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孔子) 2

신문로인문학회, 『논어(論語)』강좌 개강소식

신문로인문학회에서 2025년 기획으로 개설한 『논어(論語)』 강좌가 3월 4일(화)에 개강되었습니다. 수산(秀山) 신성수 선생이 진행하는 『논어』 강좌는 경문(經文) 위주로 강독과 토론형식으로 진행합니다.(매주 화요일 오후 2시∼4시)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hs-academy&logNo=223788139727&categoryNo=0&parentCategoryNo=0&viewDate=&currentPage=1&postListTopCurrentPage=&from= 2025년 봄, 『논어(論語)』강좌 개강 및 1회차 내용소개신문로인문학회에서 2025년 기획으로 개설한 『논어(論語)』 강좌가 3월 4일(화)에 개강되었습니다. 수산(...blog.na..

군자(君子)의 언행(言行)은 천지(天地)를 움직인다.

언어와 문자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은 수많은 동물들 가운데 인간이 지니고 있는 특성 중 가장 중요한 특성일 것이다. 물론 이 특성이 인간만이 언어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은 아니다. 하루살이라는 미물(微物)부터 영장류인 원숭이 혹은 저 바다 속의 돌고래에 이르기까지 모든 동물들에게는 저마다의 의사소통수단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더 나아가 식물을 포함하여 생명이 있는 모든 존재는 저마다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다만 인간의 의사소통 수단이 지구상의 어느 생명체보다 더 다양하고 폭넓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현대 사회는 유선과 무선의 인터넷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펼쳐지는 각종의 연결망(連結網), 이른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시간과 공간을 압축시키기도 ..