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천지의 운행이 쉬지 않는 것과 같이 끊임없이 노력하라(自强不息).
괘명과 괘상
내괘와 외괘가 모두 건천(乾天)☰으로, 하늘이 거듭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천건’괘라 한다. ‘중천(重天)’이란 말은 내괘와 외괘가 하늘괘☰로 거듭되어 있는 괘의 상(象)을 표현한 것이고, ‘건(乾)’이란 이렇게 하늘이 거듭하여 여섯 효가 모두 양기운으로 이루어진 괘의 이름을 나타낸 것이다. 즉 괘의 이름은 ‘건(乾)’이요 건괘의 형상은 ‘중천(重天)’이다. 따라서 ‘중천건’이라 할 때 내괘 외괘 모두 순양으로 되어 있는 괘 기운의 양상을 떠올려야 한다.
우주가 있기에 항성(恒星)이 있고 지구가 있기에 만물이 있다. 하늘과 우주는 만물의 근원이 된다. 우주를 생각하자. 우주의 실정(實情)을 표상한 것이 선천팔괘이다. 하늘은 위에 있고 땅은 아래에 있으며 해와 달이 좌우에서 출몰하는 선천팔괘의 원리를 연상하자.
괘사
乾은 元코 亨코 利코 貞하니라.
건 원 형 이 정
건은 원하고 형하고 이하고 정하다(건은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바르다).
乾:하늘 건 元:으뜸 원 亨:형통할 형 利:이로울 리 貞:곧을 정·바를 정
지구 위에 살고 있는 인간으로서 하늘(우주)의 섭리를 알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현상은 춘하추동 사시의 변화이다. 천도의 운행으로 발생하는 음양기운의 역동성은 우선 양 기운의 작용으로 만물이 생화하는 봄을 일으키고(元), 여름이 되면 만물이 무성하게 자라서 형통하게 되며(亨), 가을이 되면 음 기운이 수렴작용을 일으켜 결실을 거두어들이는 이로움이 되고(利), 겨울이 되면 다시 음 기운이 양 기운을 머금어 함장하게 되니(貞), 이러한 성정을 원형이정의 사덕(四德)으로 표현한 것이다.
하늘의 원형이정 사덕을 본받아 인간은 봄의 원덕(元德)을 어짊(仁)으로 체화하고, 여름의 형덕(亨德)을 예(禮)로 체화하고, 가을의 이덕(利德)을 의로움(義)으로 체화하고 겨울의 정덕(貞德)을 지혜(智)로 체화하여야 한다. 그래서 하늘의 사덕은 원형이정(元亨利貞)이요, 인간의 사덕은 인예의지(仁禮義智)가 된다.
효사
初九는 潛龍이니 勿用이니라.
초구 잠룡 물용
초구는 잠겨 있는 용이니 쓰지 말라.
潛:잠길 잠 龍:용 룡 勿:말 물
순양으로 형성된 건괘의 맨 처음 양(초구)은 용으로 본다면 잠겨 있는 용이다. 아직 활동할 때가 아니며, 또한 나서서 활동할만한 실력도 부족한 상태이니 쓰지 말라는 것이다. 초구 양이 변하면 음으로 바뀌니 내괘가 손풍(巽風)☴이 되어 겸손하게 잠겨있어야 하는 상이 나온다.
원래 「설괘전」 제8장에서는 건(乾)☰은 말이 되고(乾爲馬), 곤(坤)☷은 소가 된다(坤爲牛)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하늘이 거듭된 중천건괘는 우주의 본원을 형상한 것이기 때문에 땅 위에 사는 동물로 취상하지 않고, 상상의 동물로서 하늘로 비상하는 용(龍)으로 묘사하고 있다.
九二는 見龍在田이니 利見大人이니라.
구이 현룡재전 이견대인
구이는 나타난 용이 밭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
見:나타날 현 在:있을 재 田:밭 전 見:볼 견
중천건괘 두 번째 양인 구이는 초구에서 잠겨 덕을 닦던 용이 밖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러니 나타난 용이 밭(田), 즉 현실사회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혼자의 역량으로 솔선해 나갈 수 없는 상태이니, 구이 자신을 이끌어 줄 수 있는 대인을 만나야 한다. 인생으로 보면 청소년기에 해당하니, 자기 자신을 이끌어 줄 수 있는 스승을 찾아야 한다. 구이효가 변하여 양이 음으로 바뀌면 내괘가 이화(離火)☲가 되어 ‘밝다(明)’․‘나타난다(見․現)’․‘본다(見)’는 뜻이 나오고, 내호괘가 손풍(巽風)☴이 되니 아직 겸손하게 스승을 만나 역량을 키워나가야 하는 상이 나온다.
