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小國章
소국장
小國寡民
소국과민
使有什佰之器 而不用
사유십백지기 이불용
使民重死 而不遠徙
사민중사 이불원사
雖有舟輿 無所乘之
수유주여 무소승지
雖有甲兵 無所陳之
수유갑병 무소진지
使民復結繩而用之
사민부결승이용지
甘其食 美其服 安其居 樂其俗
감기식 미기복 안기거 낙기속
隣國 相望 鷄犬之聲 相聞
인국 상망 계견지성 상문
民至老死 不相往來
민지로사 불상왕래
寡 : 적을 과 什 : 열 사람 십·열 십·세간 집 佰 : 일백 백 徙 : 옮길 사
舟 : 배 주 輿 : 수레 여 乘 : 탈 승 甲 : 갑옷 갑 陳 : 늘어놓을 진 復 : 다시 부
結 : 맺을 결 繩 : 노 승·먹줄 승 甘 : 달 감 服 : 옷 복 俗 : 풍속 속
隣 : 이웃 린 望 : 바랄 망 鷄 : 닭 계 犬 : 개 견 聲 : 소리 성 聞 : 들을 문
나라가 작고 백성을 적게 하라.
열 사람 백 사람 몫을 하는 그릇이 있더라도 사용하지 않게 하며,
백성으로 하여금 죽음을 중히 여겨 멀리 떠나지 않게 하라.
비록 배와 수레가 있어도 그것을 타는 바가 없으며,
비록 갑옷과 병기가 있으나 그것을 늘어놓는 바가 없을 것이다.
백성으로 하여금 다시 노를 맺어 그것을 사용하게 하라.
그 음식을 달게 먹고, 그 옷을 아름답게 여기며, 그 거처를 편안하게 하고, 그 풍속을 즐겁게 하여,
이웃한 나라가 서로 바라보며, 닭과 개의 소리가 서로 들리되,
백성이 늙어 죽음에 이르도록 서로 가고 오지 않을 것이다.
이 장에서는 『도덕경』전체를 통해 노자가 말해 온 무사(無事)․무위(無爲)․무욕(無欲)의 도를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국가관을 피력하고 있다. 오늘날의 현실에서 보면, 동화 같은 이야기일지도 모르나, 가장 이상적인 세계란 무엇인가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우리는 앞에서 계속 일관하여 온 노자의 핵심사상 가운데, 강하고 크고 굳셈이라는 것은 곧 멸망을 앞두고 있는 것이고, 약하고 부드럽고 작은 것이 곧 항구한 자연의 도와 더불 수 있는 삶을 영위하게 한다는 것을 알아 왔다. 결론적으로 노자는 나라가 작고 백성이 적은 사회가 자연의 도에 일치하는 가장 이상적인 사회라고 주장한다.
인류역사는 항상 자연의 도에 거슬러 나라의 영토가 넓어지고, 국력이 강해지고, 천하 백성이 많아지는 사회를 꿈꿔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이상은 항상 큰 원망과 작은 원망을 낳고 낳아 인류사회를 끊임없는 갈등과 분쟁의 소용돌이에 빠지게 하였다. 자연의 도를 실현하며 도에 일치하는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나라는 작고 백성은 적어야 한다. 그래서 열 사람 백 사람 몫을 하는 문명한 기구가 있더라도 그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해야 한다. 도에서 멀어진 사람들이 자기 스스로 편해지고자 만들어 내는 온갖 문명의 이기(利器)가 정작 자연과 도를 파괴하는 흉기(凶器)로 변하고 있지 않은가? 또한 역사를 돌이켜보면, 지혜로운 자가 많이 나와서 천하를 통일하고 백성을 다스리기 위한 온갖 제도와 법을 만들어왔지만, 이러한 것들은 결국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억압하는 수단이 되어 왔다. 그러니 백성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게 되고 더욱 더 도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뛰어난 지혜로 만들어진 온갖 제도와 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야 한다.
『맹자』「공손추장구상」(公孫丑章句上)에 다음의 글이 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힘으로써 어짊을 빌린 자는 두목(覇者)이니 패자는 반드시 큰 나라를 소유하여야 하고, 덕으로써 어짊을 행하는 자는 왕이니 왕은 큰 나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탕왕(湯王)은 70리를 가지고 하셨고, 문왕(文王)은 백리를 가지고 하셨다.(孟子曰 以力假仁者 霸 霸必有大國, 以德行仁者 王 王不待大, 湯以七十里 文王以百里.)
힘으로써 남을 복종시키는 자는 마음으로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힘이 충분하지 못해서이고, 덕으로써 남을 복종시키는 자는 중심으로 기뻐하여 진실로 복종함이니, 70 제자가 공자에게 심복함과 같은 것이다. 『시경』에 이르길, ‘서쪽에서 동쪽에서 남쪽에서 북쪽에서 복종하지 않는 이가 없다’고 하였으니, 이것을 말한 것이다.”(以力服人者 非心服也 力不贍也, 以德服人者 中心悅而誠服也, 如七十子之服孔子也. 詩云 自西自東 自南自北 無思不服, 此之謂也.)
이렇게 되면 백성들은 자연에 순응하여 생명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죽음을 가볍게 여기지 않게 된다. 그러면 억압을 피해 험한 먼 곳으로 옮기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니 비록 배나 수레가 있더라도 그것을 타는 바가 없게 된다.
백성은 자연에 순응하여 천명을 알려고 노력하고 나라는 커지고 강해지려고 하지 않으니, 비록 온갖 갑옷과 병기들이 있더라도, 그것을 펼쳐놓아 사용할 이유가 없어진다.
온갖 간교한 지혜가 난무하는 세상에 백성을 도(道)로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순일무잡(純一無雜)한 마음을 지니게 해야 한다. 그러니 간교한 지혜로 가득 찬 문서와 글보다는 다시 옛날처럼 노끈을 묶어 약속을 맺는 것(結繩)을 사용하는 소박한 사회로 돌아가야 한다. 그리고 자연이 베풀어주는 음식을 맛있게 먹고, 지금의 옷을 아름답게 여기며, 지금 있는 그 거처를 편안히 하고, 지금의 풍속을 즐겁게 하면, 얼마나 평화로운 세상이 되겠는가?
이렇게 되면 작은 나라 적은 백성들로 이루어진 이 사회에서, 이웃하는 나라들이 서로 바라보고 닭이 울고 개가 짖는 소리가 서로 들리도록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어도, 서로가 서로를 침탈하지 않으니 백성들이 늙어 죽도록 서로 왕래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노자의 이상세계를 21세기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큰 나라나 작은 나라나, 높다고 자처하는 자나 낮다고 자처하는 자나, 드러나지 않은 성인이나 드러난 성인이나, 모두가 도를 추구하는 본성으로 돌아간다면 충분히 가능한 세계일 것이다.
21세기 현대문명을 다시금 돌아봐야 한다.
小國寡民하라
使有什佰之器라도 而不用하며
使民重死하야 而不遠徙하라
雖有舟輿나 無所乘之하며
雖有甲兵이나 無所陳之리라
使民復結繩而用之하라
甘其食하고 美其服하며 安其居하고 樂其俗하야
隣國이 相望하며 鷄犬之聲이 相聞호대
民至老死토록 不相往來리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294∼29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