐 융 恤:근심할 휼
구이는 내괘에서 중을 얻은 자리이다. 구오 인군(人君)의 명을 받아 부정을 일삼아 온 소인을 척결하고자 하는데 두려워서 부르짖는다. 인군으로부터 받은 소임(所任)을 완수하고자 늦은 밤에도 일을 하니, 이러한 업무를 방해하고자 하는 군사(오랑캐)가 있더라도 근심할 것은 없다. 왜냐하면 구이의 일은 중도(中道)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구이가 변하면 내괘가 이화(離火)☲로 되어 지괘(之卦)가 택화혁(澤火革)괘로 된다. 잘못된 것을 결단하여 고치는 핵심자리이다. 오늘날 마치 부패 정치인을 수사하느라고 밤을 지새는 검찰이라고나 할까?
象曰 有戎勿恤은 得中道也일새라.
상왈 유융물휼 득중도야
상전에 말하였다. “군사가 있어도 근심하지 말라는 것은 중도를 얻었기 때문이다.”
九三은 壯于頄하야 有凶코 獨行遇雨니 君子는 夬夬라 若濡有慍이면 无咎리라.
구삼 장우구 유흉 독행우우 군자 쾌쾌 약유유온 무구
구삼은 광대뼈에 씩씩해서 흉함이 있고, 홀로 가서 비를 만나니, 군자는 결단할 것은 결단한다. 젖는 듯해서 성냄이 있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頄:광대뼈 구 獨:홀로 독 遇:만날 우 濡:젖을 유 慍:성낼 온
구삼은 양자리에 양으로 자리가 바르나 중을 얻지 못하였고, 또한 상육의 음(陰) 소인과 홀로 응하고 있다. 모두가 상육의 소인을 척결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구삼도 목소리를 높이니 ‘광대뼈에 씩씩한 격’이다. 그러나 중도를 지키지 못하는 구삼은 겉으로는 척결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이지만 속으로는 상육 음(陰)과 응하여 내통(內通)하면서 모반(謀叛)할 가능성이 있으니, ‘홀로 행하여 비를 만난다’고 하였다. 즉, 구삼은 상육 음(陰)과 응하고 있으니, 중도를 잃으면 상육의 꼬임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군자는 잘못된 것은 과감하게 결단해야 하니, 상육의 꼬임에 빠져드는 듯하다가도 불끈 성내며 바름을 지키면 허물이 없게 된다. 쾌괘(夬卦) 구삼과 같은 처지에 있어도 군자와 소인의 행동은 다르게 나타난다.
象曰 君子는 夬夬라 終无咎也니라.
상왈 군자 쾌쾌 종무구야
상전에 말하였다. “군자는 결단할 것은 결단한다. 마침내 허물이 없다.”
九四는 臀无膚며 其行次且니 牽羊하면 悔 亡하련마는 聞言하야도 不信하리로다.
구사 둔무부 기행자저 견양 회 망 문언 불신
구사는 볼기에 살이 없으며 그 행함이 머뭇거리니, 양을 끌면 뉘우침이 없으련마는 말을 듣더라도 믿지 않을 것이다.
臀:볼기 둔 膚:살 부 次:버금 차·차례 차·머무를 차·나아가지 않을 차
且:또 차·구차스러울 차·머뭇거릴 저·어조사 저·공경스러울 저 牽:끌 견 聞:들을 문
구사는 음 자리에 양으로 처하여 자리가 부당하니, 역량(力量)에 비해 맡은 업무가 과중한 격이다. 그런데 대신(大臣) 자리에 있으니, 소인을 척결해야 하는 실질적인 업무를 맡고 있다. 아래의 양강(陽剛)한 백성들이 구사 대신에게 상육을 척결하라고 사방에서 요구하나, 어찌해야 할 바를 몰라 허둥대는 것이 ‘엉덩이에 살이 없고 행하는 것이 머뭇거리는 상’이다.
그러나 구사 대신이 그 일을 해야 하는데, 아래 양강한 백성들의 요구를 들어서 잘 이끌면 뉘우침이 없어지겠지만, 아래 백성들의 말을 듣더라도 믿지 못하는 상황이다. 외괘가 태(兌)☱이니 후천팔괘방위로 저녁이 되어 어두운 상이고, 또한 구사가 변하면 양이 음으로 바뀌어 외괘가 감수(坎水)☵로 되니, 총명함이 더욱 어두워져 믿지 못하는 상황이 된다.
‘次且’는 나아가지 못하고 머뭇거리는 뜻을 나타내는 문자로 ‘자저’라고 읽는다.
象曰 其行次且는 位不當也오 聞言不信은 聰不明也라.
상왈 기행자저 위부당야 문언불신 총불명야
상전에 말하였다. “그 행함이 머뭇거림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음이요, 말을 들어도 믿지 않음은 총명함이 밝지 않아서이다.”
聰:귀 밝을 총
九五는 莧陸夬夬면 中行애 无咎리라.
구오 현륙쾌쾌 중행 무구
구오는 현륙을 결단하고 결단하면, 중을 행함에 허물이 없을 것이다.
莧:비름 현·자리공 현 陸:뭍 륙 莧陸(현륙):자리공 뿌리
구오는 외괘에서 중정한 인군자리에 있다. 바로 위에 있는 음(陰) 소인을 결단해야 하는 최종 결정권자이다. ‘현륙(莧陸)’은 상륙(商陸)이라고도 하는데, 한약재로 쓰이는 음기(陰氣)가 많은 풀을 말하며, 여기에서는 상육 음(陰)을 지칭하는 말이다. 구오 양의 바로 위에 음이 있으니, 구오의 마음이 흔들릴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중도로 행하면 허물이 없게 된다.
象曰 中行无咎나 中未光也라.
상왈 중행무구 중미광야
상전에 말하였다. “중을 행함에 허물은 없으나, 중이 빛나지는 못하다.”
중정한 구오 인군은 큰 정치를 해야 한다. 그런데 상육의 소인을 척결해야 하는 상황에서 결단하지만, 이러한 일 자체가 중도의 큰 정치에서 빛나는 일은 아니다.
上六은 无號니 終有凶하니라.
상륙 무호 종유흉
상육은 호소할 데가 없으니, 마침내 흉함이 있다.
아래의 양(陽) 군자들, 즉 인군으로부터 백성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상육 음을 결단하고자 하니, 상육으로서는 호소할 데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더 이상 갈 데가 없으니 마침내 흉하게 되고, 그동안 누렸던 부귀와 권력도 한 거품 이슬로 사라지게 된다. 상육이 변하면 중천건괘가 되니 건괘(乾卦) 상구효사 “上九는 亢龍이니 有悔리라”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象曰 无號之凶은 終不可長也니라.
상왈 무호지흉 종불가장야
상전에 말하였다. “호소할 데가 없어 흉함은 마침내 가히 자라지 못하는 것이다.”
※ 수산 신성수, 『주역통해』, 대학서림, 2005, 481∼488쪽.
'동양고전산책 >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 택지취(澤地萃) (0) | 2020.11.03 |
---|---|
44. 천풍구(天風姤) (2) | 2020.11.02 |
42. 풍뢰익(風雷益) (0) | 2020.11.01 |
41. 산택손(山澤損) (0) | 2020.11.01 |
40. 뇌수해(雷水解) (0) | 202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