九三은 君子가 終日乾乾하야 夕惕若하면 厲하나 无咎리라.
구삼 군자 종일건건 석척약 려 무구
구삼은 군자가 날을 마치도록 굳세고 굳세어서 저녁에 두려운 듯 하면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을 것이다.
終:마칠 종 乾:굳셀 건 夕:저녁 석 惕:두려워할 척 若:같을 약 厲:위태로울 려 咎:허물 구
중천건괘 세 번째 양인 구삼은 양자리에 양으로 거하여 강한 역동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삼효는 내괘인 선천에서 외괘인 후천으로 넘어가는 자리이기에 위태로운 상황이다. 삼효와 사효는 천지인(天地人) 삼재 가운데 사람(人)의 자리인데, 내괘(선천)에 있는 구삼의 군자는 외괘(후천)로 넘어가야 하니 날을 마치도록 굳세게 정진하여야 한다. 그래서 저녁에 두려운 듯 반성을 하면, 비록 위태로움이 있을지라도 군자로서 허물은 없다. 구삼효의 양이 변하면 음으로 바뀌어 내괘가 태택(兌澤)☱이 되는데, 후천팔괘방위로 보면 태(兌)는 1년중 가을을 의미하고 하루로는 저녁을 의미하니, 하루(선천)를 마치고 다음날(후천)을 준비하며 반성하는 상황이 나온다.
九四는 或躍在淵하면 无咎리라.
구사 혹약재연 무구
구사는 혹 뛰어서 연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或:혹 혹 躍:뛸 약 淵:못 연
양이 네 번째 구사는 초구․구이․구삼의 상황에서 쉼 없이 덕과 기량을 닦아 내괘(선천)에서 외괘(후천)로 넘어 온 상황으로, 자기 자신의 역량을 시험하는 자리이다. 그래서 용덕(龍德)을 갖추어 스스로를 시험하여 성공하면 구오 대인의 역량을 발휘하지만,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그 자체로 허물이 되는 것은 아니다.
구사효가 변하면 양이 음으로 바뀌어 내호괘가 태(兌)☱가 되니 연못이 나오고, 외호괘는 이(離)☲로 밝은 덕을 갖춘 상이며, 외괘가 손(巽)☴이니 구오 대인이 되어 하늘로 오르지 못하고 혹 연못에 들어갈 수도 있는 상이다. 구사가 음 자리에 양으로 있어 자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에, 도약하여 승천하는 용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九五는 飛龍在天이니 利見大人이니라.
구오 비룡재천 이견대인
구오는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
飛:날 비
구오는 양자리에 양으로 바른 자리에 있고, 또한 외괘에서 중을 얻었으니 중정(中正)한 상태이다. 그러니 덕과 기량을 갖춘 용이 승천하는 것과도 같다. 그렇지만 구오 자신을 보필하여 천하사(天下事)를 같이 도모할 대인(구이)을 만나는 것이 이롭다. 구오가 변하여 양이 음으로 바뀌면 외괘가 이(離)☲로 되니 밝은 문명으로 천하를 비추는 상이 된다.
上九는 亢龍이니 有悔리라.
상구 항룡 유회
상구는 높은 용이니 뉘우침이 있을 것이다.
亢:지나칠 항 悔:뉘우칠 회
맨 위에 있는 상구는 음 자리에 양으로 있어 자리가 마땅하지 않고, 또한 상구효가 변하면 양이 음으로 되어 외괘가 태(兌)☱가 되니 석양(夕陽)으로 해가 기우는 상이다. 그러니 때가 이미 기우는데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높은 데 처하여 뉘우침이 있게 된다.
용구사
用九는 見群龍호대 无首하면 吉하리라.
용구 견군룡 무수 길
용구는 뭇 용을 보되(뭇 용이 나타나되) 머리함이 없으면 길할 것이다.
群:무리 군 无:없을 무 首:머리 수 吉:길할 길
용구(用九)라는 것은 중천건괘 초효에서 상효에 이르기까지 구양(九陽)을 쓰는 것을 말한다. 중천건괘 초구에서 상구까지 여섯 양의 용이 나타나니 모두가 양강(陽剛)한 가운데에서 머리하지 않으면, 즉 앞서지 않으면 길하다. 이는 동중정(動中靜)의 자연원리이며 심법(心法)이다.
