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이진법 4

『주역』의 학문적 성격: 『주역』은 기초학문이자 종합학문이다

기독교 성경(聖經, the Bible)에서 구약(舊約)의 시대가 그러하듯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사회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하늘에 대한 제사와 더불어 행해진 신탁(神託)과 점술(占術)이다. 동아시아의 오래된 고전 가운데 하나인 『주역』은 상고시대에 하늘에 대한 제사와 함께 행해진 점술(占術)의 편린들, 다시 말하면 거북점(卜)과 시초점(筮)에 연원을 둔 복서역(卜筮易)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주역』은 수천 년의 세월을 거치는 동안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어 왔다. 『주역』에 대한 학설은 철학사적 관점에서 대체로 상수역(象數易)과 의리역(義理易)이라는 큰 흐름으로 전개되어 왔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각 시대별로 학자마다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 『주역』의 학문적 성격..

[동양고전 『주역』으로 보는 4차 산업혁명] 특강

2019년 10월 14일(월)에 [동양고전 『주역』으로 보는 4차 산업혁명]이란 주제로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선생님들의 전문적학습공동체 특강을 실시하였다. 가장 오래된 고전인 『주역』으로 최첨단 현대문명인 사물인터넷, 유비쿼터스, 인공지능 등으로 표현되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을 조명해 본 것이다. 현대 과학문명의 발전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또다른 시공간 개념을 창출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과 더불어 현대사회를 대변하는 용어로 회자되고 있는 유비쿼터스는 정보기술 · 나노기술 · 생명공학 등의 과학적 성과를 종합하여 새로운 문명을 만들어가고 있다. 원래 유비쿼터스(Ubiquitous)라는 용어는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개념으로 신의 보편성과 자유자재함을 나타내는 신학적 개념에서 출발하였다. 오..

강의와 강연 2019.10.17

『주역』의 상징체계에 대하여

동서양을 망라한 고전이나 경전 가운데 『주역』만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특징이 있는데, 그것은 단지 성현(聖賢)의 말씀을 문자(文字)로만 전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말씀(문장)의 상황이 전제되어 있는 ‘상징체계(象徵體系)’가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주역』은 대자연의 형성원리와 변화원리로서 음양이진법(陰陽二進法)으로 체계화된 상징적 부호체계를 그 근간으로 하고 있다. 『주역』은 태극(太極) · 양의(兩儀; 陰, 陽) · 사상(四象; 태양, 소음, 소양, 태음) · 팔괘(八卦; 건 ☰, 태 ☱, 이 ☲, 진 ☳, 손 ☴, 감 ☵, 간 ☶, 곤 ☷)의 원리를 기본으로 하여 『주역』경문의 골격을 이루는 64괘 384효에 이르기까지, 음양기운(陰陽氣運)의 분화와 통합 그리고 괘(卦) · 효(爻)의 상..

주역광장 2015.02.23

『주역(周易)』이란 무엇인가? - 제2기 ‘주역원전강좌’를 시작하며(매주 화요일 저녁)

2015년 2월 4일(수) 저녁 7시, 제2기 ‘주역원전강좌’가 개강되었다. 마침 올해 들어 맞이하는 입춘(立春) 절기에 인생의 의미를 찾고 바람직한 사회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선인(善人)들이 모여 『주역』강의를 시작하게 되니 보다 의미가 있었다. 다음 주부터는 매주 화요일 저녁 7시부터 강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인생의 본질을 알기 위해 각종 철학서와 종교서 그리고 고전을 탐독한다. 철학서 종교서 문학서를 망라하여 인류역사와 함께하였던 고전 가운데 가장 오랜 연원을 가진 경전이 바로 『주역』일 것이다. 『주역』의 원형인 『역(易)』은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사상이 등장하기 이전에 그리고 유교 도교 기독교 불교 등 종교가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존재하였다. 철학적 종교적 사유가 확립되기 이전에 고대인의 삶과 ..

인문학 강좌 201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