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 用兵章
용병장
用兵 有言
용병 유언
吾不敢爲主而爲客
오불감위주이위객
不敢進寸而退尺
불감진촌이퇴척
是謂行無行 攘無臂 執無兵
시위행무행 양무비 집무병
乃無敵
내무적
禍莫大於輕敵
화막대어경적
輕敵 幾喪吾寶
경적 기상오보
故 抗兵相加 哀者勝矣
고 항병상가 애자승의
吾 : 나 오 敢 : 감히 감 客 : 손 객 寸 : 마디 촌 尺 : 자 척
攘 : 물리칠 양·걷을 양 臂 : 팔 비 執 : 잡을 집 乃 : 이에 내 敵 : 원수 적
禍 : 재앙 화 莫 : 없을 막 幾 : 거의 기 喪 : 잃을 상 抗 : 막을 항·겨룰 항
哀 : 슬플 애
병서(兵書)에 말하기를,
"내가 감히 주인이 되려고 하지 않고 손님이 되며,
감히 한 치를 나아가려고 하지 않고 한 자를 물러난다”고 하니,
이를 일컬어 “나아감이 없이 나아가며, 팔뚝 없이 걷어부치며, 병기 없이 병기를 잡는다"고 하니,
이에 적이 없게 된다.
재앙은 적을 가볍게 여기는 것보다 큰 것이 없으니,
적을 가볍게 여기면 거의 나의 보배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병기를 들고 서로 싸우매 슬퍼하는 자가 이기는 것이다.
앞의 제68장에서는 ‘다투지 않는 덕’은 ‘하늘의 지극함과 짝한다’고 하였다. 그러면 ‘다투지 않는 덕’이란 어떠한 것인가?
병서(兵書)에 있는 말을 빌리고 있다. 용병을 잘 하는 자는 감히 주인이 되려고 하지 않고 손님이 된다. 주인이라는 것은 전쟁을 명령하고 지시하는 자, 즉 군대의 수장(首將)이나 왕(王)을 가리킨다. 손님이라는 것은 제후에게 대접을 받는 책사(策士), 즉 평화전술가를 말한다. 진짜 용병을 잘 하는 사람은 병사를 쓰지 않는 법, 전쟁을 일으키지 않고 이기는 법을 아는 자이다. 분쟁의 원인을 잘 파악하여 전쟁을 하지 않고 분쟁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이다.
땅 위에 바람이 불면 천하가 흔들리듯이, 천하를 크게 보아서 세상을 다스린다는 『주역』풍지관괘(風地觀卦) 「단전」(彖傳)에 “하늘의 신비한 도를 보매 사시가 어긋나지 않으니, 성인이 신비한 도로써 가르침을 베풂에 천하가 복종한다”(觀天之神道而四時不忒, 聖人 以神道設敎而天下服矣)고 하였다. 그리고 그 「상전」(象傳)에서는 “상에 말하길 바람이 땅 위를 행하는 것이 관이니, 선왕이 이를 본받아 방소를 살피고 백성을 보아서 가르침을 베풀었다”(象曰 風行地上 觀, 先王 以 省方觀民 設敎.)고 하였다. 이 풍지관괘의 육사효사(六四爻辭)에는 “나라의 빛을 봄이니, 왕에게 손님대접을 받음이 이롭다”(六四 觀國之光 利用賓于王)고 하였고, 효상전(爻象傳)에서는 “나라의 빛을 봄은 손님을 숭상하는 것이다”(象曰 觀國之光 尙賓也)고 하였다.
그리고 병서에 말하기를 진정 용병을 잘 하는 자는 “감히 한 치를 나아가려고 하지 않고 한 자를 물러난다”고 하였는데, 이는 어떠한 분쟁이든 전쟁에 나아가려고 하지 않고 오히려 한 발 물러서 양보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이 『도덕경』의 여러 장에 걸쳐 진정 강한 자(나라)는 남보다 아래에 처하고, 겸손하고, 큰 덕으로 포용해야 함을 살펴보아 왔다. 이것이 전쟁을 하지 않고 이기는 방법이다.
이러한 병서(兵書)의 말을 다시 풀이하기를, "나아감이 없이 나아가며, 팔뚝 없이 걷어부치며, 병기 없이 병기를 잡는다"고 하였다. '나아감이 없이 나아간다'(行無行)는 것은 분쟁이 있더라도 전쟁으로 나아가지 않고 해결한다는 뜻이고, '팔뚝 없이 걷어부친다'(攘無臂)는 것은 군사를 일으키지 않고 해결한다는 뜻이고, '병기 없이 병기를 잡는다'(執無兵)는 것은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해결한다는 뜻이다. 이렇게 하면 결국 적(敵)은 없게 되는 것이다(乃無敵). 이것은 오늘날의 현대사회에 있어서도 세계평화를 이루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존하며 살아가고 있는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 아무리 약소국이라 할지라도 적을 가볍게 여기는 마음에서 재앙이 생긴다는 것이다. 적을 가볍게 여긴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자기 나라가 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보인다는 뜻이고, 그 둘은 상대방의 실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무조건 가볍게 여기는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어떠한 상황에서 적을 가볍게 여기건, 적을 가볍게 여기는 것은 도에서 함께 나온 천하 생민(生民)을 가볍게 보는 것이고, 이는 근본 도에서 어긋난다는 것이다. 천하 생민을 가볍게 여기는 것은 대자연의 도를 가볍게 여기는 것이고, 바로 이러한 마음에서 전쟁을 일으켜 천하 사람을 죽이는 재앙이 발생하는 것이다.
우리는 앞 제67장에서 “하늘이 장차 구원함에 자애로움으로 지킨다”(天將救之 以慈衛之)는 것을 배웠다. 세상에서 천하를 호위하는 가장 큰 것은 바로 자애심(慈愛心)이다. 적을 가볍게 여기고 전쟁을 일으켜 생민(生民)을 살륙하는 것은 바로 도의 가장 큰 보배인 자애심(慈愛心)을 잃어버리는 것과 같다. 이 자애심은 도에서 나오는 무한한 힘이다. 그렇기 때문에 설사 마지못해 병기를 들고 서로 전쟁을 일으키더라도 궁극적으로는 이를 슬퍼하는 자애심을 가진 자가 이기는 것이다. 강대국으로 군림하여 천하를 가볍게 여기고 천하 생민(生民)을 죽이는 것이 어찌 오래 가겠는가? 무한한 도는 이를 자애(慈愛)로써 구원한다. 『주역』「계사상전」제11장에서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성인이 이로써 마음을 닦아서, 물러나 주밀한데 감추며, 길흉에 백성과 더불어 한가지로 근심해서, 신으로써 오는 것을 알고 지혜로써 지나간 일을 간직하나니, 그 누가 능히 이에 참여하겠는가? 옛적에 총명하고 착하고 지혜롭고 신비스런 무력을 가지고서도 죽이지 않는 자이다.(… 聖人以此 洗心 退藏於密, 吉凶 與民同患, 神以知來 知以藏往, 其孰能與於此哉? 古之聰明叡知神武而不殺者夫.)
用兵에 有言하되
吾不敢爲主而爲客하며
不敢進寸而退尺이라하니
是謂行無行하며 攘無臂하며 執無兵이라하니
乃無敵이니라
禍莫大於輕敵이니
輕敵이면 幾喪吾寶라
故로 抗兵相加에 哀者勝矣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61∼26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