중천건괘는 그 괘체가 순양(純陽)으로 강하다. 모두가 양강(陽剛)하여 발동하는 때에 순한 법도를 생각해야 하니, 초구가 변하면 내괘가 손(巽)☴, 구이가 변하면 내호괘가 손(巽)☴, 구삼이 변하면 외호괘가 손(巽)☴, 구사가 변하면 외괘가 손(巽)☴으로 되어 겸손하게 순응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구오는 천하를 다스리는 대인이니 구오가 변하면 이(離)☲가 되어 밝은 문명일 뿐이요, 상구는 맨 위에 처하여 지나치게 높아진 것이니 상구가 변하면 태(兌)☱가 되어 날이 저물고 한 시대가 저무는 것이다.
이는 주역 384효 전체에 내재된 양효(陽爻)에 두루 통하는 이치이기도 하다. 양(陽)의 상황은 강하여 발동하는 것이 되지만, 항상 중도에서 벗어나지 않는 동중정(動中靜)의 심법(心法)이 요구된다.
단사
彖曰大哉라 乾元이여. 萬物이 資始하나니 乃統天이로다.
단왈대재 건원 만물 자시 내통천
雲行雨施하야 品物이 流形하나니라.
운행우시 품물 유형
大明終始하면 六位時成하나니 時乘六龍하야 以御天하나니라.
대명종시 육위시성 시승육룡 이어천
乾道 變化에 各正性命하나니 保合大和하야 乃利貞하니라.
건도 변화 각정성명 보합대화 내이정
首出庶物에 萬國이 咸寧하나니라.
수출서물 만국 함녕
단전에 말하였다. “크도다! 하늘의 원이여. 만물이 바탕하여 비롯하니 이에 하늘을 거느린다. 구름이 행하며 비를 베풀어서 만물(품물)이 형상을 이룬다. 마침과 비롯함을 크게 밝히면 여섯 자리(위)가 때로 이루어지니, 때로 여섯 용을 타서 하늘을 거느린다. 건의 도가 변화함에 각기 성과 명을 바르게 하니, 크게 화함을 보전하고 합해서, 이에 이롭고 바르다. 뭇 물건에 머리로 나옴에 만국이 다 편안하다.”
彖:판단할 단 哉:어조사 재 資:바탕 자 始:비롯할 시 乃:이에 내 統:거느릴 통 雲:구름 운 施:베풀 시
品:물건 품 流:흐를 류 形:형상 형 乘:탈 승 御:어거할 어 各:각각 각 保:지킬 보 和:화할 화 庶:여러 서
咸:다 함 寧:편안할 녕
단사(彖辭)는 괘사(卦辭)를 풀이한 글이다.
우주 하늘은 크다고 할 수 밖에 없다. 노자(老子) 《도덕경》 제25장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한 물건이 섞여 이루어져 천지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고요하여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아 홀로 서서 변하지 않고 두루 행하여도 다할 줄 모르므로 가히 천하의 어머니라 할만하다. 내가 그 이름을 알지 못하므로 문자로 하여 도라 일컫고 억지로 명명하여 크다고 한다. 크다는 것은 끝없이 가는 것을 말함이요, 끝없이 가는 것은 아득하게 멀어짐을 말함이요, 아득하게 멀어짐은 다시 하나로 돌아간다. 그러므로 도는 위대하고 하늘도 위대하고 땅도 위대하고 왕도 또한 위대하니, 우주 가운데 네 가지 큰 것이 있는데 왕은 그중 하나에 자리한다.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고,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스스로 그러함을 본받는다.(有物混成하여 先天地生이라. 寂兮寥兮여 獨立不改하고 周行而不殆하니 可以爲天下母니라. 吾不知其名일새 字之曰道요 强爲之名曰大라하니라. 大曰逝요 逝曰遠이요 遠曰反이니라. 故로 道大하고 天大하고 地大하고 王亦大하니 域中에 有四大호대 而王居其一焉이니라. 人法地하고 地法天하고 天法道하고 道法自然이니라.)
우주의 원기(元氣)를 바탕으로 만물이 나오니, 그 원기가 하늘을 거느리고 있다. 하늘의 원기는 구름과 비를 베풀어 만물을 생화한다. 인간을 비롯한 우주만물은 여여(如如)한 가운데 마침과 비롯함을 반복하고 있는데, 그 종시(終始)를 크게 밝히면 때때로 여섯 자리가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황에 처한 용(龍)이 그때그때의 용이 되어 하늘을 거느린다. 이러한 건(乾)의 도가 변하고 화함에 만물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성(性)과 명(命)을 바르게 하니, 각자 부여받은 성과 명을 크게 조화롭게 하여 보전하고 합하여 만물이 공존하는 이로움이 있고 바른 것이다. 바로 이러한 하늘의 원기(元氣)가 만물의 머리로 나옴에 만국(萬國)이 다 편안하게 된다.
