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대지가 모든 만물을 싣고 있듯이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포용하라(厚德載物).
괘명과 괘상
내괘와 외괘가 모두 땅(☷)으로, 땅이 거듭되어 있으므로 ‘중지곤’이라 한다. ‘중지(重地)’는 내괘와 외괘가 땅으로 거듭되어 있는 괘의 상(象)을 표현한 것이고, ‘곤(坤)’은 땅이 거듭하여 여섯 효가 모두 음기운으로 이루어진 괘의 이름을 나타낸 것이다. 즉 괘의 이름은 ‘곤(坤)’이요 곤괘의 형상은 ‘중지(重地)’이다. 따라서 ‘중지곤’괘라 할 때 내괘와 외괘가 모두 순음으로 되어 있는 괘 기운의 양상을 떠올려야 한다.
중천건괘 다음에 중지곤괘를 둔 이유는 하늘이 있기에 땅이 있고 그 땅 위에 만물이 있기 때문이다. 하늘이 열리고(天開於子) 땅이 생겼다(地闢於丑). 우리가 삶의 터전으로 하고 있는 이 지구를 생각하자.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자전과 공전을 하면서 나타나는 춘하추동(春夏秋冬)의 사계절 변화원리에 맞추어 표상한 것이 후천팔괘(後天八卦)이다. 후천팔괘를 연상하자.
괘사
坤은 元코 亨코 利코 牝馬之貞이니 君子의 有攸往이니라.
곤 원 형 이 빈마지정 군자 유유왕
先하면 迷하고 後하면 得하리니 主利하니라.
선 미 후 득 주리
西南은 得朋이오 東北은 喪朋이니 安貞하야 吉하니라.
서남 득붕 동북 상붕 안정 길
곤은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암말(빈마)의 바름이니, 군자의 갈 바가 있다. 먼저 하면 미혹되고 뒤에 하면 얻을 것이니, 이로움을 주장한다. 서남방은 벗을 얻고 동북방은 벗을 잃으니, 편안히 바르게 해서 길하다.
牝:암컷 빈 攸:바 유 往:갈 왕 迷:미혹할 미 得:얻을 득 朋:벗 붕 喪:잃을 상
하늘의 원기(元氣)를 땅이 받아들여 만물을 낳게 되니, 땅을 상징하는 순음(純陰)의 중지곤괘에도 원형이정의 사덕(四德)이 갖추어져 있다. 그렇지만 순양(純陽)으로 강함을 주장하는 중천건(重天乾)에 비하여 중지곤(重地坤)은 순음(純陰)으로 순(順)함의 덕이 강조된다.
이 우주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무한히 공전하고 자전하고 있는 지구가 순한 덕을 잃고 강하게만 움직인다면, 지구 위의 만물은 생존해 나가기가 어려울 것이다. 음(陰)의 순함이 있기에 양(陽)이 나아갈 바가 있다. 그래서 곤은 크고 형통하고 암말(牝馬)의 바름이 이로우니, 군자가 갈 바를 두게 되는 것이다. 중천건괘는 하늘을 상징하니 신비스러운 용(龍)으로 취상하였고, 중지곤괘는 땅을 상징하니 땅에 사는 대표적인 동물 가운데 암말(牝馬)로 취상한 것이다.
지도(地道)인 음(陰)은 순하게 천도(天道)인 양(陽)을 따라야 하니, 지도인 음이 천도보다 먼저 하면 혼미하게 되고, 천도에 뒤따르면 그 공덕을 얻게 되는데, 그 공덕이란 양(陽)이 주관하는 봄․여름의 원형(元亨)을 바탕으로 음(陰)이 주관하는 가을․겨울의 이정(利貞)을 이루는 것이다. 그래서 이로움을 주장한다고(主利) 한 것이다.
중지곤은 땅을 의미하기에 땅의 형세를 보면, 동북방은 지세(地勢)가 험하고 서남방은 지세가 순하다. 따라서 음기(陰氣)를 위주로 할 때, 동북방에 가면 음의 벗을 잃게 되고 서남방은 벗을 얻게 되는데, 음(陰)의 순한 덕을 간직하여 편안히 바르게 하면 길하게 된다. 후천팔괘의 계절과 방위를 생각하자. 괘사를 다시 설명한 글이 단전이다. 단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단사
彖曰 至哉라 坤元이여.
단왈 지재 곤원
萬物이 資生하나니 乃順承天이니 坤厚載物이 德合无疆하며
만물 자생 내순승천 곤후재물 덕합무강
含弘光大하야 品物이 咸亨하나니라.
