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道生章
도생장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萬物 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만물 부음이포양 충기이위화
人之所惡 唯孤寡不穀
인지소오 유고과불곡
而王公 以爲稱
이왕공 이위칭
故 物 或損之而益 或益之而損
고 물 혹손지이익 혹익지이손
人之所敎 我亦敎之
인지소교 아역교지
强梁者 不得其死
강량자 부득기사
吾將以爲敎父
오장이위교부
負 : 질 부 抱 : 안을 포 沖 : 빌 충·깊을 충·온화할 충 和 : 화할 화
惡 : 미워할 오 稱 : 일컬을 칭 損 : 덜 손 益 : 더할 익 敎 : 가르칠 교
梁 : 들보 량·강할 량 將 : 장차 장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으니,
만물은 음(陰)을 짊어지고 양(陽)을 안아서 빈 기운(沖氣)으로 조화를 이룬다.
사람이 싫어하는 바는 오직 고(孤)·과(寡)·불곡(不穀)인데,
왕공은 이로써 일컫는다.
그러므로 만물은 혹 덜어내면 보태지며 혹 보태면 덜어진다.
사람이 가르치는 바를 나 또한 가르치거니와,
굳세고 강한 자는 그 죽음을 얻지 못하니,
나는 장차 가르침의 근본(敎父)로 삼겠노라.
이 장은 만물의 생성원리를 나타내는 우주관을 그리고 있는데, 앞에서 살펴 본 제39장과 그 의미가 비슷하다. 39장에서는 “옛적에 하나를 얻으니, 하늘이 하나를 얻어 맑고, 땅이 하나를 얻어 편안하며, 신이 하나를 얻어 영험하고, 골짜기가 하나를 얻어 차며, 만물이 하나를 얻어 나오고, 후왕이 하나를 얻어 천하를 바르게 하니, 그 이르는 것은 하나이다”(昔之得一者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谷得一以盈 萬物 得一以生 侯王 得一以爲天下正 其致之 一也)고 하였다.
우주 만물의 생성원리를 “만물의 근원인 도(道)가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으니, 만물은 음(陰)을 짊어지고 양(陽)을 안아서 빈 기운(沖氣)으로 조화를 이룬다”고 하였다. ‘하나’라는 것은 도에서 나온 생명의 원기이다. 이 하나는 『주역』의 원리로 보면 바로 태극(太極)을 말한다. 하나가 둘을 낳는 것은 마치 태극(太極)이 양의(兩儀), 즉 음과 양을 낳는 것과 같다(太極生兩儀). 우주 만물은 태극과 음양 기운을 근원으로 하여 나온다. 즉 태극과 음양을 합하면 곧 셋이 되니, 이 셋이 만물을 낳는다고 하였다. 태극(太極)은 영원불멸의 영성(靈性)·신성(神性)을 의미한다. 음양(陰陽)은 모든 생물이 생명을 유지하고 운영해 나가는 두 가지 기본 요소를 말한다.
태극(太極)의 영성을 지니고 있는 만물은 음 기운을 짊어지고 양 기운을 안아서 충기(沖氣)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육체와 정신을 음양으로 보면, 육체인 음 속에 정신인 양이 들어있다. 그러니 음인 육체를 짊어지고 양인 정신을 안고 있는 상이다. 생명의 출발은 정자와 난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거대한 난자의 음 기운 속에 양 기운인 정자가 들어감으로써 생명작용이 시작된다. 이것이 ‘부음이포양’(負陰而抱陽)이다. 그런데 음과 양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는 것은 충기(沖氣)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충(沖)이란 극대의 세계인 우주와 극소의 세계인 원자 안에 내재되어 있는 조화로운 기운을 말한다. 우주 내에 태양계가 있고 태양계 내에 있는 각 항성이 조화를 이루며 운행하는 것은 충기(沖氣)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며, 모든 생명이 음 기운과 양 기운은 충기(沖氣)의 작용으로 조화로운 생명운동을 일으키고 있다. 「역서」(易序)에 다음의 글이 있는데, 같은 내용이다.
