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翕之章
흡지장
將欲歙之 必固張之
장욕흡지 필고장지
將欲弱之 必固强之
장욕약지 필고강지
將欲廢之 必固興之
장욕폐지 필고흥지
將欲奪之 必固與之
장욕탈지 필고여지
是謂微明
시위미명
柔弱 勝剛强
유약 승강강
魚不可脫於淵
어불가탈어연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국지이기 불가이시인
將: 장차 장 歙 : 합할 흡·거둘 흡 張 : 베풀 장·펼 장 廢 : 폐할 폐 興 : 흥할 흥
奪 : 빼앗을 탈 取 : 취할 취 與 : 줄 여 微 : 작을 미 脫 : 벗을 탈 淵 : 못 연
장차 거두고자 하려면 반드시 펴고,
장차 약하고자 하려면 반드시 강하며,
장차 폐하고자 하려면 반드시 흥하고,
장차 빼앗고자 하려면 반드시 주니,
이를 ‘미묘한 밝음’(微明)이라 일컬으니,
부드러움과 약함은 굳셈과 강함을 이긴다.
물고기는 가히 못에서 벗어날 수 없고,
나라의 이로운 그릇은 가히 남에게 보여서는 안된다.
이 장에서는 도의 작용을 인간이 어떻게 본받아야 할 것인가를 말하고 있다.
자연의 변화라는 것은 음과 양, 유와 강의 미묘한 반복 순환이다. 『주역』「계사하전」제5장에서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역에 이르길 “자주자주 오고 가면 벗이 네 생각을 좇는다”라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천하에 어찌 생각하고 어찌 근심하겠는가? 천하가 돌아가는 곳은 같아도 길이 다르며, 이르는 것은 하나지만 백가지 생각이니, 천하에 어찌 생각하고 어찌 근심하겠는가? 해가 가면 달이 오고 달이 가면 해가 와서, 해와 달이 서로 밀어서 밝음이 나오며, 추위가 가면 더위가 오고 더위가 가면 추위가 와서, 추위와 더위가 서로 밀어서 해를 이루니, 가는 것은 굽힘이요 오는 것은 펴는 것이니, 굽히고 폄이 서로 느껴서 이로운 것이 생한다. 자벌레가 굽히는 것은 폄을 구함이요, 용과 뱀이 움츠리는 것은 몸을 보존함이요, 의리를 정미롭게 해서 신에 들어감은 씀을 이룸이요, 쓰는 것을 이롭게 하여 몸을 편안히 함은 덕을 숭상함이니, 이를 지나서 감은 혹 알지 못하니, 신을 궁구하여 화함을 앎이 덕의 성함이다.”(易曰 憧憧往來 朋從爾思, 子曰 天下 何思何慮! 天下 同歸而殊塗, 一致而百慮, 天下 何思何慮! 日往則月來 月往則日來, 日月 相推而明生焉, 寒往則暑來 暑往則寒來, 寒暑 相推而歲成焉. 往者 屈也 來者 信也, 屈信 相感而利生焉. 尺蠖之屈 以求信也, 龍蛇之蟄 以存身也, 精義入神 以致用也, 利用安身 以崇德也, 過此以往 未之或知也, 窮神知化 德之盛也.)
자연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세상사를 보면, 장차 무언가를 거두고자 하려면 반드시 펴게 되고, 장차 약하고자 하려면 반드시 강하게 되며, 장차 폐하고자 하려면 반드시 흥하게 되고, 장차 빼앗고자 하려면 반드시 주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밖으로 드러나기 이전에 보이지 않게 작용하는 것이기에 이것을 ‘미묘한 밝음’(微明)이라고 하였다.
결국 이러한 도의 작용을 간략히 말하면, ‘굳셈’이라는 것은 곧 꺾임을 의미하기 때문에 부드러움은 굳셈을 이기고, ‘강함’이라는 것은 곧 약해짐을 의미하기 때문에 약함은 강함을 이기게 된다. 이 ‘부드러움’과 ‘약함’이라는 것은 내면에서 보이지 않게 그 도의 생명력을 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함’과 ‘굳셈’에 대응하여 함부로 밖으로 드러내서는 안 된다.
이를 비유하면, 마치 아주 연약한 물고기가 연못 속에서는 자유로이 살 수 있지만, 연못을 벗어나면 그 생명력을 잃게 되는 것과 같다. 또한 나라를 이롭게 하는 정책이나 경제적 기술 그리고 군사용 무기와 같은 그릇을 남에게 보이게 되면, 곧 나라를 위태롭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래서 “물고기는 가히 못에서 벗어날 수 없고, 나라의 이로운 그릇은 가히 남에게 보여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주역』‘뇌수해괘’(雷水解卦)는 천지가 풀려 우레와 비가 베풀어지니 만물이 싹을 내듯이, 어려운 질곡에서 벗어나 모든 일이 잘 풀리도록 해야 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그 상육효에 대하여 공자는 「계사하전」제5장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역(易)에 이르길 “공이 높은 담 위의 새매를 쏘아서 잡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새매라는 것은 새이고, 활과 화살은 그릇(무기)이고, 쏘는 것은 사람이니, 군자가 그릇(무기)을 몸에 감추어서 때를 기다려 움직이면, 어찌 이롭지 않음이 있겠는가? 움직임에 막히지 않는다. 이로써 나가서 잡음이 있으니, 그릇을 이룬 후에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易曰 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无不利, 子曰 隼者 禽也, 弓矢者 器也, 射之者 人也, 君子 藏器於身 待時而動, 何不利之有? 動而不括. 是以出而有獲, 語成器而動者也.)
將欲歙之인댄 必固張之오
將欲弱之인댄 必固强之며
將欲廢之인댄 必固興之오
將欲奪之인댄 必固與之니
是謂微明이라하니
柔弱은 勝剛强하니라
魚不可脫於淵이오
國之利器는 不可以示人이니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145∼14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