함홍광대 품물 함형
牝馬는 地類니 行地无疆하며 柔順利貞이 君子攸行이라.
빈마 지류 행지무강 유순이정 군자유행
先하면 迷하야 失道하고 後하면 順하야 得常하리니
선 미 실도 후 순 득상
西南得朋은 乃與類行이오 東北喪朋은 乃終有慶하리니
서남득붕 내여유행 동북상붕 내종유경
安貞之吉이 應地无疆이니라.
안정지길 응지무강
단전에 말하였다. “지극하다. 곤의 원이여! 만물이 바탕하여 생하니, 이에 순하게 하늘을 이으니, 곤이 두터워 만물을 실음이 덕이 지경이 없음에 합하며, 머금으며 넓으며 빛나며 커서 품물(만물)이 다 형통하다. 암말은 땅의 무리니 땅을 다님에 지경이 없으며, 유순하고 이정함이 군자의 행하는 바이다. 먼저 하면 미혹되서 도를 잃고 뒤에 하면 순해서 떳떳함을 얻을 것이니, 서남에서 벗을 얻음은 이에 무리와 더불어 행함이요, 동북에서 벗을 잃음은 이에 마침내 경사가 있을 것이니, 안정하여 길함이 땅의 지경이 없음에 응한다.
至:지극할 지 哉:어조사 재 資:바탕 자 承:이을 승 厚:두터울 후 載:실을 재 疆:지경 강 含:머금을 함
弘:넓을 홍 咸:다 함 迷:미혹할 미 常:떳떳할 상 慶:경사 경 應:응할 응
태극(太極)에서 건곤(乾坤) 음양(陰陽)이 나오니, 곤(坤)에도 태극의 원기가 내재되어 있다. 원(元)을 바탕으로 만물이 생화하는데, 이는 순하게 천도를 잇는 것이다. 땅은 두터워서 만물을 싣고 있으니 그 덕이 무한하며, 곤(坤)의 덕이 머금고 넓고 빛나고 커서 만물이 다 형통하게 된다. 암말은 땅의 대표적인 무리인데 땅에서 다님이 지경이 없으며, 유순하고 이정(利貞)함이 바로 군자가 체득해 나가야 할 바이다.
음이 양보다 앞서면 천도를 어기게 되어 아득해지고, 양보다 뒤에 하면 순하게 떳떳한 도를 얻게 된다. 서남방은 유순한 지세에 음의 무리(陰類)가 모여 있으니 벗과 더불어 행하게 된다. 한편, 동북방은 험한 지세에 양의 무리(陽類)만 있어 음의 벗을 잃게 되지만, 이는 음기운이 양기운을 만나 화합하는 것이니 결국에는 경사가 있는 것이다. 결국 편안하고 바르게 하여 길함이 땅의 지경이 없는 데에 응하는 것이다.
후천팔괘는 계절과 방위를 표상한 것이다. 방위를 살펴보면 서남방의 음괘와 동북방의 양괘로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서남방을 보면 동남방의 손괘☴(장녀)․남방의 이괘☲(중녀)․서남방의 곤괘☷(모)․서방의 태괘☱(소녀)가 모두 음괘로 이루어져 있으니, 이를 ‘서남득붕(西南得朋)’이라 한 것이다. 한편 동북방을 보면 동방의 진괘☳(장남)․동북방의 간괘☶(소남)․북방의 감괘☵(중남)․서북방의 건괘☰(부)가 모두 양괘로 이루어져 있으니, 이를 ‘동북상붕(東北喪朋)’이라 한 것이다.
이러한 곤(坤)의 도를 군자는 어떻게 따라야 하는가. 괘상전은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괘상사
象曰 地勢 坤이니 君子 以하야 厚德으로 載物하나니라.
상왈 지세 곤 군자 이 후덕 재물
상전에 말하였다. “땅의 형세가 곤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실어야 한다.”
중천건괘는 순양으로 하늘을 표상한 것이고, 중지곤괘는 순음으로 땅을 표상한 것이다. 그러니 땅의 형세가 곤(坤)이다. 이 땅에는 인간을 포함하여 식물․동물 등의 만물이 실려 있다. 군자는 이러한 땅의 형세와 기운을 본받아 덕을 두텁게 하여 만물을 포용해야 한다. 그러니 인종, 민족, 종족, 국가, 종교 등으로 나뉘어 있는 이 지상의 인류를 어떻게 포용해야 하는가? 이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군자의 과업(課業)이다.
효사와 효상사
初六은 履霜하면 堅冰이 至하나니라.