괘상사
象曰天行이 健하니 君子 以하야 自彊不息하나니라.
상왈천행 건 군자 이 자강불식
상전에 말하였다.
하늘의 운행이 굳세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스스로 굳세어 쉬지 않는다.
健:굳셀 건 以:써 이 彊:굳셀 강 息:쉴 식
괘상사는 중천건괘 괘상을 보고 풀이한 글이다. 내괘도 하늘, 외괘도 하늘이니 끊임없이 굳세게 운행하는 하늘의 상을 표현한 것이다. 하늘의 운행은 추호의 쉼도 없이 굳세게 돌아가고 있다. 하늘의 운행이 쉬게 된다면 천지만물의 생화작용도 멈추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운의 양상을 본받아 군자는 스스로를 하늘의 굳셈에 맞추어 쉼이 없이 노력하는 것이다.
효상사
潛龍勿用은 陽在下也오
잠룡물용 양재하야
잠긴 용이니 쓰지 말라는 것은 양이 아래에 있음이요
효상사는 중천건괘 초구에서 상구효까지의 각 효의 상을 보고 풀이한 글이다.
초구는 순양으로 되어 있는 중천건괘에서 맨 아래에 있기 때문에 ‘잠긴 용이니 쓰지말라’고 한 것이다. 중천건괘 여섯 효를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로 표현하면, 하늘은 위에 있고 땅은 아래에 있고 만물은 가운데 있으므로, 초효와 이효는 땅의 자리이고, 삼효와 사효는 만물(사람)의 자리이며, 오효와 상효는 하늘 자리가 된다. 초효는 땅의 자리이면서도 아래에 있으니 땅속에 잠겨 있는 상이다.
見龍在田은 德施普也오
현룡재전 덕시보야
나타난 용이 밭에 있다는 것은 덕을 베풂이 넓음이요
普 : 넓을 보
구이의 ‘나타난 용(見龍)이 밭에 있다’ 는 것, 즉 현실세계에 드러나게 된 것은 구이의 용이 덕을 널리 베푸는 것을 말한다.
終日乾乾은 反復道也오
종일건건 반복도야
종일토록 굳세고 굳셈은 도를 반복함이요
구삼의 군자가 날을 마치도록 굳세게 행하는 것은 천지자연의 도를 본받아 끊임없이 반복하는 것이다.
或躍在淵은 進이 无咎也오
혹약재연 진 무구야
혹 뛰어서 연못에 있음은 나아감이 허물이 없음이요
‘혹 뛰어서 연못에 있다’는 것은 군자로서 굳세게 도를 반복하여 시대에 부응하는 인물이 되고자 나아가는 것이니 허물이 없다.
飛龍在天은 大人造也오
비룡재천 대인조야
나는 용이 하늘에 있음은 대인의 지음이요
造 : 지을 조
구오의 비룡(飛龍)이 하늘에 있다는 것은 천지일월과 그 덕을 합하고 밝음을 합한 대인이 사시(四時)와 더불어 천시(天時)에 따르고 귀신과 더불어 길흉을 합하여 천하의 일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亢龍有悔는 盈不可久也오
항룡유회 영불가구야
높은 용이 후회가 있음은 차서 가히 오래하지 못함이요
盈:찰 영 久:오랠 구
상구의 항룡(亢龍)은 달이 차면 기울고 양기운의 여름이 극하면 음기운의 가을이 오며, 마음에 욕심이 가득하면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어 쇠락하게 되니 가히 오래 지속될 수 없는 것이다.
용구상사
用九는 天德은 不可爲首也라.
용구 천덕 불가위수야
구를 쓰는 것(용구)은 하늘의 덕은 가히 머리할 수 없는 것이다.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자전하고 있는 항성은 모두가 쉼 없는 운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중에 어느 하나라도 앞서게 되면 우주의 조화를 잃게 될 것이다. 원형이정의 사덕도 어느 하나라도 지나치게 되면 자연의 조화를 잃게 된다. 이러한 하늘의 이치에 따라서 인간사회에서도 군자에게는 감히 머리함이 없는 겸손함이 요구된다.
※ 수산 신성수, 『주역통해』, 대학서림, 2005, 113∼122쪽.
'동양고전산책 >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천수송(天水訟) (0) | 2020.10.25 |
---|---|
5. 수천수(水天需) (0) | 2020.10.24 |
4. 산수몽(山水蒙) (0) | 2020.10.24 |
3. 수뢰둔(水雷屯) (0) | 2020.10.24 |
2. 중지곤(重地坤) (0) | 2020.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