흩어서 이치에 두면 만 가지 다름이 있고, 모아서 도에 두면 두 가지 이룸이 없으니, 그렇기 때문에 역에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를 낸다. 태극은 도이고, 양의는 음양이니, 음양은 한 도이며 태극은 무극이다. 만물의 나옴이 음을 지고 양을 안아서, 태극이 있지 않음이 없으며, 양의가 있지 않음이 없으니, 인온(絪縕 : 기운이 쌓여 왕성한 모양)하여 사귀어 느낌에 변화가 다함이 없다. 형체가 한 번 그 생명을 받고 신이 한 번 그 지혜를 발하여, 참과 거짓이 나오고 만 가지 단서가 일어나니, 그래서 역이 길흉을 정하고 대업을 내는 것이다.(散之在理則有萬殊, 統之在道則无二致, 所以易有太極, 是生兩儀. 太極者 道也, 兩儀者 陰陽也, 陰陽 一道也, 太極 无極也. 萬物之生 負陰而抱陽, 莫不有太極 莫不有兩儀, 絪縕交感 變化不窮. 形一受其生, 神一發其智, 情僞 出焉 萬緖 起焉, 易所以定吉凶而生大業.)
이렇게 태극의 영성을 지니고 음양과 충기의 작용으로 만물이 생성되고 있는데, 생명을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는 무엇인가? 그것은 비어 있는 충기(沖氣)의 작용으로 만물이 조화를 이루어가듯이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빈 마음, 즉 겸손의 덕을 갖추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이 싫어하는 바는 오직 고(孤 : 외로운 사람)·과(寡 : 덕이 부족한 사람)·불곡(不穀 : 복이 없는 사람)인데, 왕공은 이로써 일컫는다”고 하였다. 즉 세상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 고아·과부·노예라는 표현인데도 가장 고귀한 왕이 바로 겸손하게 그러한 명칭을 스스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높으면서도 낮게 처하는 겸손의 덕을 말하는 것이다. 이 내용은 제39장에서 나온 바 있다.
또한 천지만물과 인간사회가 변화하는 것을 보면, 혹 덜어내면 보태지고 혹 보태면 덜어지는 것이 보편적인 원리이다. 어느 면에서는 손해를 보는 것 같지만 다른 면에서는 이익을 보는 것이고, 어느 면에서 이익을 보는 것 같지만 다른 면에서는 손해를 보는 것이다. 그래서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항상 겸손의 덕이 있어야 생명작용이 조화를 이룰 수 있다. 겸손함을 나타내고 있는 『주역』‘지산겸괘’(地山謙卦) 단전(彖傳)에 다음의 내용이 있다.
단전에 말하였다. “겸이 형통함(謙亨)은 하늘의 도가 아래로 내려서 광명하고, 땅의 도는 낮은데서 위로 행한다. 하늘의 도는 가득한 것을 이지러지게 하며 겸손한 데에는 더하고, 땅의 도는 가득한 것을 변하게 하며 겸손한 데로 흐르게 하고, 귀신은 가득한 것을 해롭게 하며 겸손함에는 복을 주며, 사람의 도는 가득한 것을 미워하며 겸손한 것을 좋아하니, 겸(謙)은 높아도 빛나고 낮아도 가히 넘지 못하니 군자의 마침이다.”(彖曰 謙亨 天道 下濟而光明, 地道 卑而上行. 天道 虧盈而益謙, 地道 變盈而流謙, 鬼神 害盈而福謙, 人道 惡盈而好謙, 謙 尊而光 卑而不可踰, 君子之終也.)
성인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세상의 이치는 누가 보아도 자명하기에 사람들이 가르치는 바를 나도 또한 가르치는데, “굳세고 강하게 하는 자는 자기의 명대로 수(壽)를 누리지 못한다.” 바로 겸손하고 비어 있는 도를 추구하는 것을 가르침의 근본(敎父)으로 삼겠다는 말이다.
道生一하고 一生二하고 二生三하고 三生萬物하나니
萬物은 負陰而抱陽하야 沖氣以爲和하니라
人之所惡는 唯孤寡不穀이어늘
而王公은 以爲稱이라
故로 物은 或損之而益하며 或益之而損이니라
人之所敎를 我亦敎之어니와
强梁者는 不得其死하니
吾將以爲敎父하노라.
※ 대산 김석진·수산 신성수,『주역으로 보는 도덕경-대산 노자강의』 대학서림, 2005, 166∼17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