초륙 이상 견빙 지
초육은 순음(純陰)으로 되어 있는 중지곤괘의 맨 아래에 있다. 곤(坤)은 땅의 형세라 하였다. 지구가 공전하면서 나타나는 계절변화, 즉 춘하추동 사시에 있어 음기(陰氣)가 응결되는 자연현상이 서리(霜)이다. 맨 아래에서 음기인 서리가 엉기니, 그 서리를 밟아 가면 굳은 얼음이 된다. 역은 천지의 법도에 준하는 것이다(「계사상전」 제4장:易이 與天地準이라). 음양 기운의 승강(昇降)법칙에 있어, 중지곤괘는 음력 10월(孟冬)에 해당한다. 음력 10월에 순음의 기운이 충만하게 되니, 음력 11월(仲冬, 동짓달)이 되면 일양(一陽)이 생하여 음을 엉겨 나간다.
그렇다면 인간은 마치 서리가 굳어 얼음이 되듯이, 이 땅에서 역사를 이루어 가고 있다. 서리가 얼음으로 되는 과정을 어떻게 이루어야 하는가? 바로 곤(坤)의 순한 덕으로 이루어야 함을 말한다. 초육 효사에 대하여 효상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象曰 履霜堅冰은 陰始凝也니 馴致其道하야 至堅冰也하나니라.
상왈 이상견빙 음시응야 순치기도 지견빙야
상전에 말하였다. “서리를 밟으면 굳은 얼음이 이르는 것은 음이 비로소 엉기는 것이니, 그 도를 순하게 이루어서 굳은 얼음에 이르게 한다.”
凝:엉길 응 馴:길들일 순 致:이룰 치 至:이를 지
서리를 밟으면 굳은 얼음이 이른다는 것은 곤괘의 첫 음이 비로소 엉김을 말한다. 그러니 처음 엉길 때에 그 엉기는 도(道)를 순하게 이루어서 바르게 굳은 얼음으로 이르게 해야 한다.
六二는 直方大라 不習이라도 无不利하니라.
육이 직방대 불습 무불리
육이는 곧고 모나고 크다.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
直:곧을 직 方:모 방 習:익힐 습
음이 두 번째 육이는 음자리에 음으로 처하여, 자리가 바르고 또한 내괘의 중을 얻고 있으니 중정(中正)하게 곤(坤)의 도를 잇는 상이다. 그러니 곤(坤)의 덕을 그대로 이어 받아 곧고 방정하고 큰 덕을 지니고 있다. 이렇게 곤도(坤道)를 이어 받으니, 따로 익히지 않아도 저절로 이루어져 이롭지 않음이 없다. 육이 효사에 대하여 효상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象曰 六二之動이 直以方也니 不習无不利는 地道 光也라.
상왈 육이지동 직이방야 불습무불리 지도 광야
상전에 말하였다. “육이의 움직임이 곧고 방정하니,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은 땅의 도가 빛나는 것이다.”
육이효가 변하면 음이 양으로 되면서 내괘가 감(☵)이 되고 내호괘가 진(☳)이 된다. 중정한 도를 지키면서도 때로는 우레☳처럼 곧고 방정한 도를 펼치고,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는 것은 중정하게 곤의 도를 이음이 빛나는 것을 말한다.
六三은 含章可貞이니 或從王事하야 无成有終이니라.
육삼 함장가정 혹종왕사 무성유종
육삼은 빛남을 머금어 가히 바르게 하니, 혹 왕의 일을 좇아서 이룸은 없되 마침은 있다.
含:머금을 함 章:빛날 장 或:혹 혹 從:좇을 종
순음의 곤괘에서 육삼효는 양 자리에 음으로 있어서 양(陽)의 빛남을 머금고 있는 상이다. 육삼효가 변하면 내괘가 간☶이 되고 내호괘가 감☵이 되며 외호괘는 진☳이 된다. 따라서 내호괘 감☵으로 빛을 머금고, 간☶으로 그쳐 바르게 하면서도 진☳으로 혹 왕의 일을 좇아서 행하지만, 본괘 자체가 하늘의 뒤를 잇는 곤(坤)의 도이기에 스스로 이루고자 할 수는 없으며 다만 마무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육삼 효사에 대하여 효상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象曰 含章可貞이나 以時發也오 或從王事는 知光大也라.
상왈 함장가정 이시발야 혹종왕사 지광대야
상전에 말하였다. “빛남을 머금어 가히 바르게 하지만 때로 발하고, 혹 왕의 일을 좇음은 앎이 빛나고 큰 것이다.”
