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民常章
민상장
民不畏死 奈何以死懼之
민불외사 내하이사구지
若使民 常畏死
약사민 상외사
而爲奇者 吾得執而殺之 孰敢
이위기자 오득집이살지 숙감
常有司殺者殺
상유사살자살
夫代司殺者殺
부대사살자살
是謂代大匠斲
시위대대장착
夫代大匠斲者 希有不傷其手矣
부대대장착자 희유불상기수의
畏 : 두려워할 외 奈 : 어찌 내 懼 : 두려워할 구 奇 : 기이할 기 孰 : 누구 숙
司 : 맡을 사 夫 : 무릇 부 代 : 대신할 대 匠 : 장인 장 斲 : 깎을 착
希 : 드물 희 傷 : 상할 상
백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찌하여 죽음으로 두렵게 하겠는가?
만약 백성으로 하여금 항상 죽음을 두렵게 해서
기이한 일을 하는 자를 내가 잡아서 죽이면 누가 감히 하겠는가?
항상 죽이는 일을 맡은 자가 있어 죽이니,
무릇 죽이는 일을 맡은 자를 대신해서 죽이면
이를 일컬어 “큰 장인을 대신하여 깎는다”고 하거니와,
무릇 큰 장인을 대신하여 깎는 자는 그 손을 다치지 않을 자가 드물다.
이 장에서는 흔히 말하는 ‘사람의 명은 하늘에 있다’(人命在天)는 천리를 밝힘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사람의 목숨을 가볍게 여김을 경계하고 천리를 마음 깊이 따를 것을 강조하였다.
앞의 제72장에서 말한 바와 같이 형벌과 같은 위엄으로 백성을 징계하고자 하지만, 그러한 위엄이 많아지고 혹독해질수록 오히려 백성은 이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고, 그러다가 결국에는 큰 재앙이 오게 된다고 하였다.
이렇게 되면 백성은 죽음조차도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세상 사람들은 죄를 짓건 안 짓건 모두가 도에서 멀어져 환락과 명예와 권력을 추구하면서 죽음을 재촉하며 살아가고 있다. 또한 나라의 위엄을 내세워 만들어지는 온갖 형벌에도 백성들은 죽음조차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백성이 죽음조차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떻게 하면 죽음을 두려워하게 할 수 있는가? 이는 도에서 멀어진 위엄으로는 세상 사람들에게 죽음을 두려워하게 할 수 없다는 뜻이다. 때문에 천리(天理)를 따르고 도를 추구할 때 사람 목숨의 소중함을 알게 되고, 따라서 죽음을 두려워하게 된다는 말이다.
그래서 만약 느슨한 것 같으면서도 엄정하여 추호의 틈도 없는 하늘의 도에서 백성으로 하여금 죽음을 두려워하게 하고, 도에서 벗어난 기이한 일을 하였을 경우 그러한 자를 내가, 즉 하늘의 도에서 징벌하면 어느 누가 감히 그러한 짓을 다시 할 수 있겠는가? 사람에 대한 징벌은 하늘이 다 알아서 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나라를 이끌고 백성을 다스리는 통치자가 있어, 하늘의 명을 받았다고 자처하고 하늘을 대신하여 백성을 잡아서 죽이는 일을 맡고 있다. 정작 죽이는 일을 맡고 있는 자는 바로 하늘인데, 하늘을 대신하여 죽이는 일을 맡았다고 자처하며 사람을 죽이는 자를 “큰 장인을 대신하여 깎는다”고 하였다. 큰 장인이란 천하의 목공으로 만물을 내고 기르고 죽이는 조화옹(造化翁)을 말한다.
만물을 내고 기르고 죽이는 큰 장인(조화옹)은 항상 도에 맞게 하기 때문에 추호의 어그러짐이 없지만, 그러한 하늘을 대신한다고 자처하여 사람을 죽이는 자들은 도에서 멀어져 온갖 사심과 욕구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항상 실수를 하게 된다. 그러니 “큰 장인을 대신하여 깎는 자는 그 손을 다치지 않을 자가 드물다”고 한 것이다. 천하를 다스린다는 명목으로 하늘을 대신한다고 자처하면서 하늘로부터 나온 생민(生民)을 죽이는 자가 얼마나 많은가? 이는 결국 스스로의 손을 다치게 할 뿐이다. 나라의 왕이 자기 손을 다치는 것은 결국 나라와 백성을 상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백성을 다스리고 백성의 명을 관장하는 자는 오로지 백성을 낳아 기르는 천하의 어머니가 되는 도(道)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위엄에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하늘의 도에 대한 경외감으로 더욱 더 도에 가깝게 가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다.
民不畏死어늘 奈何以死懼之리오
若使民으로 常畏死하야
而爲奇者를 吾得執而殺之면 孰敢이리오
常有司殺者殺이니
夫代司殺者殺이면
是謂代大匠斲이라
夫代大匠斲者는 希有不傷其手矣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77∼27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