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십익전(十翼傳)」의 성격 1) 「십익전」의 의의 『주역』 64괘 384효의 경문(經文) 이외에 그 뜻을 해석하고 주역의 이치를 발현한 해설전을 십익(十翼)이라고 하는데, ‘십익(十翼)’이란 명칭은 후한(後漢)에서 시작되었다. ‘십익’은 『주역』을 새의 날개처럼 돕고 있는 열 가지의 문헌이라는 의미이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주역』에서 경(經)은 괘상과 64괘 괘사, 384효 효사로 이루어지며, 문언전(乾卦文言傳·坤卦文言傳)·단전(彖傳)·상전(卦象傳·爻象傳)·계사전(繫辭上傳·繫辭下傳)·설괘전(說卦傳)·서괘전(序卦傳)·잡괘전(雜卦傳) 등은 전(傳)에 해당하는데, 이를 공자가 집대성하였다고 하여 ‘공자의 십익(十翼)’이라고 일컫는다. 그런데 엄격히 말하면 전(傳)은 문언전·단전·상전·계사전·설괘전·서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