육삼효가 양 자리에 음으로 있어 빛남을 머금어 가히 바르게 하고 있지만, 그저 가만히 있는 것만은 아니다. 육삼효가 변한 외호괘가 진☳이 되니, 때가 요구하면 펴 나가기도 한다. 그래서 혹 왕의 일을 좇아서 하되 스스로 이루고자 하지 않고 다만 마침을 두는 것은 그 앎, 지혜가 광대하기 때문이다.
六四는 括囊이면 无咎며 无譽리라.
육사 괄낭 무구 무예
육사는 주머니를 매면 허물이 없으며 명예로움도 없을 것이다.
括:묶을 괄 囊:주머니 낭 譽:기릴 예
음이 네 번째 육사는 중지곤의 외괘 음자리에 거하여 내괘의 세 음효를 잘 이끌어야 하는 자리이다. 나라로 친다면 백성을 다스리는 대신이라고 볼 수 있다. 육사효가 변하면 음이 양으로 바뀌니 내괘는 곤☷이요, 내호괘는 간☶이요, 외호괘는 감☵이요, 외괘는 진☳의 상이 된다. 따라서 내괘 곤☷의 백성을 간☶의 두터운 덕으로 잘 감싸 안아야 하니 ‘괄낭(括囊)’이라 한 것이다. 두터운 덕으로 백성을 포용하니 허물은 없으며, 그 일이 육사 대신(大臣)이 해야 할 소명이기에 명예가 될 것은 아니다.
한편 육사효가 변하면 지괘(之卦)가 뇌지예(雷地豫)괘가 되는데, ‘예(豫)’는 즐거운 것이고 미리 예측하는 것이기도 하다. 육사효가 변하면 외괘가 진☳으로 발동하게 되어 즐거움이 지나치거나 혹은 예측한 바를 함부로 발설하여 흉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외호괘의 감☵으로 ‘입 주머니를 매라(括囊)’고 하는 것이다.
육사효는 중지곤의 내괘에서 외괘로 넘어간 첫 자리이다. 내괘와 외괘, 하늘과 땅, 인군과 백성이 교류하는 중요한 자리에 있다. 이에 대해 효상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象曰 括囊无咎는 愼不害也라.
상왈 괄낭무구 신불해야
상전에 말하였다. “주머니를 매서 허물이 없는 것은 삼가면 해롭지 않은 것이다.”
愼:삼갈 신
육사가 나라와 백성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대신으로서 처신을 삼가 잘하면 자기 자신뿐만이 아니라 나라도 백성도 해롭지 않게 된다.
六五는 黃裳이면 元吉이리라.
육오 황상 원길
육오는 누런 치마면 크게 길할 것이다.
黃:누를 황 裳:치마 상
음이 다섯 번째 육오는 중지곤괘 외괘에서 중을 지키고 있는 자리이다. 오행원리에서 황색(黃色)은 중앙을 의미하기 때문에, ‘누렇다’는 것은 외괘의 중을 지켜 중도(中道)를 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상(衣裳)’에서 윗옷을 ‘의(衣)’라 하고 아래옷을 ‘상(裳)’이라 한다. 따라서 ‘누런 치마(黃裳)’는 아래에 있는 신하로서 중도로써 왕을 섬겨야 함을 의미한다.
중지곤괘와 중천건괘는 서로 응하는 관계에 있는데, 중천건괘 구오효가 천하를 다스리는 대인(왕)을 의미한다면, 중지곤괘 육오효는 건괘 구오 대인을 중도(中道)로 섬기는 신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지곤괘 육오효가 ‘크게 길하다’고 하여 왕이 되어 천하를 경륜하고자 한다면 이는 신하로서의 본분을 망각하는 것이다. 주자(朱子)는 「본의」(本義)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춘추전》소공(昭公) 12년조에 〈남괴〉가 장차 반란을 일으키려 할 때, 점을 해서 이 효를 얻어 “크게 길하다”고 하니, 〈자복혜백〉이 말하되 “충성되고 미더운 일이면 옳지만,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패할 것이다. 밖이 강하고 안으로 온순한 것은 충성이고, 화합해서 바름을 따르는 것은 신의이다. 그러므로 ‘누런 치마면 길하다’고 하였으니, ‘황’은 중앙의 색이고 ‘상’은 아래를 꾸미는 것이며, ‘원’은 착함의 어른이다. 마음(中)이 충성되지 않으면 그 색(黃)을 얻지 못하고, 아래에서 공손하지 않으면 그 꾸밈을 얻지 못할 것이며, 일이 선하지 않으면 그 지극함(결과)을 얻지 못한다. 또한 역(易)이라는 것은 험한 일(부정한 일)을 점칠 수 없으니, 3가지(忠․共․善)에서 빠짐이 있으면 점쳐서 이 효를 얻었다 하더라도 점괘대로 안된다”라고 하더니, 후에 과연 〈남괴〉가 패하였으니, 이것으로 점치는 법을 볼 수 있다.(春秋傳에 南蒯 將叛할새 筮得此爻하야 以爲大吉이라하여늘 子服惠伯이 曰忠信之事則可커니와 不然이면 必敗하리라. 外强內溫은 忠也요 和以率貞은 信也라. 故로 曰黃裳元吉이라하니 黃은 中之色也요 裳은 下之飾也요 元은 善之長也라. 中不忠이면 不得其色이요 下不共이면 不得其飾이요 事不善이면 不得其極이라. 且夫易은 不可以占險일새 三者 有闕이면 筮雖當이라도 未也라하더니 後에 蒯 果敗하니 此可以見占法矣로다.)
육오 효사에 대해 효상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象曰 黃裳元吉은 文在中也라.
상왈 황상원길 문재중야
상전에 말하였다. “누런 치마면 크게 길한 것은 문채가 가운데 있는 것이다.”
‘누런 치마면 크게 길하다’는 것은 육오 군자가 신하로서 중도(中道)있게 위와 아래를 잘 화합하니, 그 아름다운 문채가 중심에 있는 것이다.
上六은 龍戰于野하니 其血이 玄黃이로다.
상륙 용전우야 기혈 현황
상육은 용이 들에서 싸우니 그 피가 검고 누르도다.
戰:싸울 전 野:들 야 玄:검을 현
순음의 중지곤괘에서 상육은 맨 위에 있기 때문에 음 기운이 극한 상태에 이른 것이다. 천기(天氣)와 지기(地氣)는 상호 교류를 통하여 만물을 화육해야 하는데, 중지곤괘 상육효는 바로 천기와 지기의 교감작용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고 있다. 용은 중천건괘의 여섯 용이고, 들(野)은 중지곤괘의 땅을 의미한다. 땅의 음기가 맨 위에서 극한 상태에 있으면서 하늘의 양기를 불러들이니, 하늘의 여섯 용이 땅에 내려와 음기와 교감하는 것이 ‘용전우야’이다. 땅의 누런 음기와 하늘의 검은 양기가 섞이게 되니, 그 정혈(精血)이 검고 누런(玄黃) 색으로 된다.
상육효에 대해 효상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象曰 龍戰于野는 其道 窮也라.
상왈 용전우야 기도 궁야
상전에 말하였다. “용이 들에서 싸우는 것은 그 도가 궁한 것이다.”
窮:다할 궁
‘용이 들에서 싸운다’는 것은 음의 도가 극해서 궁해졌기 때문이다. 상황과 기운이 극에 이르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용육사·용육상사
用六은 利永貞하니라.
용륙 이영정
용육은 오래 바르게 함이 이롭다.
중지곤괘의 여섯 음을 씀에 있어서, 음은 순한 덕을 갖추어야 하니 오래 바르게 함이 이롭다. 이는 64괘 384효 가운데 절반인 192효의 음효 모두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원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전은 다음과 설명하고 있다.
象曰 用六永貞은 以大終也라.
상왈 용륙영정 이대종야
상전에 말하였다. “용육이 오래 바르게 하면 이로운 것은 크게 마치는 것이다.”
음의 도는 양보다 앞서 주도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양보다 뒤에 해서 양이 이루는 것을 마쳐야 한다. ‘앞서면 아득하고 뒤에 하면 얻는다’라고 했고, ‘혹 왕의 일을 좇더라고 이룸은 없고 마침을 둔다’라고 했으며, ‘누런 치마면 길하다’고 하였다. 음으로서 길이 바르게 하면 양(陽)의 일, 즉 하늘의 역사를 땅에서 크게 마치게 된다.
※ 수산 신성수, 『주역통해』, 대학서림, 2005, 137∼147쪽.
'동양고전산책 >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천수송(天水訟) (0) | 2020.10.25 |
---|---|
5. 수천수(水天需) (0) | 2020.10.24 |
4. 산수몽(山水蒙) (0) | 2020.10.24 |
3. 수뢰둔(水雷屯) (0) | 2020.10.24 |
1. 중천건(重天乾) (0) | 2020.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